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하동 쌍계사 대웅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번째 줄: 3번째 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하동 쌍계사 대웅전
 
|대표명칭= 하동 쌍계사 대웅전
|한자표기=
+
|한자표기= 河東 雙磎寺 大雄殿
 
|영문명칭= Daeungjeon Hall of Ssanggyesa Temple, Hadong
 
|영문명칭= Daeungjeon Hall of Ssanggyesa Temple, Hadong
 
|이칭=
 
|이칭=
22번째 줄: 22번째 줄:
  
 
=='''정의'''==
 
=='''정의'''==
 +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하동 쌍계사|쌍계사(雙磎寺)]]에 있는 조선 중기의 불전.<ref>장경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083 하동 쌍계사 대웅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내용'''==
 +
보물 제500호.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3단의 자연석축으로 형성한 단축(段築) 위에 기단을 놓고 그 위에 세워져 있으며, 내외 3출목 7포작인 다포계 구조형식이다.
  
=='''내용'''==
+
기둥은 배흘림 없이 높게 세워지고 활주(活柱 : 추녀 뿌리를 받친 가는 기둥)를 두고 있으며, 평방 위에 배치한 공간포(空間包)는 중앙의 3칸에는 2개씩이고 좌우협간에는 1개씩이다. 공포의 구성은 외부로 앙서[仰舌] 위에 수서[垂舌]와 같은 한대의 뺄목을 두고 있고, 앙서는 짧게 나왔으며, 내부의 살미끝은 교두형(翹頭形 : 圓弧形으로 깎아낸 모양)으로서 비교적 우아하고 오래된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
 
 +
보아지 역시 아름답게 조각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내부에는 우물반자를 짜올렸고, 중앙 뒤측에는 불단을 꾸미고 있으며, 불단 위에는 포집으로 된 3칸닫집을 잘 짜서 그 밑에 용과 연화 등의 조각을 늘여뜨리고 있다. 단청은 화려한 금단청으로 되어 있다.
  
 +
정면 중 중앙 3칸에는 각각 4분합의 빗살문이 달려 있고, 좌우 협간에는 井자살문의 문이 달렸는데, 중앙 3칸의 빗살문은 궁창판 위에 팔각형의 불발기살창을 가지고 있으며, 창 위 창방 밑에는 교창(交窓 : 낮은 창)을 설치하였다.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그래프 삽입"

2017년 9월 3일 (일) 22:56 판

하동 쌍계사 대웅전
(河東 雙磎寺 大雄殿)
대표명칭 하동 쌍계사 대웅전
한자표기 河東 雙磎寺 大雄殿
영문명칭 Daeungjeon Hall of Ssanggyesa Temple, Hadong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사(雙磎寺)에 있는 조선 중기의 불전.[1]

내용

보물 제500호.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건물. 3단의 자연석축으로 형성한 단축(段築) 위에 기단을 놓고 그 위에 세워져 있으며, 내외 3출목 7포작인 다포계 구조형식이다.

기둥은 배흘림 없이 높게 세워지고 활주(活柱 : 추녀 뿌리를 받친 가는 기둥)를 두고 있으며, 평방 위에 배치한 공간포(空間包)는 중앙의 3칸에는 2개씩이고 좌우협간에는 1개씩이다. 공포의 구성은 외부로 앙서[仰舌] 위에 수서[垂舌]와 같은 한대의 뺄목을 두고 있고, 앙서는 짧게 나왔으며, 내부의 살미끝은 교두형(翹頭形 : 圓弧形으로 깎아낸 모양)으로서 비교적 우아하고 오래된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보아지 역시 아름답게 조각된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내부에는 우물반자를 짜올렸고, 중앙 뒤측에는 불단을 꾸미고 있으며, 불단 위에는 포집으로 된 3칸닫집을 잘 짜서 그 밑에 용과 연화 등의 조각을 늘여뜨리고 있다. 단청은 화려한 금단청으로 되어 있다.

정면 중 중앙 3칸에는 각각 4분합의 빗살문이 달려 있고, 좌우 협간에는 井자살문의 문이 달렸는데, 중앙 3칸의 빗살문은 궁창판 위에 팔각형의 불발기살창을 가지고 있으며, 창 위 창방 밑에는 교창(交窓 : 낮은 창)을 설치하였다.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장경호, "하동 쌍계사 대웅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