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작품)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작품'''== | =='''작품'''== | ||
[[파일:민족_샘플2.JPG|800px|center]] | [[파일:민족_샘플2.JPG|800px|center]] | ||
− | ''' | + |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으로, [[김태]] 화백의 작품이다. 현재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br/> |
− | |||
− | |||
해당 작품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답사를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br/> | 해당 작품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답사를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br/> | ||
− | |||
=='''형식'''== | =='''형식'''== |
2017년 1월 24일 (화) 14:40 판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
작가 | 김태 |
---|---|
제작연도 | 1979년 |
규격 | 300호(290.9x197cm) |
유형 | 조선 |
분류 | 유화 |
소장처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작품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으로, 김태 화백의 작품이다. 현재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
해당 작품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답사를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형식
일반적인 민족기록화의 경우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원근감을 이용하여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하단의 중앙에는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귀신 모양을 한 왜장이 한손에는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는 장면이 화면의 중앙을 차지하고 있다. 왜장이 탄 말은 사나운 표정으로 울부짖고 있고, 왜장의 왼편에는 등 뒤에 여러 대의 화살을 맞고 고통스럽게 죽아 가는 왜병의 모습과 쓰려져 가는 말을 표현하였다. 오른편에는 불길에 휩싸여 말 발굽에 치이는 반라의 인물이 그려져 있다. 왼편 하단에는 적병의 시신이 겹겹이 쓰러져 있는 모양을 짙은 색으로, 불화살 공격으로 화염속에 타들어 가는 왜병들의 모습을 붉은 색을 사용하여 강렬하게 표현하였다. 그림 전체에서 왜군들은 반라의 모습을 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1차 진주성싸움에서 왜군은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와 나무 방패를 이용하여 성을 공격하였는데, 이 작품의 여러 곳에서 대나무 방패 뒤에 숨어 성을 향해 조총을 발사하는 왜군과 사다리를 타고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림의 상단의 왼쪽 끝에는 푸른 색으로 칠해진 남강이 보이고 왜군의 주요 공격 지점이었던 동문과 북문을 두축으로 성을 공격하는 적군에 각종 무기로 반격하는 조선군의 모습을 그려 놓았다. 대나무 사다리를 타고 성벽을 오르는 왜군을 향해 끊는 물을 붓고 화살을 아끼기 위하여 돌을 던지는 병사들의 모습이 보인다.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그림에서도 성안에 노랑,파랑,적색의 용대기들이 수 없이 나부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11월 8일 교수님 조언대로, 작품 기사 관련하여 어떤 작가가 언제 어떤식으로 어떤의도로 그림을 그렸는지 기재하고, 작품의 배경지식 보다는 작품 자체에 대한 설명을 담고자 함. / 김정화 교수님께 민족기록화의 회화성에 대해 조언을 얻고자 함
관련 민족기록화
조선시대 배경 작품
추출정보
작품정보 연결망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관련항목
노드 | 관계 | 노드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에 의해 그려지다 | 김태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에 소장되어 있다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를 소재로 한다 | 김정호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를 소재로 한다 | 대동여지도 |
참고문헌
- "김정호",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6년 12월 26일 확인
- "대동여지도", 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6년 12월 26일 확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