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 (해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해독문안내 |해독자= 이민호 }} center ==원문과 해석문== {{옛한글해독 |원문1= 냥승...)
 
(원문과 해석문)
6번째 줄: 6번째 줄:
 
==원문과 해석문==
 
==원문과 해석문==
 
{{옛한글해독
 
{{옛한글해독
|원문1= 냥승언빗[兩承言色] <ref>승언빗 : 승언색. 세자궁(世子宮)의 내시(內侍).</ref> 관 황윤명(黃胤明) 󰠓      분홍 은조사(銀造紗) <ref>은조사 : 사직물의 하나로 방공(方空)의 형태를 한 한더위 때의 한복용 옷감.</ref> 일필(疋)<ref>필 : 일정한 길이로 말아놓은 피륙을 세는 단위.</ref>
+
==원문과 해석문==
 +
{{옛한글해독
 +
|원문1= 냥승언빗[兩承言色] <ref><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승언빗 : 승언색. 세자궁(世子宮)의 내시(內侍).</span></ref> 관 황윤명(黃胤明) 󰠓      분홍 은조사(銀造紗) <ref><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은조사 : 사직물의 하나로 방공(方空)의 형태를 한 한더위 때의 한복용 옷감.</span></ref> 일필(疋)<ref><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필 : 일정한 길이로 말아놓은 피륙을 세는 단위.</span></ref>
 
|원문2=                         니장호(李章鎬) 󰠙 각(各) 남(藍) 은조사 일필
 
|원문2=                         니장호(李章鎬) 󰠙 각(各) 남(藍) 은조사 일필
|원문3=                                               십냥듀(十兩紬) <ref>십냥듀 : 십량주. 한 필에 무게가 열 냥쭝 나가는, 질 좋은 중국 명주.</ref> 일필
+
|원문3=                                               십냥듀(十兩紬) <ref><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십냥듀 : 십량주. 한 필에 무게가 열 냥쭝 나가는, 질 좋은 중국 명주.</span></ref> 일필
 
|원문4=                                               듀 일필
 
|원문4=                                               듀 일필
 
|원문5= 의비[衣襨差備] 뉴현(柳載賢) 󰠓    분홍 은조사 일필
 
|원문5= 의비[衣襨差備] 뉴현(柳載賢) 󰠓    분홍 은조사 일필
 
|원문6= 샹젼(尙傳) 김규복(金圭復)          각 남 은조사 일필
 
|원문6= 샹젼(尙傳) 김규복(金圭復)          각 남 은조사 일필
 
|원문7= 옥인비[玉印差備] 김관(金在寬) 󰠙    십냥듀 일필
 
|원문7= 옥인비[玉印差備] 김관(金在寬) 󰠙    십냥듀 일필
|원문8= 달 <ref>달ᄌᆞ : 달자. 왕세자에게 올리는 문서에 찍는 도장. 달(達)이라는 글자를 새겼음.</ref>비[達字差備] 김셕훈(金錫勳)    󰠓 각 유록(柳綠) 셜한쵸(雪寒綃) <ref>셜한쵸 : 설한초. 생사로 제직된 얇은 견직물인 초(綃)의 일종.</ref> 일필
+
|원문8= 달 <ref><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달ᄌᆞ : 달자. 왕세자에게 올리는 문서에 찍는 도장. 달(達)이라는 글자를 새겼음.</span></ref>비[達字差備] 김셕훈(金錫勳)    󰠓 각 유록(柳綠) 셜한쵸(雪寒綃) <ref><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셜한쵸 : 설한초. 생사로 제직된 얇은 견직물인 초(綃)의 일종.</span></ref> 일필
|원문9= 담동개 <ref>담동개 : 동개. ‘시복(矢腹)’이라고 불리는 저피(猪皮)로 만든 화살집과 ‘궁대(弓袋)’라고 불리는 천이나 가죽으로 만든 활을 넣도록 만든 주머니를 한 줄로 묶어 어깨에 메기 쉽도록 한 줄로 연결하여 만든 것.</ref>비[擔筒箇差備] 김홍셕(金弘錫) 󰠙    남 셜한쵸 일필
+
|원문9= 담동개 <ref><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담동개 : 동개. ‘시복(矢腹)’이라고 불리는 저피(猪皮)로 만든 화살집과 ‘궁대(弓袋)’라고 불리는 천이나 가죽으로 만든 활을 넣도록 만든 주머니를 한 줄로 묶어 어깨에 메기 쉽도록 한 줄로 연결하여 만든 것.</span></ref>비[擔筒箇差備] 김홍셕(金弘錫) 󰠙    남 셜한쵸 일필
 
