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인선사 부도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정의)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곡성 태안사|태안사(泰安寺)]]에 있는 [[혜철|적인선사 혜철(寂忍禪師 惠哲)]]의 | + |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곡성 태안사|태안사(泰安寺)]]에 있는 [[혜철|적인선사 혜철(寂忍禪師 惠哲, 785-861)]]의 [[탑비]]. |
=='''내용'''== | =='''내용'''== |
2017년 9월 7일 (목) 17:00 판
적인선사 부도비 (寂忍禪師浮屠碑) |
|
대표명칭 | 적인선사 부도비 |
---|---|
한자 | 寂忍禪師浮屠碑 |
이칭 |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 |
주소 |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태안사 |
찬자 | 최하(崔賀) |
서자 | 극일(克一) |
건립연대 | 872년 |
|
정의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泰安寺)에 있는 적인선사 혜철(寂忍禪師 惠哲, 785-861)의 탑비.
내용
개요
적인선사 부도비는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의 비신을 복원해 새롭게 만든 것이다. 본래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는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에 위치한 곡성 태안사에 건립한 비였으나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비의 전문은 구례 화엄사에서 보관하고 있는 필사본(筆寫本)으로 확인할 수 있다.[1]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는 경문왕의 왕명으로 872년에 건립되었다. 비문을 지은 사람은 중국 당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던 한림랑(翰林郞) 최하(崔賀)이고, 글씨를 쓴 사람은 중사인(中舍人) 요극일(姚克一)이다. 요극일(姚克一)은 이밖에도 여러 개의 비문을 썼는데, 통일신라시대에 구양순체의 대가로 명성을 얻었다. [2]
이수는 양편에 각각 두 마리의 용이 구름을 사이에서 서로 등을 대고 있는 모습으로 조각되어있고, 정면 한 중앙에는 적인선사(寂忍禪師)라는 글씨가 써져있다. 배면도 정면과 유사한 모양을 보이는데 네 마리의 용이 구름을 배경으로 조각되어있다. 정상에는 보주를 얹어 마감했다. 귀부는 당당하게 앞 발을 들어 무거운 비신을 버티고 있는 모양으로 조각했고 등에는 매우 가는 선으로 거북의 등껍질을 표현했다. 귀부의 등껍질은 다른 탑비의 것과 다르게 끝부분을 단순히 원형으로만 조각한 것이 아니라 호형을 그리며 물결치듯이 마감되어있어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비좌에는 구름 무늬가 화려하게 조각되어있고 그 상부는 연꽃으로 조각했다. 또한 꼬리는 말아올리지 않고 아래로 늘어뜨리고 있다.[3]
1928년 파손돼 넘어진 비신을 새로 만들어 세우면서, 광자대사 부도비의 이수와 적인선사 부도비의 이수가 바뀌었다고 한다. 옛 비신은 글씨를 알아볼 수 없을만큼 마멸된 채 부도비 옆에 넘어져 있었다고 하는데 비신을 온전히 복원할 수 있었던 것은 적인선사 부도비의 탁본이 온전히 전해졌기 때문이다.[4]
비문
비문의 내용은 신라 하대 선종사상의 성격, 9산문의 하나인 동리산문의 개창과 관련된 사실을 연구할 때 핵심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5]
비문 보러가기 |
•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적인선사 부도비 | 곡성 태안사 | A는 B에 있다 | |
적인선사 부도비 |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 | A는 B와 관련있다 | |
적인선사 부도비 | 혜철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
적인선사 부도비 | 최하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적인선사 부도비 | 극일 | A는 B가 비문을 썼다 | |
적인선사 부도비 | 구례 화엄사 | A는 B와 관련있다 |
주석
- ↑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 낭만방랑자,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비", 광주전라,
『다음 블로그 - 내 그리운 나라』online , 작성일: 2012년 1월 25일. - ↑ 沈香, "곡성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大安寺寂忍禪師照輪淸淨塔碑).전남 곡성", 전남,
『다음 블로그 - 푸른새벽』online , 작성일: 2010년 3월 20일. - ↑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 이지관, "곡성 대안사 적인선사 조륜청정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74-93쪽.
- 한국고대사회연구소, 「대안사 적인선사탑비」,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제3책 통일신라,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대안사 적인선사탑비 해석문",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 금석문 세부정보,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 국립문화재연구소. - 낭만방랑자,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비", 광주전라,
『다음 블로그 - 내 그리운 나라』online , 작성일: 2012년 1월 25일. - 沈香, "곡성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大安寺寂忍禪師照輪淸淨塔碑).전남 곡성", 전남,
『다음 블로그 - 푸른새벽』online , 작성일: 2010년 3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