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1
+
{{개념정보
|이미지=  
+
|사진=  
 
|사진출처=  
 
|사진출처=  
 
|대표명칭= 고기
 
|대표명칭= 고기
 
|한자표기= 告期
 
|한자표기= 告期
|이칭별칭= 청기(請期)
+
|영문명칭=
 +
|이칭= 청기(請期)
 
|유형= 의례
 
|유형= 의례
|시대= 조선
+
|관련개념= [[가례]]([[혼례]])
|성격= 가례(혼례)
 
 
}}
 
}}
  
==정의==
+
=='''정의'''==
왕실 [[육례|육례(六禮)]]의 하나로, 혼인 날짜를 정해 신부집에 알리는 절차이다.<br/>
+
왕실 [[가례]] 본 의식인 육례(六禮)의 하나로, '혼인 날짜를 정해 신부집에 알리는 절차'이다.<br/>
  
==내용<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138~139쪽.</ref>==
+
=='''내용'''==
고례(古禮)의 [[청기|청기(請期)]]와 유사하다.<br/>
 
[[청기|청기(請期)]]는 신랑집에서 신부집에 혼인 날짜를 정해줄 것을 청하는 것으로, 형식적으만 청할 뿐 실제로는 신랑집에서 정한 날짜를 알려준다.<br/>
 
신랑집에서 날을 정하는 것은 양이 부르면 음이 화답하는 자연의 이치를 따른 것이다.<br/>
 
  
==지식 관계망==
+
고례(古禮)의 [[청기|청기(請期)]]와 유사하다. [[청기|청기(請期)]]는 신랑집에서 신부집에 혼인 날짜를 정해줄 것을 청하는 것으로, 형식적으만 청할 뿐 실제로는 신랑집에서 정한 날짜를 알려준다.<ref>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138~139쪽.</ref> [[명사봉영|명사봉영(命使奉迎)]] 또는 [[친영|친영(親迎)]]의 날짜를 [[왕비]]나 [[왕세자빈]] 등 신부의 집에 알리는 의절로 의식 절차는 [[왕]]이 정사(正使) 일행에게 고기례(告期禮)를 행하도록 명하면, 정사 일행이 왕비 집에 가서 교서(敎書)를 전달하고,신부 집에서 이를 받아들인다.<ref>『國朝五禮儀』 권 3,「嘉禮」'納妃儀'.</ref>
 +
 
 +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29번째 줄: 28번째 줄:
 
|'''{{PAGENAME}}'''  || [[가례]] ||A는 B의 부분이다
 
|'''{{PAGENAME}}'''  || [[가례]] ||A는 B의 부분이다
 
|}
 
|}
 +
=='''시각자료'''==
 +
===갤러리===
 +
===영상===
  
==시각자료==
+
=='''주석'''==
===사진===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김문식, 「1823년 明溫公主의 가례 절차」, 『조선시대사학보』 56, 조선시대사학회, 2011.
 
* 김문식, 「1823년 明溫公主의 가례 절차」, 『조선시대사학보』 56, 조선시대사학회, 2011.
62번째 줄: 62번째 줄: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더 읽을거리===
[[분류:궁중기록화]]
+
===유용한 정보===
[[분류:개념]]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개념]] [[분류:의례]]
[[분류:의례]]
 

2017년 8월 20일 (일) 14:59 판

고기
(告期)
대표명칭 고기
한자표기 告期
이칭 청기(請期)
유형 의례
관련개념 가례(혼례)



정의

왕실 가례 본 의식인 육례(六禮)의 하나로, '혼인 날짜를 정해 신부집에 알리는 절차'이다.

내용

고례(古禮)의 청기(請期)와 유사하다. 청기(請期)는 신랑집에서 신부집에 혼인 날짜를 정해줄 것을 청하는 것으로, 형식적으만 청할 뿐 실제로는 신랑집에서 정한 날짜를 알려준다.[1] 명사봉영(命使奉迎) 또는 친영(親迎)의 날짜를 왕비왕세자빈 등 신부의 집에 알리는 의절로 의식 절차는 이 정사(正使) 일행에게 고기례(告期禮)를 행하도록 명하면, 정사 일행이 왕비 집에 가서 교서(敎書)를 전달하고,신부 집에서 이를 받아들인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고기 A는 B를 행한다
왕비 고기 A는 B를 행한다
고기 가례 A는 B의 부분이다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138~139쪽.
  2. 『國朝五禮儀』 권 3,「嘉禮」'納妃儀'.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권오영 외, 『조선 왕실의 嘉禮』,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김문식, 「1823년 明溫公主의 가례 절차」, 『조선시대사학보』 56, 조선시대사학회, 2011.
  • 김문식, 신병주 지음,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선아, 「조선시대 치마ㆍ저고리 배색 특성에 관한 고찰-『嘉禮都監儀軌󰡕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22권 1호, 한국색채학회, 2008.
  • 김아람, 「복식고증을 통한 복온공주 혼례 친영반차도 구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김정진, 「朝鮮時代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班次圖의 構造的 硏究」,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백영자․김정진, 「조선시대 『嘉禮都監儀軌』의 班次圖에 나타난 服飾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4권 2호, 한국의류학회, 1990.
  • 신명호, 『조선의 왕』, 가람기획, 2000.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신병주, 박례경 외 2명 저, 『왕실의 혼례식 풍경 (조선 왕실의 행사 2)』, 돌베개, 2013.
  • 신순자,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唐衣에 대한 고찰」,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1989.
  • 심승구, 「조선시대 왕실혼례의 추이와 특성」, 『朝鮮時代史學報』 41, 조선시대 사학회, 2007.
  • 유송옥, 「조선왕조시대 가례도감의궤와 그에 나타난 복식」, 『大東文化硏究』 20,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1986.
  • 유송옥,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 1991.
  • 이경자, 「『嘉禮都監儀軌』의 服飾 硏究」, 『服飾』 1권, 한국복식학회. 1977.
  • 이욱,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덕온공주 가례 절차」,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이욱, 「조선후기 後宮 嘉禮의 절차와 변천-慶嬪 金氏 嘉禮를 중심으로」, 『장서각』 19,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이은주, 「『덕온공주가례등록』을 통해 본 공주가례복식」, 『한국복식』 30,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2.
  • 이주미, 「『연잉군가례등록』에 나타난 왕자가례의 절차와 복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임민혁, 「조선시대 『謄錄』을 통해 본 왕비의 親迎과 권위」, 『韓國史學史學報』 25, 한국사학사학회, 2012.
  • 임민혁, 『조선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조미나, 「조선왕조 『가례도감의궤』에 나타난 궁녀의 직무에 따른 복식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최경순, 「嘉禮都監儀軌에 나타난 가례복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韓國衣類學會誌』 15권 1호, 한국의류학회, 1991.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