|원문10=                                           듀(色紬) 일필  
 
|원문10=                                           듀(色紬) 일필  
 
|원문11= 겸댱번(兼長番) 관 십원(十員)  각 분홍 십냥듀 이필
 
|원문11= 겸댱번(兼長番) 관 십원(十員)  각 분홍 십냥듀 이필
22번째 줄: 24번째 줄:
 
|원문15=                               뎌포(苧布) 일필
 
|원문15=                               뎌포(苧布) 일필
 
|원문16=                               셰목(細木) 일필
 
|원문16=                               셰목(細木) 일필
|원문17= 셰궁(世子宮) 약(司鑰) <ref>ᄉᆞ약 : 사약.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액정서(掖庭署)에 딸린 벼슬. 대전(大殿) 및 각 문(門)의 열쇠를 보관(保管)하는 일을 맡아보았음.</ref> 이원        󰠓 각 듀 일필
+
|원문17= 셰궁(世子宮) 약(司鑰) <ref><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ᄉᆞ약 : 사약.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액정서(掖庭署)에 딸린 벼슬. 대전(大殿) 및 각 문(門)의 열쇠를 보관(保管)하는 일을 맡아보았음.</span></ref> 이원        󰠓 각 듀 일필
|원문18= 셔연쳥(書筵廳) 젼명알(傳命司謁) <ref>알 : 사알. 조선(朝鮮) 시대(時代)에 임금의 명령(命令)을 전달(傳達)하는 일을 맡아보던 정6품(正六品)의 잡직(雜職). </ref> 이원 󰠙    뎌포 일필
+
|원문18= 셔연쳥(書筵廳) 젼명알(傳命司謁) <ref><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알 : 사알. 조선(朝鮮) 시대(時代)에 임금의 명령(命令)을 전달(傳達)하는 일을 맡아보던 정6품(正六品)의 잡직(雜職). </span></ref> 이원 󰠙    뎌포 일필
 
|원문19=                                           목(白木) 일필
 
|원문19=                                           목(白木) 일필
 
|원문20= 별감(別監) 이십인  각 듀(生紬) 일필
 
|원문20= 별감(別監) 이십인  각 듀(生紬) 일필
30번째 줄: 32번째 줄:
 
|원문23=                   뎌포 일필
 
|원문23=                   뎌포 일필
 
|원문24=                   목 일필
 
|원문24=                   목 일필
|원문25= 고셩샹(庫城上) <ref>고셩샹 : 고성상. 조선 시대에, 임금의 음식을 마련하는 수라간에 속한 하인.</ref> 이인    󰠓
+
|원문25= 고셩샹(庫城上) <ref><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고셩샹 : 고성상. 조선 시대에, 임금의 음식을 마련하는 수라간에 속한 하인.</span></ref> 이인    󰠓
 
|원문26= 다빗[茶色] 이인          󰠛
 
|원문26= 다빗[茶色] 이인          󰠛
|원문27= 슈별감(水賜別監) <ref>슈ᄉᆞ별감 : 수사간(水賜間) 별감. 수사간은 궁중에서 쓰는 물을 길어다 대는 일을 맡아보던 곳. </ref> 이인 󰠛  각 츈듀(春紬) 일필
+
|원문27= 슈별감(水賜別監) <ref><span style="font-family:함초롬돋움">슈ᄉᆞ별감 : 수사간(水賜間) 별감. 수사간은 궁중에서 쓰는 물을 길어다 대는 일을 맡아보던 곳. </span></ref> 이인 󰠛  각 츈듀(春紬) 일필
 
|원문28= 등쵹빗[燈燭色]  이인    󰠛    뎌포 일필
 
|원문28= 등쵹빗[燈燭色]  이인    󰠛    뎌포 일필
 
|해석문1= 양 승언색 내관 황윤명 󰠓 분홍 은조사 1필
 
|해석문1= 양 승언색 내관 황윤명 󰠓 분홍 은조사 1필
65번째 줄: 67번째 줄: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clickable button|[[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div>
 
<div style="text-align:center; width:auto;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clickable button|[[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div>
 +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2017년 6월 7일 (수) 12:37 판

Pici.png

본 기사의 해독문 초안 작성자는 이민호입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한글팀 왕세자 관례 상격 발기02 내용.jpg

