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선대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4번째 줄: 24번째 줄: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초계정씨 단자]]||A는 B와 관련이 있다||
+
|{{PAGENAME}}||[[학봉 김성일이 아내 안동권씨에게 보낸 편지]]||A는 B와 관련이 있다||
 
|}
 
|}
  
35번째 줄: 35번째 줄: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
 
 
==참고문헌==
 
==참고문헌==
 +
*사료
 +
** 『고려사(高麗史)』
 +
** 『태조실록(太祖實錄)』
 +
** 『고종실록(高宗實錄)』
 +
** 『순종실록(純宗實錄)』
 +
** 『경국대전(經國大典)』
 +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단행본
 
*단행본
** 최승희, 「호구단자준호구(戶口單子ㆍ准戶口)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규장각』Vol.7 No.-, 1983.
+
** 이성무, 『조선초기 양반연구(朝鮮初期 兩班硏究 ), 한국학술정보, 2001.
**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韓國古文書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
** 徐宗伋(朝鮮) 撰; 申晦(朝鮮) 書; 金陽澤(朝鮮) , 「嘉善大夫同知義禁附事鄭公墓碣銘. 全」, 1774.
** 최홍기, 『한국호적제도사연구(韓國戶籍制度史硏究)』, 서울대학교출판부, 1975.
+
<!--
 
+
http://lib.aks.ac.kr/search/DetailView.ax?sid=1&cid=166513
 +
-->
 
====더 읽을거리====
 
====더 읽을거리====
 
*논문
 
*논문
** 權奇重, 「조선후기 서울의 호구 변동과 인구기록의 특성」, 한국학논총,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Vol.47 No.- ,2017, 213-239(27쪽).
+
** 최이돈, 「조선 초기 특권 관품의 정비과정」, 『조선시대사학보』, 조선시대사학회, Vol.67 No.- [2013], 85-132(48쪽).
** 장경준, 「조선후기 호적대장과 '戶'의 성격 : 경상도 지역 사례」,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5.
+
 
** 문현주, 「조선시대 戶口單子의 작성에 관한 연구」,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古文獻管理學 專攻, 석사학윈논문, 2009.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2017년 8월 9일 (수) 22:11 판

가선대부
(嘉善大夫)
대표명칭 가선대부
한자표기 嘉善大夫
유형 제도, 위호, 품계


정의

조선시대 종2품의 하계(下階) 문관의 품계. [1]

내용

1392년(태조 1) 7월 새로이 관제를 제정할 때 설치되었으며,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 때 칙임관(勅任官)의 하한(下限)인 종2품을 가선대부라 하고, 의정부도헌(議政府都憲), 각 아문 협판(協辦), 경무사(警務使) 중 초임자가 이에 해당하였다. → 문산계. 고려시대의 자덕대부(資德大夫)에 해당한다.[2]

조선시대 종이품(從二品)의 문관과 무관에게 주던 품계이다. 종이품의 하계(下階)로서 가정대부(嘉靖大夫)·가의대부(嘉義大夫)보다 아래 자리이다. 경국대전(經國大典) 이후로 문무관에게만 주다가,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는 종친(宗親)과 의빈(儀賓: 임금의 사위)에게도 주었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가선대부 학봉 김성일이 아내 안동권씨에게 보낸 편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이성무, "가선대부(嘉善大夫)",『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성무, "가선대부(嘉善大夫)",『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선대부(嘉善大夫), [네이버 지식백과](관직명사전)

참고문헌

  • 사료
    • 『고려사(高麗史)』
    • 『태조실록(太祖實錄)』
    • 『고종실록(高宗實錄)』
    • 『순종실록(純宗實錄)』
    • 『경국대전(經國大典)』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이성무, 『조선초기 양반연구(朝鮮初期 兩班硏究 )』, 한국학술정보, 2001.
    • 徐宗伋(朝鮮) 撰; 申晦(朝鮮) 書; 金陽澤(朝鮮) 篆, 「嘉善大夫同知義禁附事鄭公墓碣銘. 全」, 1774.

더 읽을거리

  • 논문
    • 최이돈, 「조선 초기 특권 관품의 정비과정」, 『조선시대사학보』, 조선시대사학회, Vol.67 No.- [2013], 85-132(4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