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손응성-호남고속도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1번째 줄: 21번째 줄:
 
전국의 간선도로망 구성계획에 따라 [[경부고속도로]](고속국도 1)에 이어 계속 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이 노선이 완성됨으로써 국내 최대의 곡창지대인 호남지역이 서울·부산 등지와 1일생활권으로 연결되었고, 경유지 연변의 공업개발 효과도 거두었다.<br/>
 
전국의 간선도로망 구성계획에 따라 [[경부고속도로]](고속국도 1)에 이어 계속 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이 노선이 완성됨으로써 국내 최대의 곡창지대인 호남지역이 서울·부산 등지와 1일생활권으로 연결되었고, 경유지 연변의 공업개발 효과도 거두었다.<br/>
  
=='''시각적 안내'''==
+
===그림 읽기===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29번째 줄: 29번째 줄:
 
</imagemap>
 
</imagemap>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gallery mode=packed caption="건설/교통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손응성-호남고속도로 전시회 01.jpg|스케치 01<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398&dsid=000000000003&gubun=search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2]",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ref>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gallery>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파일:박각순-남해대교-1973s.jpg |[[박각순-남해대교]]
+
=='''지식 관계망'''==
파일:박각순-산업전철선-1975s.jpg |[[박각순-산업전철선]]
+
<html>
파일: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1973s.jpg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파일:박득순-지하철-1975s.jpg |[[박득순-지하철]]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파일:박광진-아산방조제-1975s.jpg |[[박광진-아산방조제]]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호남고속도로.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파일:박서보-수출선박-1973s.jpg |[[박서보-수출선박]]
+
</html>
파일:정창섭-인천항도크-1975s.jpg |[[정창섭-인천항도크]]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파일:김원-해안사방-1975s.jpg |[[김원-해안사방]]
 
파일:박영선-현충사-1973s.jpg |[[박영선-현충사]]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불국사]]
 
</gallery><br/><br/><br/>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55번째 줄: 49번째 줄: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78번째 줄: 72번째 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87번째 줄: 81번째 줄:
 
|}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건설/교통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파일:박각순-남해대교-1973s.jpg |[[박각순-남해대교]]
 +
파일:박각순-산업전철선-1975s.jpg |[[박각순-산업전철선]]
 +
파일: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1973s.jpg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
파일:박득순-지하철-1975s.jpg |[[박득순-지하철]]
 +
파일:박광진-아산방조제-1975s.jpg |[[박광진-아산방조제]]
 +
파일:박서보-수출선박-1973s.jpg |[[박서보-수출선박]]
 +
파일:정창섭-인천항도크-1975s.jpg |[[정창섭-인천항도크]]
 +
파일:정창섭-인천항제2도크-1973s.jpg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파일:김원-해안사방-1975s.jpg |[[김원-해안사방]]
 +
파일:박영선-현충사-1973s.jpg |[[박영선-현충사]]
 +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불국사]]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그래프'''==
+
===갤러리===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호남고속도로.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참고문헌'''==
+
===영상===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687 호남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br/>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777 호남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두피디아』<html><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br/>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041500329202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04-15&officeId=00032&pageNo=2&printNo=7545&publishType=00020 호남고속도로 기공]", 『경향신문』, 1970년 04월 15일.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123000329201015&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12-30&officeId=00032&pageNo=1&printNo=7767&publishType=00020 호남고속도로 개통]", 『경향신문』, 1970년 12월 30일.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단행본
 +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
#웹자원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3687 호남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ml><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br/>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777 호남고속도로]", <html><online style="color:purple"></html>『두피디아』<html><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br/>
 +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04150032920200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04-15&officeId=00032&pageNo=2&printNo=7545&publishType=00020 호남고속도로 기공]", 『경향신문』, 1970년 04월 15일.
 +
#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70123000329201015&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70-12-30&officeId=00032&pageNo=1&printNo=7767&publishType=00020 호남고속도로 개통]", 『경향신문』, 1970년 12월 30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건설교통]]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현대]][[분류:건설교통]]

2017년 7월 24일 (월) 22:46 판


호남고속도로
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작가 손응성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건설교통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전라남도 순천시가 기점이고 충청남도 논산시가 종점인 남북을 잇는 고속도로로서 고속국도 제25호선이다. 총연장은 194㎞이다.[1]

설명

작품 소재

1970년 4월에 대전-전주 구간 착공을 시작하여 1970년 12월에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하는 회덕분기점에서 전주까지 79.5㎞가 개통되었다. 1973년 11월에는 전주-순천 구간 172.3㎞가 개통되어 초기 호남고속도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으며 고속국도 제3호선으로 명명되었다. 이 구간의 길이는 총연장 251.8㎞이었다. 노폭과 설계속도는 구간에 따라 조금씩 상이하나 대체로 10.7∼13.2m, 제한속도는 70㎞/h∼120㎞/h로 설계되었다.
개통 초기에는 중앙분리대가 없는 왕복2차선으로 건설하였으나 1983년 4월부터 1985년 9월까지 회덕-논산 간 48.5㎞ 구간, 1984년 5월부터 1986년 9월까지 논산-광주 간 122.2㎞, 1987년 3월부터 1989년 8월까지 광주-고서 간 9.9㎞, 1992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고서-순천 간 71.9㎞ 구간이 너비 23.4m로 확장, 개통되면서 전체 구간이 왕복4차선이 되었다.
전국의 간선도로망 구성계획에 따라 경부고속도로(고속국도 1)에 이어 계속 사업으로 추진되었으며, 이 노선이 완성됨으로써 국내 최대의 곡창지대인 호남지역이 서울·부산 등지와 1일생활권으로 연결되었고, 경유지 연변의 공업개발 효과도 거두었다.

그림 읽기

호남고속도로손응성 「호남고속도로」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손응성 손응성-호남고속도로 A은 B를 그렸다 1975년
손응성-호남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손응성이 손응성-호남고속도로를 제작하였다
1979년 세종문회회관이 손응성-호남고속도로를 대여하였다
1991년 01월 09일-1992년 01월 08일 장성문화원이 손응성-호남고속도로를 대여하였다
1970년 12월 30일 대전-전주 79.5㎞ 구간을 개통하였다
1973년 11월 14일 전주-순천 172.3㎞ 구간을 개통하였다
1983년 04월-1985년 09월 회덕-논산 48.5㎞ 구간을 왕복4차선으로 확장하였다
1984년 05월-1986년 09월 논산-광주 122.2㎞ 구간을 왕복4차선으로 확장하였다
1987년 03월-1989년 08월 광주-고서 9.9㎞ 구간을 왕복4차선으로 확장하였다
1992년 11월-1996년 12월 고서-순천 71.9㎞ 구간을 왕복4차선으로 확장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72721 126.975675 세종문회회관이 손응성-호남고속도로를 대여하였다
35.302227 126.766420 장성문화원이 손응성-호남고속도로를 대여하였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호남고속도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6일.
  2. "김종필국무총리민족기록화전시장관람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3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민족기록화 경제편』, 정문사문화, 1992.
  2. 웹자원
    • "호남고속도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
  3. *"호남고속도로", 『두피디아』online, 두산백과. 최종확인: 2017년 05월 07일.
  4. *"호남고속도로 기공", 『경향신문』, 1970년 04월 15일.
  5. *"호남고속도로 개통", 『경향신문』, 1970년 12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