원문과 해석문

{{옛한글해독

원문과 해석문

원문 해석문
냥승언빗[兩承言色] [1] 관 황윤명(黃胤明) 󰠓 분홍 은조사(銀造紗) [2] 일필(疋)[3] 양 승언색 내관 황윤명 󰠓 분홍 은조사 1필
니장호(李章鎬) 󰠙 각(各) 남(藍) 은조사 일필 이장호 󰠙 각 남 은조사 1필
십냥듀(十兩紬) [4] 일필 십량주 1필
듀 일필 주 1필
의비[衣襨差備] 뉴현(柳載賢) 󰠓 분홍 은조사 일필 의대차비 유재현 󰠓 분홍 은조사 1필
샹젼(尙傳) 김규복(金圭復) 각 남 은조사 일필 상전 김규복 각 남 은조사 1필
옥인비[玉印差備] 김관(金在寬) 󰠙 십냥듀 일필 옥인차비 김재관 󰠙 십량주 1필
달 [5]비[達字差備] 김셕훈(金錫勳) 󰠓 각 유록(柳綠) 셜한쵸(雪寒綃) [6] 일필 달자차비 김석훈 󰠓 각 유록 설한초 1필
담동개 [7]비[擔筒箇差備] 김홍셕(金弘錫) 󰠙 남 셜한쵸 일필 담동개차비 김홍석 󰠙 남 설한초 1필
듀(色紬) 일필 색주 1필
겸댱번(兼長番) 관 십원(十員) 각 분홍 십냥듀 이필 겸장번 내관 10명 각 분홍 십량주 2필
남 뎡듀(鼎紬) 일필 남 정주 1필
듀(紬) 일필 두 1필
츌입번(出入番) 관 십이원 각 듀 일필 출입번 내관 12명 각 주 1필
뎌포(苧布) 일필 저포 1필
셰목(細木) 일필 세목 1필
셰궁(世子宮) 약(司鑰) [8] 이원 󰠓 각 듀 일필 세자궁 사약 2명 󰠓 각 주 1필
셔연쳥(書筵廳) 젼명알(傳命司謁) [9] 이원 󰠙 뎌포 일필 서연청 전명사알 2명 󰠙 저포 1필
목(白木) 일필 백목 1필
별감(別監) 이십인 각 듀(生紬) 일필 별감 20인 각 생주 1필
뎌포 일필 저포 1필
반감(飯監) 이인 각 듀 일필 반감 2인 각 주 1필
뎌포 일필 저포 1필
목 일필 백목 1필
고셩샹(庫城上) [10] 이인 󰠓 고성상 2인 󰠓
다빗[茶色] 이인 󰠛 다색 2인 󰠛
슈별감(水賜別監) [11] 이인 󰠛 각 츈듀(春紬) 일필 수사간 별감 2인 󰠛 각 춘주 1필
등쵹빗[燈燭色] 이인 󰠛 뎌포 일필 등촉색 2인 󰠛 저포 1필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

  1. 승언빗 : 승언색. 세자궁(世子宮)의 내시(內侍).
  2. 은조사 : 사직물의 하나로 방공(方空)의 형태를 한 한더위 때의 한복용 옷감.
  3. 필 : 일정한 길이로 말아놓은 피륙을 세는 단위.
  4. 십냥듀 : 십량주. 한 필에 무게가 열 냥쭝 나가는, 질 좋은 중국 명주.
  5. 달ᄌᆞ : 달자. 왕세자에게 올리는 문서에 찍는 도장. 달(達)이라는 글자를 새겼음.
  6. 셜한쵸 : 설한초. 생사로 제직된 얇은 견직물인 초(綃)의 일종.
  7. 담동개 : 동개. ‘시복(矢腹)’이라고 불리는 저피(猪皮)로 만든 화살집과 ‘궁대(弓袋)’라고 불리는 천이나 가죽으로 만든 활을 넣도록 만든 주머니를 한 줄로 묶어 어깨에 메기 쉽도록 한 줄로 연결하여 만든 것.
  8. ᄉᆞ약 : 사약. 조선(朝鮮) 시대(時代) 때 액정서(掖庭署)에 딸린 벼슬. 대전(大殿) 및 각 문(門)의 열쇠를 보관(保管)하는 일을 맡아보았음.
  9. 알 : 사알. 조선(朝鮮) 시대(時代)에 임금의 명령(命令)을 전달(傳達)하는 일을 맡아보던 정6품(正六品)의 잡직(雜職).
  10. 고셩샹 : 고성상. 조선 시대에, 임금의 음식을 마련하는 수라간에 속한 하인.
  11. 슈ᄉᆞ별감 : 수사간(水賜間) 별감. 수사간은 궁중에서 쓰는 물을 길어다 대는 일을 맡아보던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