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단의빈예장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번째 줄: 20번째 줄:
  
 
=='''정의'''==
 
=='''정의'''==
1718년 [[단의빈(단의왕후)|단의빈(端懿嬪)]]의 장례를 치르는 예장(禮葬)<ref>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장례는 국장(國葬)이라하며, 세자와 세자빈 이하는 예장(禮葬)이라 한다.</ref> 과정을 기록한 [http://heritage.unesco.or.kr/mows/uigwe-the-royal-protocols-of-the-joseon-dynasty/ 의궤]이다.
+
1718년 [[단의빈(단의왕후)|단의빈(端懿嬪)]]의 장례를 치르는 예장(禮葬)<ref>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장례는 국장(國葬)이라하며, 왕세자와 왕세자빈 이하는 예장(禮葬)이라 한다.</ref> 과정을 기록한 [http://heritage.unesco.or.kr/mows/uigwe-the-royal-protocols-of-the-joseon-dynasty/ 의궤]이다.
  
 
=='''내용'''==
 
=='''내용'''==
단의빈은 1718년 2월 7일 [[창덕궁 장춘헌]]에서 승하하였다. 2월 10일 [[경극당]]으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2433900 재궁(梓宮)]을 옮겼고, 4월 16일 [[발인]]하였다. 4월 19일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930000,31 혜릉(惠陵)]에 안치되었으며, [[창경궁]] 내 옛 내반원 자리에 신주를 봉안하였다.
+
단의빈은 1718년 2월 7일 [[창덕궁 장춘헌]]에서 승하하였다. 2월 10일 [[창덕궁 경극당]]으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2433900 재궁(梓宮)]을 옮겼고, 4월 16일 [[발인]]하였다. 4월 19일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930000,31 혜릉(惠陵)]에 안치되었으며, [[창경궁]] 내 옛 내반원 자리에 신주를 봉안하였다.
  
 
===목록===
 
===목록===

2017년 8월 9일 (수) 15:36 판


단의빈예장도감의궤
(端懿嬪禮葬都監儀軌)
국립중앙박물관
대표명칭 단의빈예장도감의궤
한자표기 端懿嬪禮葬都監儀軌
주제 흉례(凶禮)
작성주체 예장도감(禮葬都監)
의례담당자 서종태(徐宗泰)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18년(숙종 44년)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강화부)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어람용: 총 1책 346장
강화부: 총 1책 179장
크기 어람용: 48.7×36.5
강화부: 45.6×33.7
도설 45면(상책 7면, 하책 38면)(채색)
반차도 어람용: 20면(상책)(채색)
총 길이: 약 740㎝
강화부: 22면(상책)(채색)
총 길이: 약 748㎝



정의

1718년 단의빈(端懿嬪)의 장례를 치르는 예장(禮葬)[1]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단의빈은 1718년 2월 7일 창덕궁 장춘헌에서 승하하였다. 2월 10일 창덕궁 경극당으로 재궁(梓宮)을 옮겼고, 4월 16일 발인하였다. 4월 19일 혜릉(惠陵)에 안치되었으며, 창경궁 내 옛 내반원 자리에 신주를 봉안하였다.

목록

상책: 좌목(座目), 계사(啓辭), 달사(達辭), 별단(別單), 장달(狀達), 이문(移文), 내관(來關), 예관(禮關), 의주(儀註), 품목(稟目), 감결(甘結),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하책: 이방(二房), 삼방(三房), 분전설사(分典設司), 분장흥고(分長興庫), 지석소(誌石所), 우주소(虞主所), 별공작(別工作)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상책)
국립중앙박물관 해제(하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상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하책)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636)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573)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처미상(K2-2937)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단의빈예장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단의빈예장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단의빈예장도감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단의빈예장도감의궤 상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18년 2월 7일 단의빈(단의왕후)창덕궁 장춘헌에서 승하하였다
1718년 『단의빈예장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615973 127.128253 사적 제193호인 혜릉(惠陵)은 단의빈(단의왕후)의 무덤이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왕의 행렬

번호 이미지 대상 설명[2] 복장/복식
1 aa aa aa aa

왕비의 행렬

번호 이미지 대상 설명[3] 복장/복식
1 aa aa aa aa

도감 관원의 행렬

번호 이미지 대상 설명[4] 복장/복식
1 aa aa aa aa

주석

  1.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장례는 국장(國葬)이라하며, 왕세자와 왕세자빈 이하는 예장(禮葬)이라 한다.
  2. 제송희,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하)",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3. 제송희,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하)",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4. 제송희,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하)",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