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해주 신광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16번째 줄: 16번째 줄:
 
|건립시기=신라 문무왕(661~681) 때
 
|건립시기=신라 문무왕(661~681) 때
 
|창건자=
 
|창건자=
|경내문화재=
+
|경내문화재=신광사오층탑, 신광사무자비
 
}}
 
}}
  
 
=='''정의'''==
 
=='''정의'''==
황해남도 해주시 신광리 북숭산(北嵩山)에 있었던 절.
+
황해남도 해주시 신광리에 있었던 절.
  
 
=='''내용'''==
 
=='''내용'''==
 +
신광사(神光寺)는 창건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며, 『[[삼국유사|삼국유사]]』에 923년([[고려 태조|태조]] 6) 입조사(入朝使) 윤질(尹質)이 중국에서 오백나한상(五百羅漢像)을 가져왔는데, 그것을 이 절에 모셨다고 한 것으로 보아 창건연대 또한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ref>정병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2674 신광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관련문화유산===
 
===관련문화유산===

2017년 7월 26일 (수) 13:49 판

해주 신광사
(海州 神光寺)
대표명칭 해주 신광사
한자 海州 神光寺
건립시기 신라 문무왕(661~681) 때
경내문화재 신광사오층탑, 신광사무자비



정의

황해남도 해주시 신광리에 있었던 절.

내용

신광사(神光寺)는 창건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며, 『삼국유사』에 923년(태조 6) 입조사(入朝使) 윤질(尹質)이 중국에서 오백나한상(五百羅漢像)을 가져왔는데, 그것을 이 절에 모셨다고 한 것으로 보아 창건연대 또한 그 이전으로 추정된다.[1]

관련문화유산

지식 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시각자료

주석

  1. 정병조, "신광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