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35번째 줄: 35번째 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
자는 고운(孤雲), 해운(海雲) 또는 해부(海夫)이다. [[고려 현종]] 때인 1023년([[고려 현종|현종]] 14년)에 내사령(內史令)으로 추증되었으며, 문묘(文廟)에 배향되며 ‘문창후(文昌侯)’라는 시호(諡號)를 받았다. 신라 6부의 하나인 ‘사량부(沙梁部, 지금의 경주)’에서 6두품의 신분으로 태어났으며, 오늘날 경주(慶州) 최씨의 시조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삼국유사|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본피부(本彼部)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1327 최치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업적===
 
===업적===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7월 26일 (수) 19:54 판

최치원(崔致遠)
대표명칭 최치원
한자표기 崔致遠
생몰년 857년-미상
본관 경주(慶州)
고운(孤雲), 해운(海雲)
출생지 경주(慶州) 사량부(沙梁部, 혹은 本彼部)
시대 통일신라
대표저서 계원필경(桂苑筆耕), 사산비명(四山碑銘)
대표직함 시독겸한림학사수병부시랑지서서감사(侍讀兼翰林學士守兵部侍郞知瑞書監事)
최견일(崔肩逸)



정의

신라 하대의 학자이자 문장가.

내용

개요

자는 고운(孤雲), 해운(海雲) 또는 해부(海夫)이다. 고려 현종 때인 1023년(현종 14년)에 내사령(內史令)으로 추증되었으며, 문묘(文廟)에 배향되며 ‘문창후(文昌侯)’라는 시호(諡號)를 받았다. 신라 6부의 하나인 ‘사량부(沙梁部, 지금의 경주)’에서 6두품의 신분으로 태어났으며, 오늘날 경주(慶州) 최씨의 시조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본피부(本彼部) 출신으로 기록되어 있다.[1]

업적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견일 최치원 A는 B의 어버이이다
최치원 A는 B와 관련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최치원", 『두산백과』online.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