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승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가소개)
12번째 줄: 12번째 줄:
  
 
=='''작가소개'''==
 
=='''작가소개'''==
[[오승윤]]은 [[오지호]] 화백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조선 대학교 부속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나왔으며 홍익 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의 아카데미 드 라그랑드 쇼미에르 등에서 공부했다. 특히 한국의 자연과 전통 문화 등을 표현한 구상 미술에 몰두했다.<br/>
+
오승윤은 오지호 화백의 둘째 아들로 1939년 황해도 개성에서 태어나 해방 후 아버지의 고향인 전라남도 화순으로 이사하였다. 의사를 꿈꾸었으나 전국학생실기대회에서 최고상을 받은 후 미술로 진로를 바꾸어 홍익대학교 졸업하였으며 프랑스 아카데미 드 라그랑드 쇼미에르 등에서 수학했다.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창설에 참여하여 교수로 재직하다가 프랑스에 수학한 교수직을 버리고 화업에 전념하였다. 1970년부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연 6회 특선하였고 추천작가, 초대작가로 활동하였다.
1982년 전남 대학교 예술 대학을 창설하여 후학 양성에 힘쓰다가 그 전업 작가로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1970년부터 국전 연 6회 특선을 수상하였고 1977년 국전 추천 작가와 1981년 초대 작가가 되었으며 1993년 한국 자연 대전 운영 위원장과 1992년 국립 현대 미술관 원로 작가 회화전 운영 위원, 1995년 대한 민국 미술 대전 심사 위원, 운영 위원을 역임하였다.<br/>
+
 
1996년 선화랑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1998년 프랑스 파리 제 3회 살롱 쿠 드 쾰르 60인 초대전, 1999년 GALERIE ALEXANDRE LEADOUZE에서 개인전, 2000년 일본 삿포로에서 2000 한국 현대 미술 작가전, 2000년에 프랑스(REIMS), 일본(도쿄), 이태리(피렌체), 한국(광주)에서 동·서양의 끝없는 미의 신비를 향한 여행전을 개최하였다.<br/>
+
초기에 그는 단단한 묘사에 기초를 두고 우리나라의 자연과 전통을 소재로 한 사실적인 작풍을 구사하였다. 프랑스에서 돌아온 이후부터는 회화에 전념하면서 변화를 시도하여 전통적인 색채와 정신을 작품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오방색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감각의 색채를 활용하여 음양오행의 원소들과 기운을 독창적인 형태로 재현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일상의 이미지들을 재구성한 화면이 그것이다. 전통적인 우주의 질서와 정신세계를 종합하여 자신의 회화적 언어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그의 작품들은 국외에서 호평을 받기도 하였다.
이어서 2002년 한·불 구상 회화전을 광주 신세계 갤러리, 2003년 살롱 도톤느전을 파리 도떼이유 전시장, 2004년 광주 비엔날레 한국 특급전에 참여하였다. 2008년 광주 시립 미술관에서 올해의 작가전 오승윤전이 개최되었다. 그러나 화상의 계약 위반으로 인해 우울증과 정신적 고통으로 스스로 세상을 등진 비운의 작가이다.<br/><ref>[http://hwasun.grandculture.net/Contents?local=hwasun&dataType=01&contents_id=GC05601181 "오승윤"], 『디지털화순문화대전 온라인 서비스』,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년 03월 12일 확인</ref>
 
  
 
=='''학력'''==
 
=='''학력'''==

2017년 9월 11일 (월) 04:10 판

()
[[file:|270px|thumb|center|]]
출생지 전남 화순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작가소개

오승윤은 오지호 화백의 둘째 아들로 1939년 황해도 개성에서 태어나 해방 후 아버지의 고향인 전라남도 화순으로 이사하였다. 의사를 꿈꾸었으나 전국학생실기대회에서 최고상을 받은 후 미술로 진로를 바꾸어 홍익대학교 졸업하였으며 프랑스 아카데미 드 라그랑드 쇼미에르 등에서 수학했다.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창설에 참여하여 교수로 재직하다가 프랑스에 수학한 후 교수직을 버리고 화업에 전념하였다. 1970년부터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서 연 6회 특선하였고 추천작가, 초대작가로 활동하였다.

