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왕실남성)]]은 왕실 남성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복식정보
+
*[[폐슬(왕실여성)|폐슬(蔽膝)(왕실여성)]]은 왕실 여성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이미지= .jpg
+
*[[폐슬(백관)|폐슬(蔽膝)(백관)]]은 백관이 착용하는 복식이다.
|대표명칭= {{PAGENAME}}
 
|이칭별칭=
 
|착용시대= 삼국시대, 고려, 조선, 대한제국
 
|착용신분= 왕실, 궁중
 
|착용성별= 남성, 여성
 
|착용연령= 아동, 성인
 
|복식구성= [[12장문(十二章紋)|장문(章紋)]]
 
|관련복식= [[면복(冕服)]], [[강사포(絳紗袍)|원유관복(遠遊冠服)]], [[강사포(絳紗袍)|통천관복(通天冠服)]] [[적의(翟衣)]], [[제복(祭服)]], [[조복(朝服)]]
 
|복식구분= 예복 장식
 
|필드수= 10
 
}}
 
==정의==
 
조선시대 왕과 관리의 [[제복(祭服)]], [[조복(朝服)]] 일습 중의 하나.<ref>[http://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88 한국복식사전:폐슬]</ref>
 
  
==기원==
+
[[분류:동음이의어]]
고대인들의 생식기 가리개가 폐슬로 정착됨.
+
[[분류:프로젝트관리]]
 
 
==어원<ref>최연우(2015) 『면복』, 문학동네, p. 41.</ref>==
 
'무릎을 가린다'라는 뜻으로, 허리 앞에 착용하고 무릎[]을 꿇으면 무릎이 가려지기[蔽] 때문에 폐슬이라고 함.
 
 
 
==착용신분과 착용상황==
 
==내용==
 
===동음이의어, 이음동의어(옵션)===
 
===유래(옵션)===
 
===사여기록(옵션)===
 
===기본 형태(옵션)===
 
===신분별 형태(옵션)===
 
===시대별 형태 및 특징(옵션)===
 
===제작법(옵션)===
 
===기타(옵션)===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PAGENAME}} ||관계||관련노드명
 
|-
 
|{{PAGENAME}} ||관계||관련노드명
 
|-
 
|{{PAGENAME}} ||관계||관련노드명
 
|-
 
|{{PAGENAME}} ||관계||관련노드명
 
|-
 
|{{PAGENAME}} ||관계||관련노드명
 
|}
 
 
 
==참고문헌==
 
 
 
==주석==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2017년 7월 30일 (일) 17:07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