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35번째 줄: 35번째 줄:
  
 
=='''내용'''==
 
=='''내용'''==
 
+
16세부터 4·5년간 자유분방하게 지내며 기성문인들인 강좌칠현[(江左七賢):이인로(李仁老)·오세재(吳世才)·임춘(林椿)·조통(趙通)·황보항(皇甫抗)·함순(咸淳)·이담지(李湛之)의 모임으로 죽림칠현·죽림고회·해좌칠현이라 불림]과 기맥이 상통해 그 시회(詩會)에 출입하였다. 1189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이듬해 예부시(禮部試)에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하였다. 그러나 관직을 받지 못하자, 25세 때 개경의 천마산(天磨山)에 들어가 시문을 짓는 등 세상을 관조하며 지냈다. 백운거사라는 호는 이 시기에 지은 것이었다. 1197년(명종 27) 조영인(趙永仁)·임유·최선(崔詵) 등 최충헌(崔忠獻) 정권의 요직자들에게 관직을 구하는 편지를 썼고, 32세가 되어서야 최충헌의 초청시회(招請詩會)에서 그를 국가적인 대공로자로 칭송하는 시를 짓고 관직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동료의 비방을 받아 1년 4개월 만에 면직되었다. 1202년(신종 5) 동경(東京: 현재 경상북도 경주)과 청도 운문산(雲門山) 일대의 농민폭동진압군의 수제원(修製員)으로 자원하여 종군하여, 현지에서 각종 재초제문(齋醮祭文)과 격문(檄文), 그리고 상관에의 건의문 등을 썼다. 1207년(희종 3)이인로·이공로(李公老)·이윤보(李允甫)·김양경(金良鏡)·김군수(金君綬) 등과 겨루었던 「모정기(茅亭記)」가 최충헌을 만족시켜 직한림(直翰林)에 임명되었다.
  
 
===비문의 찬자===
 
===비문의 찬자===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2017년 7월 26일 (수) 18:04 판

이규보(李奎報)
대표명칭 이규보
한자표기 李奎報
생몰년 1168년-1241년
본관 여흥(驪興)
이칭 인저(仁氐),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시호 문순(文順)
백운거사(白雲居士), 백운산인(白雲山人)
춘경(春卿)
시대 고려
대표저서 『동명왕편(東明王篇)』,『개원천보영사시(開元天寶詠史詩)』
이윤수(李允綏)



정의

고려 말의 문신.

내용

16세부터 4·5년간 자유분방하게 지내며 기성문인들인 강좌칠현[(江左七賢):이인로(李仁老)·오세재(吳世才)·임춘(林椿)·조통(趙通)·황보항(皇甫抗)·함순(咸淳)·이담지(李湛之)의 모임으로 죽림칠현·죽림고회·해좌칠현이라 불림]과 기맥이 상통해 그 시회(詩會)에 출입하였다. 1189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이듬해 예부시(禮部試)에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하였다. 그러나 관직을 받지 못하자, 25세 때 개경의 천마산(天磨山)에 들어가 시문을 짓는 등 세상을 관조하며 지냈다. 백운거사라는 호는 이 시기에 지은 것이었다. 1197년(명종 27) 조영인(趙永仁)·임유·최선(崔詵) 등 최충헌(崔忠獻) 정권의 요직자들에게 관직을 구하는 편지를 썼고, 32세가 되어서야 최충헌의 초청시회(招請詩會)에서 그를 국가적인 대공로자로 칭송하는 시를 짓고 관직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동료의 비방을 받아 1년 4개월 만에 면직되었다. 1202년(신종 5) 동경(東京: 현재 경상북도 경주)과 청도 운문산(雲門山) 일대의 농민폭동진압군의 수제원(修製員)으로 자원하여 종군하여, 현지에서 각종 재초제문(齋醮祭文)과 격문(檄文), 그리고 상관에의 건의문 등을 썼다. 1207년(희종 3)이인로·이공로(李公老)·이윤보(李允甫)·김양경(金良鏡)·김군수(金君綬) 등과 겨루었던 「모정기(茅亭記)」가 최충헌을 만족시켜 직한림(直翰林)에 임명되었다.

비문의 찬자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