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근정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유물유적정보
 
{{유물유적정보
 
|사진= 한글팀 경복궁 근정전 01.jpg
 
|사진= 한글팀 경복궁 근정전 01.jpg
|사진출처= 경복궁 근정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6489&cid=46656&categoryId=46656 경복궁 근정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
|사진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6489&cid=46656&categoryId=46656 경복궁 근정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
 
|대표명칭= 경복궁 근정전
 
|대표명칭= 경복궁 근정전
 
|한자표기= 景福宮勤政殿
 
|한자표기= 景福宮勤政殿

2017년 8월 17일 (목) 02:44 판

경복궁 근정전
(景福宮勤政殿)
"경복궁 근정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대표명칭 경복궁 근정전
한자표기 景福宮勤政殿
유형 유적, 궁궐
시대 조선/1396년
지정번호 국보 제223호
지정일 1985년 1월 8일



정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경복궁의 정전(正殿)으로, 조선 후기의 전각. [1]

내용

구조

정면 5칸, 측면 5칸의 팔작지붕 중층건물로 공포(栱包)는 다포계(多包系)이고, 구조는 전후 툇간 11량(前後退間十一樑)구조이다.

성격

신하들의 조하(朝賀)를 받거나 정령(政令)을 반포하는 정전(正殿)으로, 때로는 사신을 맞아들이기도 하고 양로연(養老宴)이나 위로연을 베풀기도 하던 곳이다.

역사적 변천

현재의 건물은 1867년 중건된 것으로, 경복궁 창건 당시인 1395년(태조 4)에 지은 건물이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270여 년 만에 다시 지은 건물이다. 중건 당시 태조 때의 건물을 원래대로 복구하지 않고 회랑(廻廊)을 단랑(單廊)에서 복랑(複廊)으로 바꾸고 월대(月臺: 궁전 앞에 있는 섬돌)도 새로 만드는 등 변화가 있었다. 현재의 근정전은,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2000년부터 진행되어온 보수공사의 결과이다. 근정전의 보수는 건물을 지탱해주는 고주(高柱, 높은 기둥) 4개의 맞춤부분이 벌어지고 용마루와 처마가 처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어 1층의 연목과 2층에 해당하는 부분을 완전히 해체하여 재조립한 대규모 공사로, 2000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46개월에 걸쳐 약 72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완료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경복궁 근정전 명성황후 상존호옥책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주석

  1. 김동현, "경복궁 근정전(景福宮勤政殿)",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저서
    • 허균, 『사료와 함께 새로 보는 경복궁』,한림미디어, 2005.
    • 신응수, 『경복궁 근정전』, 현암사, 2005.
    • 신영훈, 『조선의 정궁 경복궁』, 조선일보사, 2003.
    • 문화재관리국, 『조선조왕궁중요건축물지정조사서』,문화재관리국, 1984.
    • 고적편, 『서울특별시사』,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63.
    • 장대원, 『경복궁중건에 대한 소고』, 향토서울 16,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