초기에 그는 단단한 묘사에 기초를 두고 우리나라의 자연과 전통을 소재로 한 사실적인 작풍을 구사하였다. 프랑스에서 돌아온 이후부터는 회화에 전념하면서 변화를 시도하여 전통적인 색채와 정신을 작품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오방색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감각의 색채를 활용하여 음양오행의 원소들과 기운을 독창적인 형태로 재현하는 동시에 전통적인 일상의 이미지들을 재구성한 화면이 그것이다. 전통적인 우주의 질서와 정신세계를 종합하여 자신의 회화적 언어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그의 작품들은 국외에서 호평을 받기도 하였다.

학력

  • 1964 홍익대학교 회화과 졸업

경력

  • 1974-1977 전남도전 심사위원
  • 1977-1981 국전 추천ㆍ초대작가
  • 1982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예술대학 교수
  • 1984 제4회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
  • 1992 원로작가 회화전 운영위원
  • 1992 서울미술대전 추진위원
  • 1993 한국자연대전 운영위원장

전시

  • 1970 [개인전] 광주
  • 1977 [개인전] 광주 전일미술관
  • 1978 [개인전] 광주 전일미술관
  • 1979 [개인전] 서울 신문회관
  • 1980 [개인전] 광주 현대화랑 초대
  • 1983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4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4 [개인전] 서울 롯데미술관
  • 1984 [개인전] 파리
  • 1985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 [단체전]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7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 [단체전] 동서양화20인초대전 (광주 남봉미술관)
  • 1990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 [단체전] 한국미술-오늘의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2 [단체전]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2 [단체전]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3 [단체전] SALON D'AUTOMNE 초대출품 (파리)
  • 1993 [단체전] 한국자연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3 [단체전] UNESCO 한국50인전 (파리 UNESCO본부)
  • 1994 [단체전]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4 [단체전] A. BONNEFOIT / 오승윤 2인전 (서울ㆍ광주 신세계갤러리)
  • 1996 [개인전] 서울 선화랑
  • 1996 [단체전] 선묘와 색채의 향연 (광주 신세계갤러리)
  • 1998 [단체전] 아름다운 성찬 (국립현대미술관)
  • 1998 [단체전] 정부 소장미술품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 2000 [단체전] A. BONNEFOIT / FABIO CALVETTI / 오승윤 / SUGIYAMA-YU 3인 순회전 (이탈리아, 프랑스, 한국, 일본)
  • 2001 [단체전] 한일현대미술전 (일본)
  • 2002 [단체전] 한불작가구상회화특별전 (서울ㆍ광주ㆍ인천ㆍ부산ㆍ대구)
  • 2003 [단체전] SALON DE PRINTEMPS

수상

  • 1969 제5회 목우회 공모전 최고상
  • 1969 제5회 전남도전 최고상
  • 1975 제25회 국전 문공부장관상
  • 2004 UN IAEWP 세계평화교육자상

주요작품


민족기록화


관련 항목

A항목 B항목 관계
오승윤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A는 B를 그렸다
오승윤 오승윤-구미전자공업 A는 B를 그렸다
오승윤 오지호 A는 B의 아들이다
오승윤 오승우 A는 B의 형제이다
오승윤 오방색의 화가[1] A는 B로 칭해진다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오승윤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제작연도 1976년
오승윤 오승윤-구미전자공업 제작연도 1975년
오승윤 UN IAEWP 세계평화교육자상 수상연도 2004년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그래프

임시


참고문헌

  • 사이트
    • "오승윤",『한국예술디지털아카이브 온라인 서비스』, 예술자료원. 2017년 03월 12일 확인
    • "오승윤", 『광주미술문화연구소 온라인 서비스』. 2017년 03월 12일 확인
    • "오승윤", 『국립현대미술관 온라인 서비스』. 2017년 03월 12일 확인

주석

  1. yeonah paik, "오방색의 화가 - 오승윤 (O SYNG YOON)", YouTube, 게시일: 2013년 03월 05일. 2017년 03월 10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