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9번째 줄: 19번째 줄:
  
 
=='''내용'''==
 
=='''내용'''==
1376년 7월 서해안으로 칩입한 왜구는 공주와 연산의 개태사를 점령하고 고려군을 이끌던 도원수 박인계를 전사케 한 후 홍산까지 진출하였다. 이에 최영은 나이를 들어 말리는 우왕에 간청하여 최공철 강영 박수년 등과 함께 고려군을 이끌고 홍산에서 적과 대치하였다. 험준한 지형에 의지하여 대응하는 왜구에 장수들이 겁을 먹고 전진하지 못하였는데 최영이 몸소 군사의 진두에 서서 돌진하였다.  
+
1376년 7월 서해안으로 칩입한 왜구는 공주와 연산의 개태사를 점령하고 고려군을 이끌던 도원수 박인계를 전사케 한 후 홍산까지 진출하였다. 이에 최영은 나이를 들어 말리는 우왕에 간청하여 최공철 강영 박수년 등과 함께 고려군을 이끌고 홍산에서 적과 대치하였다. 험준한 지형에 의지하여 대응하는 왜구에 장수들이 겁을 먹고 전진하지 못하였는데 최영이 몸소 군사의 진두에 서서 돌진하였다.<br/>
적이 숲속에 숨어 최영을 쏘아 입술을 맞추니 피가 낭자하게 흘렀는데, 태연자약하게 적을 쏘아 활시위를 당겨서 쓰러뜨리고 이내 맞은 화살을 뽑았다. 최영이 더욱 힘쓰니 마침내 적을 크게 격파하여 거의 다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
적이 숲속에 숨어 최영을 쏘아 입술을 맞추니 피가 낭자하게 흘렀는데, 태연자약하게 적을 쏘아 활시위를 당겨서 쓰러뜨리고 이내 맞은 화살을 뽑았다. 최영이 더욱 힘쓰니 마침내 적을 크게 격파하여 거의 다 죽이거나 사로잡았다.<ref>[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itemIds=&indexSearch=Y&codeIds=PERIOD-0-3&synonym=&chinessChar=&searchTermImages=&searchKeywordType=indexName2&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p10155&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113_0010_0040_0070/159/60/159/o 고려사 열전 제26 제신 최영편]</ref>
 
 
 
 
<ref>[http://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itemIds=&indexSearch=Y&codeIds=PERIOD-0-3&synonym=&chinessChar=&searchTermImages=&searchKeywordType=indexName2&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p10155&searchKeywordConjunction=AND#searchDetail/kr/kr_113_0010_0040_0070/159/60/159/o 고려사 열전 제26 제신 최영편]</ref>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2017년 2월 5일 (일) 13:04 판


최영장군의 홍산전투
박창돈-홍산전투(최영)-1976s.jpg
작가 박창돈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290.9x197cm)
유형 군사/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개요

고려 우왕 2년(1376년), 최영장군이 고려를 침입한 왜구를 홍산(현 충남 부여)에서 섬멸하는 장면.

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

내용

1376년 7월 서해안으로 칩입한 왜구는 공주와 연산의 개태사를 점령하고 고려군을 이끌던 도원수 박인계를 전사케 한 후 홍산까지 진출하였다. 이에 최영은 나이를 들어 말리는 우왕에 간청하여 최공철 강영 박수년 등과 함께 고려군을 이끌고 홍산에서 적과 대치하였다. 험준한 지형에 의지하여 대응하는 왜구에 장수들이 겁을 먹고 전진하지 못하였는데 최영이 몸소 군사의 진두에 서서 돌진하였다.
적이 숲속에 숨어 최영을 쏘아 입술을 맞추니 피가 낭자하게 흘렀는데, 태연자약하게 적을 쏘아 활시위를 당겨서 쓰러뜨리고 이내 맞은 화살을 뽑았다. 최영이 더욱 힘쓰니 마침내 적을 크게 격파하여 거의 다 죽이거나 사로잡았다.[1]

관련 민족기록화

민족기록화 전승편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관련항목

노드 관계 노드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에 의해 그려지다 박창돈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제작연도 1976년
전쟁기념관 소장처 1998년


참고문헌

주석

  1. 고려사 열전 제26 제신 최영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