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방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10번째 줄: 10번째 줄:
 
}}
 
}}
 
=='''정의'''==
 
=='''정의'''==
장원급제자(壯元及第者)가 왕(王)에게 절하고 홍패(紅牌)와 어사화(御賜花)를 하사(下賜)받는 의식(儀式). <ref>"[http://hanja.naver.com/word?q=%E6%94%BE%E6%A6%9C%E7%A6%AE&cp_code=0&sound_id=0  방방례(放榜禮)]",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장원급제자(壯元及第者)가 왕(王)에게 절하고 [[홍패|홍패(紅牌)]][[어사화|어사화(御賜花)]]를 하사(下賜)받는 의식(儀式). <ref>"[http://hanja.naver.com/word?q=%E6%94%BE%E6%A6%9C%E7%A6%AE&cp_code=0&sound_id=0  방방례(放榜禮)]",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
 
<!--
 
=='''내용'''==
 
=='''내용'''==
경사를 매 일본마다 [[익직]](搦織)하여 제직한 직물로서 한더위 때의 한복용 옷감이다. ≪[[궁중발기]]≫에는 분홍은조사·다홍은조사·백은조사·설백은조사·진홍은조사·옥색은조사·청옥색은조사·남은조사·두록은조사·양남은조사·초록은조사·남송은조사·진분홍은조사·일남은조사 등의 기록이 있어 색상이 다양하였음이 나타난다.
 
 
우리 나라에서 사용된 은조사는 국내산·중국산·일본산 등이었으며, 보통 여인들의 한더위 때 깨끼치마·저고릿감으로 사용되었다. 은조사는 반드시 안과 밖을 같은 감으로 겹쳐서 지어 입는다. 이와 같이, 겹으로 겹치면 옷감의 올과 올이 겹치며 ‘모아레문’이 천태만상으로 나타나는데, 그 무늬의 어울림이 시각적으로 시원할 뿐만 아니라 청아한 멋이 풍겨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경사는 생사, 위사는 연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익직이 위사투입 후 매번 되므로 평직같이 보이나 방공이 넓어 시원스러운 옷감이다.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2878  은조사(銀造紗)]",<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4번째 줄: 20번째 줄:
 
|-
 
|-
 
|{{PAGENAME}}||[[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A는 B와 관련이 있다||
 
|{{PAGENAME}}||[[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PAGENAME}}||[[장원급제]]||A는 B와 관련이 있다||
 
|}
 
|}
  
36번째 줄: 34번째 줄:
 
<!--
 
<!--
 
==참고문헌==
 
==참고문헌==
===사료===
+
===유용한 정보===
*『궁중건기(宮中件記)』
+
*조선시대 과거제 재현, "[http://blog.naver.com/najyong123/220144357496  조선시대 과거제 재현행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블로그 - 호수보기』<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4년 10월 08일.
 
 
===저서===
 
* 장사훈,『한국무용개론』, 대광문화사, 1984
 
* 장사훈,『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1979
 
* 차주환,『당악(唐樂)연구』, 범학도서, 1976
 
  
===논문===
 
*이봉이, 「조선시대 말기 왕·왕비 복식 재현 제작 연구」, 학위논문(박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한국복식 2014. 8
 
*박혜원, 「적삼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의류학과 2009. 8. 졸업
 
 
-->
 
-->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분류:한글고문서]] [[분류:개념]]

2017년 8월 4일 (금) 23:21 판

방방례
(放榜禮)
대표명칭 방방례
한자표기 放榜禮
관련개념 의식


정의

장원급제자(壯元及第者)가 왕(王)에게 절하고 홍패(紅牌)어사화(御賜花)를 하사(下賜)받는 의식(儀式). [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방방례 정기상에게 보내는 어머니의 편지 A는 B와 관련이 있다
방방례 장원급제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방방례(放榜禮)", 『네이버 사전』online, 네이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