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탕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관으로서의 내탕고, 내수사)
(내용)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수사는 왕실의 사유재산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내탕고는 때로 내수사를 지칭하는 의미를 가지기도 하였다.
 
내수사는 왕실의 사유재산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내탕고는 때로 내수사를 지칭하는 의미를 가지기도 하였다.
 
<ref>정현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577 내탕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ref>정현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577 내탕고]」,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내수사는 함흥에 있는 [[조선 태조]]의 사가(私家), [[조선 태종]]의 사가(私家)의 재산을 관리하던 부서였다. 그러다 [[조선 세종]]때 그 업무가 확대되어 국가 공식기구로 등록되었다. [[조선 성종]]대 이후 내수사에서 관리하는 왕실농장의 고리대금이 심해지자, 왕실의 재산은 모두 국가의 재산인데 왕실이 사사로이 재산을 축적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어나 내수사 폐지가 논의된다. 그러나 매번 논의에만 그치다가 1801년 [[조선 순조]]대에 내수사의 노비가 혁파되었고 [[조선 고종]]대에 폐지되었다.  
+
내수사는 함흥에 있는 [[조선 태조]]의 사가(私家), [[조선 태종]]의 사가(私家)의 재산을 관리하던 부서였다. 그러다 [[조선 세종]]때 그 업무가 확대되어 국가 공식기구로 등록되었다. [[조선 성종]]대 이후 내수사에서 관리하는 왕실농장의 고리대금이 심해지자, 왕실의 재산은 모두 국가의 재산인데 왕실이 사사로이 재산을 축적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어나 내수사 폐지가 논의된다.  
 +
<ref>이숙연, 「조선전기(朝鮮前期) 내수사(內需司) 폐지 논쟁과 군주(君主)의 위상」, 『대동문화연구』 8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137-140쪽.</ref>
 +
그러나 매번 논의에만 그치다가 1801년 [[조선 순조]]대에 내수사의 노비가 혁파되었고 [[조선 고종]]대에 폐지되었다.  
 
<ref>정현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497 내수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ref>정현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497 내수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2017년 7월 14일 (금) 02:40 판

틀:기관단체정보 이혜영

정의

조선시대 왕실의 재물을 보관하던 창고이다.

내용

기관으로서의 내탕고, 내수사

내수사는 왕실의 사유재산을 관리하는 기관으로 내탕고는 때로 내수사를 지칭하는 의미를 가지기도 하였다. [1] 내수사는 함흥에 있는 조선 태조의 사가(私家), 조선 태종의 사가(私家)의 재산을 관리하던 부서였다. 그러다 조선 세종때 그 업무가 확대되어 국가 공식기구로 등록되었다. 조선 성종대 이후 내수사에서 관리하는 왕실농장의 고리대금이 심해지자, 왕실의 재산은 모두 국가의 재산인데 왕실이 사사로이 재산을 축적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어나 내수사 폐지가 논의된다. [2] 그러나 매번 논의에만 그치다가 1801년 조선 순조대에 내수사의 노비가 혁파되었고 조선 고종대에 폐지되었다. [3]

창고로서의 내탕고

내탕고는 금, 은, 비단, 음식 등 왕실의 재물을 보관하던 창고이다. 가뭄이나 홍수 같은 천재지변이 일어나 백성이 곤궁하게 되었을 때, 이 내탕고의 재물로서 구휼하기도 하고, 관료들에게 포상을 내리기도 하였다. 또 주변 사람들에게 선물하는데 이용하기도 하였다. (정조가 큰외숙모 여흥민씨에게 보낸 한글편지에서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내탕고의 재물은 왕실의 사사로운 사용뿐 아니라, 왕실의 체면과 권위를 유지하는 재원으로 기능하기도 하였다.[4]

주석

  1. 정현재, 「내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숙연, 「조선전기(朝鮮前期) 내수사(內需司) 폐지 논쟁과 군주(君主)의 위상」, 『대동문화연구』 8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3, 137-140쪽.
  3. 정현재, 「내수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정현재, 「내탕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