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이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26번째 줄: 26번째 줄:
  
 
=='''갤러리'''==
 
=='''갤러리'''==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탑비의 이수''">
+
<gallery mode=packed heights=200px caption='탑비의 이수'>
파일:BHST_Borimsa_Bojo_stele-isu.jpg|[[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이수]]
+
파일:BHST_Borimsa_Bojo_stele-isu.jpg|[[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884)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isu.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 이수]]
+
파일: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886)
파일:BHST_Gagyeonsa_Tongil_stele-isu.jpg|[[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이수]]
+
파일:BHST Ssangyesa Heysostele isu.jpg|[[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887)
파일:BHST_Jeongtosaji_Beopgyeong_stele-isu.jpg|[[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이수]]
+
파일: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890)
 +
파일: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890년 이후)
 +
파일: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9세기 중엽)
 +
파일:BHST Ssangbongsa Cheolgam stele isu.jpg|[[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9세기 말)
 +
파일: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905)
 +
파일: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924)
 +
파일: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924)
 +
파일: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939)
 +
파일: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940)
 +
파일: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940)
 +
파일: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941)
 +
파일:BHST_Jeongtosaji_Beopgyeong_stele-isu.jpg|[[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943)
 +
파일:BHST Beopheungsa Jinghyo stele isu-front.jpg|[[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944)
 +
파일: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946)
 +
파일: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950)
 +
파일: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954)
 +
파일:BHST_Gagyeonsa_Tongil_stele-isu.jpg|[[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958)
 +
파일: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965)
 +
파일: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975)
 +
파일: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978)
 +
파일: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979)
 +
파일: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1017)
 +
파일: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1025)
 +
파일: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1060)
 +
파일: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1085)
 +
파일: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1111)
 +
파일: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1125)
 +
파일: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1137)
 +
파일: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1147)
 +
파일: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1180)
 +
파일: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1185)
 +
파일: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1224)
 +
파일: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1234년 이후로 추정)
 +
파일: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1295)
 +
파일: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1358)
 +
파일: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1377)
 +
파일: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1379)
 +
파일: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1385)
 +
파일: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1386)
 +
파일: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1393)
 +
파일: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1394)
 +
파일: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1398)
 +
파일: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1612)
 +
파일:BHST_Dogapsa_Doseon-Sumi_stele-isu.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1653)
 +
파일: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미상)
 
</gallery>
 
</gallery>
  

2017년 8월 7일 (월) 18:24 판

틀:개념정보상세

정의

용의 모양을 새긴 비석 머릿돌.

내용

'이(螭)'자는 본래 뿔이 없는 용, 혹은 교룡(蛟龍)을 가리키는 글자로서, 이수(螭首)는 뿔이 달리지 않은 가상적인 동물인 용 두 마리가 서로 어울려 있는 것이다.[1]

이수라는 용어와 양식은 중국에서부터 사용한 것으로, 본래는 이기(彛器)·비액(碑額)·석주(石柱)·석계(石階)·인장(印章)·종(鐘)·정(鼎) 등의 표면과 머리 부분에 용의 형체를 조각하여 장식한 것을 말하는데, 이 가운데 비액의 이수가 형체나 크기로 보아 가장 대표적인 것이어서 오늘날의 일반적인 개념이 되었다.[2]

갤러리

주석

  1. "이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수",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