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탕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혜영 (토론)의 48172판 편집을 되돌림)
1번째 줄: 1번째 줄:
 
{{단체정보
 
{{단체정보
|사진=한글팀 내탕고 내탕고.JPG
+
|사진=
|사진출처=대한민국 구석구석
+
|사진출처=
|대표명칭=내탕고
+
|대표명칭=의정부
|한자표기=內帑庫
+
|한자표기=議政府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
|이칭= 도당, 묘당, 정부, 황각, 낭묘
 
|유형=
 
|유형=
 
|창립자=
 
|창립자=
 
|창립시대=조선
 
|창립시대=조선
|창립일=
+
|창립일= 1400년
|변경일=
+
|변경일=  
|해체일=
+
|해체일= 1907년
|주요업무=
+
|주요업무= 국정 회의
|담당업무=왕실 재산 보관 창고
+
|담당업무= 국정 회의
 
|관련기관=
 
|관련기관=
|관련단체=내수사
+
|관련단체=
|소재지=서울특별시 [[경복궁 사정전]]
+
|소재지=
 
|웹사이트=
 
|웹사이트=
 
}}
 
}}
  
 
==정의==
 
==정의==
조선시대 왕실의 재물을 보관하던 창고이자 그것을 관리하던 기관이다.
+
모든 관료들을 통솔하고 국정의 제반 업무를 관장하였던 조선시대 최고의 행정기관이다.
  
 
==내용==
 
==내용==

2017년 8월 9일 (수) 16:24 판

의정부(議政府)
대표명칭 의정부
한자표기 議政府
이칭 도당, 묘당, 정부, 황각, 낭묘
창립시대 조선
창립일 1400년
해체일 1907년
주요업무 국정 회의
담당업무 국정 회의



정의

모든 관료들을 통솔하고 국정의 제반 업무를 관장하였던 조선시대 최고의 행정기관이다.

내용

기관으로서의 내탕고, 내수사

내수사는 왕실의 사유재산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내탕고는 때로 내수사를 지칭하는 의미를 가지기도 하였다. [1] 내수사는 함흥에 있는 조선 태조의 사가(私家), 조선 태종의 사가(私家)의 재산을 관리하던 부서였다. 그러다 조선 세종때 그 업무가 확대되어 국가 공식기구로 등록되었다. 조선 성종대 이후 내수사에서 관리하는 왕실농장의 고리대금이 심해지자, 왕실의 재산은 모두 국가의 재산인데 왕실이 사사로이 재산을 축적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어나 내수사 폐지가 논의된다. [2] 그러나 매번 논의에만 그치다가 1801년 조선 순조대에 내수사의 노비가 혁파되었고 조선 고종대에 폐지되었다. [3]

창고로서의 내탕고

내탕고는 금, 은, 비단, 음식 등 왕실의 재물을 보관하던 창고이다. 가뭄이나 홍수 같은 천재지변이 일어나 백성이 곤궁하게 되었을 때, 이 내탕고의 재물로서 구휼하기도 하고, 관료들에게 포상을 내리기도 하였다. 또 주변 사람들에게 선물하는데 이용하기도 하였다.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내탕고의 재물은 왕실의 사사로운 사용뿐 아니라, 왕실의 체면과 권위를 유지하는 재원으로 기능하기도 하였다.[4] 경복궁 사정전의 앞에 있으며, 총 10개의 방으로 나뉘어있다. 천자문의 앞 10자를 따서 배열 순서대로 이름을 붙였다. 맨 처음 '천자고', '지자고' 부터 마지막 '월자고'까지이다. [5]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내탕고 조선 태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내탕고 조선 태종 A는 B와 관련이 있다
내탕고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 A는 B에 언급된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801 조선 순조가 내탕고의 노비를 혁파하였다.
조선후기 조선 고종이 내탕고를 폐지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90885 126.9748553 내탕고는 경복궁에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정현재, 「내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숙연, 「조선전기(朝鮮前期) 내수사(內需司) 폐지 논쟁과 군주(君主)의 위상」, 『대동문화연구』 8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137-140쪽.
  3. 정현재, 「내수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정현재, 「내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5. 박석희·최식원·황금희, 『경복궁에서 세종과 함께 찾는 조선의 정체성』, 미다스북스, 2013.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논문
    1. 지승종, 「조선전기 내수사의 성격과 내수사노비」, 『한국학보』11, 일지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