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청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 청의 |한자표기= 靑衣 |이칭별칭= |구분= 의복 |착용신분= |착용성별=...)
 
18번째 줄: 18번째 줄:
 
===착용 상황===
 
===착용 상황===
 
===형태===
 
===형태===
 +
현재 청의 유물은 남아있지 않지만 국립고궁박물관에 왕의 행렬이 있을 때 동원된 의장군들의 옷으로 추정되는 홍의(紅衣) 171점이 소장되어 있다. 이 홍의의 형태는 <그림 104>와 같이 직령 깃에 소매가 좁으며, 길과 화장이 비교적 짧고, 무가 없이 진동선 아래로 옆이 트여 있다. 옷감은 거친 무명이다.<ref>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1981) 朝鮮時代 宮中服飾. p. 85.</ref> 『가례도감의궤』 반차도에서 의장기와 의물을 든 참여자들이 <그림 113>과 같이 사각의 홍건을 쓰고 저고리와 바지 위에 홍의를 입었는데, 이 유물과 같은 형태로 보인다. 반차도의 홍의는 화장이 짧아 안에 입은 옷의 소매가 겉으로 드러나 있는 모습이다. <그림 102>의 경빈과 고려대학교박물관 반차도에 표현된 청의도 화장이 짧아 안에 입은 옷의 소매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어 형태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
한편 홍의는 <그림 103>의 밀창군 소창의와 형태가 비슷하다. 소창의는 직령 깃에 소매가 좁고, 무가 없이 옆이 트여 있어 ‘세자락 옷’이라고도 한다. 신분이 낮은 계층이 입었으며, 아전의 대표적인 관복이기도 하였다. 사대부들은 다른 포를 입을 때 받침옷으로 입었다.
 +
소창의와 홍의 유물을 참고하여 직령 깃에 좁은 소매, 무가 없는 길의 형태로 <그림 105>와 같이 청의를 일러스트로 구현하였다. 청의의 색은 참조 반차도의 청의 색을 참고하여 푸른색으로 표현하였다.
 +
본가종자 및 배례가 착용했을 것으로 보이는 흑의는 고려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그림 106>의 구종복을 참고하여 청의와 같은 형태로 보고, 색만 검은색으로 하여 <그림 107>과 같이 일러스트로 구현하였다.
 +
 
===기타===
 
===기타===
  

2017년 7월 21일 (금) 00:21 판


청의
(靑衣)
대표명칭 청의
한자표기 靑衣
구분 의복
착용성별 남성



정의

내용

복식 구성

착용 신분

착용 상황

형태

현재 청의 유물은 남아있지 않지만 국립고궁박물관에 왕의 행렬이 있을 때 동원된 의장군들의 옷으로 추정되는 홍의(紅衣) 171점이 소장되어 있다. 이 홍의의 형태는 <그림 104>와 같이 직령 깃에 소매가 좁으며, 길과 화장이 비교적 짧고, 무가 없이 진동선 아래로 옆이 트여 있다. 옷감은 거친 무명이다.[1] 『가례도감의궤』 반차도에서 의장기와 의물을 든 참여자들이 <그림 113>과 같이 사각의 홍건을 쓰고 저고리와 바지 위에 홍의를 입었는데, 이 유물과 같은 형태로 보인다. 반차도의 홍의는 화장이 짧아 안에 입은 옷의 소매가 겉으로 드러나 있는 모습이다. <그림 102>의 경빈과 고려대학교박물관 반차도에 표현된 청의도 화장이 짧아 안에 입은 옷의 소매가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어 형태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홍의는 <그림 103>의 밀창군 소창의와 형태가 비슷하다. 소창의는 직령 깃에 소매가 좁고, 무가 없이 옆이 트여 있어 ‘세자락 옷’이라고도 한다. 신분이 낮은 계층이 입었으며, 아전의 대표적인 관복이기도 하였다. 사대부들은 다른 포를 입을 때 받침옷으로 입었다. 소창의와 홍의 유물을 참고하여 직령 깃에 좁은 소매, 무가 없는 길의 형태로 <그림 105>와 같이 청의를 일러스트로 구현하였다. 청의의 색은 참조 반차도의 청의 색을 참고하여 푸른색으로 표현하였다. 본가종자 및 배례가 착용했을 것으로 보이는 흑의는 고려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그림 106>의 구종복을 참고하여 청의와 같은 형태로 보고, 색만 검은색으로 하여 <그림 107>과 같이 일러스트로 구현하였다.

기타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1. 문화공보부문화재관리국(1981) 朝鮮時代 宮中服飾. p.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