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개요)
24번째 줄: 24번째 줄:
 
=='''내용'''==
 
=='''내용'''==
 
===개요===
 
===개요===
이 비는 전체 높이 371㎝, 비신 높이 165㎝, 너비 78㎝, 두께 13㎝이다. 비문에는 찬자(撰者)·서자(書者)와 건립 연대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동국여지승람]]』과 『[[대동금석서]]』에 의하면 찬자는 [[한문준|한문준(韓文俊)]]이다. 1180년([[고려 명종|명종]] 10)에 세워졌다.<ref>민백</ref> 비의 형태는 거북 모양의 비받침인 [[귀부|귀부(龜趺)]] 위에 비몸을 세우고, [[이수|비머릿돌]]을 얹은 일반적인 모습이다. [[귀부]]는 전형적인 고려시대 양식을 보인다. 용의 머리를 형상화한 거북 머리는 퇴화되었고, 거북등의 6각형 무늬와 비를 끼워두는 곳의 덩굴무늬는 생략되었다. 비몸은 아랫부분이 결실되어 있으며 훼손이 심하다. 비머릿돌에는 구름과 용이 형식적으로 새겨져 있고, 앞면 중앙에는 ‘원각국사비명(圓覺國師碑銘)’이라는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다.<ref>문화재청</ref> 1971년 보물 제543호로 지정되었다.
+
이 비는 전체 높이 371㎝, 비신 높이 165㎝, 너비 78㎝, 두께 13㎝이다. 비문에는 찬자(撰者)·서자(書者)와 건립 연대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동국여지승람]]』과 『[[대동금석서]]』에 의하면 찬자는 [[한문준|한문준(韓文俊)]]이다. 1180년([[고려 명종|명종]] 10)에 세워졌다.<ref>정충락,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7239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ref> 비의 형태는 거북 모양의 비받침인 [[귀부|귀부(龜趺)]] 위에 비몸을 세우고, [[이수|비머릿돌]]을 얹은 일반적인 모습이다. [[귀부]]는 전형적인 고려시대 양식을 보인다. 용의 머리를 형상화한 거북 머리는 퇴화되었고, 거북등의 6각형 무늬와 비를 끼워두는 곳의 덩굴무늬는 생략되었다. 비몸은 아랫부분이 결실되어 있으며 훼손이 심하다. 비머릿돌에는 구름과 용이 형식적으로 새겨져 있고, 앞면 중앙에는 ‘원각국사비명(圓覺國師碑銘)’이라는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다.<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05340000,33&flag=Y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ref> 1971년 보물 제543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비문===

2017년 6월 14일 (수) 01:03 판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永同 寧國寺 圓覺國師碑)
BHST Stele.png
대표명칭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영문명칭 Stele for State Preceptor Wongak at Yeongguksa Temple, Yeongdong
한자 永同 寧國寺 圓覺國師碑
이칭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雙磎寺眞鑑禪師大空塔碑)
주소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영국동길 225-35 영국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534호
문화재 지정일 1971년 7월 7일
찬자 한문준(韓文俊)
서자 미상
각자 미상
서체 해서(楷書)
승려 덕소(德素)
건립연대 1180년



정의

충청북도 영동군 양산면 영국사(寧國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승려 원각국사 덕소(圓覺國師 德素, 1107-1174)의 탑비.

내용

개요

이 비는 전체 높이 371㎝, 비신 높이 165㎝, 너비 78㎝, 두께 13㎝이다. 비문에는 찬자(撰者)·서자(書者)와 건립 연대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동국여지승람』과 『대동금석서』에 의하면 찬자는 한문준(韓文俊)이다. 1180년(명종 10)에 세워졌다.[1] 비의 형태는 거북 모양의 비받침인 귀부(龜趺) 위에 비몸을 세우고, 비머릿돌을 얹은 일반적인 모습이다. 귀부는 전형적인 고려시대 양식을 보인다. 용의 머리를 형상화한 거북 머리는 퇴화되었고, 거북등의 6각형 무늬와 비를 끼워두는 곳의 덩굴무늬는 생략되었다. 비몸은 아랫부분이 결실되어 있으며 훼손이 심하다. 비머릿돌에는 구름과 용이 형식적으로 새겨져 있고, 앞면 중앙에는 ‘원각국사비명(圓覺國師碑銘)’이라는 비의 명칭이 새겨져 있다.[2] 1971년 보물 제543호로 지정되었다.

비문

비문은 고려 명종 때의 왕사이며 천태학의 대가였던 원각국사 덕소의 행장을 적은 비이다. 비문에 따르면 원각국사고려 예종 14년(1119)에 태어나서 명종 4년(1174)에 입적했다. 본명은 덕소(德素)이며 속성(俗性)은 전씨(田氏), 이름은 자미(子美), 자는 혜약(慧約)이다. 9세 때 국청사(國淸寺)에서 대각국사 의천의 제자인 교웅에게 출가하였는데 교웅은 그를 장차 천태종을 융성하게 할 인물이라고 높이 평가하였다. 원각국사는 어느 날 대장당(大藏堂)에 들어가 장경함을 열고 책을 읽다가 문득 깨쳤다고 하며 그후 인종 20년(1142) 울주에 있는 영취산에 머물며 학승들을 가르쳤다. 고려 의종 7년(1153)에 선사가 되고 곧 대선사가 되었으며 1170년에는 왕사로 임명되었다. 문하에 수많은 천태의 고승들을 배출하였고 명종 4년(1174)인 55세 때 서쪽을 향해 앉은 채 입적했다. 왕은 그에게 원각이라는 시호를 내리고 유골을 영동 영국사에 안치하게 하였다.[3]

지식관계망

"그래프 삽입"

관련항목

시각자료

가상현실

  • 차후 있을 답사 후 보완..

갤러리

영상

주석

  1. 정충락,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문화유산정보』online, 문화재청.
  3. 영국사 (답사여행의 길잡이 12 - 충북, 초판 1998., 6쇄 2003., 돌베개) 네이버지식백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