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목차)
1번째 줄: 1번째 줄: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의궤정보
 
{{의궤정보
 
|이미지= 궁중기록화 의궤 가례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상 규장각.jpg
 
|이미지= 궁중기록화 의궤 가례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상 규장각.jpg
4번째 줄: 5번째 줄:
 
|대표명칭=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대표명칭=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한자표기= 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한자표기= 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
+
|주제= [[가례|가례(嘉禮)]]
|작성주체= [[가례도감]]
+
|작성주체= [[가례도감|가례도감(嘉禮都監)]]
 
|의례담당자= [[김흥근|김흥근(金興根)]]
 
|의례담당자= [[김흥근|김흥근(金興根)]]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지역= 한성부
12번째 줄: 13번째 줄:
 
|판본= 필사본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2책 419장(제1책 285장, 제2책 134장)
+
|수량= 2책 419장(상책 285장, 하책 134장)
|도설= 19면(제1책 4면, 제2책 15면)(채색), 반차도 92면(제1책)(채색)
+
|크기= 46.5×32.6
|필드수= 12
+
|도설= 19면(상책 4면, 하책 15면)(채색)
 +
|반차도= 92면(상책)(채색)
 +
|필드수= 13
 
}}
 
}}
  
 
=='''정의'''==
 
=='''정의'''==
1851년(철종 2년) [[철종|철종(哲宗]], 1831~1863)의 가례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
1851년 [[철종|철종(哲宗]]과 [[철인왕후|철인왕후(哲仁王后)]]혼례를 치르는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216300 의궤]이다.
  
 
=='''내용'''==
 
=='''내용'''==
1849년 즉위 당시 [[철종]]은 19세로 혼인을 하지 않은 상태였고, 이에 [[헌종]]의 국상이 끝나는 대로 [[가례]]를 진행할 수 있도록 준비를 시작했다. 1851년(철종 2년) 윤8월 3일 [[초간택|초간택(初揀擇)]] 및 [[도감]]이 구성되었다. 11일 도감 회동, 13일 [[재간택|재간택(再揀擇)]], 24일 [[삼간택|삼간택(三揀擇)]]이 이루어졌다. 이후 9월 19일 [[납채]], 21일 [[납징]], 24일 [[고기]], 25일 [[책비]], 27일 [[봉영]] 및 [[동뢰연]], 28일 [[대왕대비]] [[조현례]], 29일 [[왕대비]]와 [[대비]] [[조현례]] 등의 순으로 [[가례]]가 진행되었다.  
+
1849년 [[헌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철종]]은 19세의 나이였지만 아직 혼인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헌종]]의 국상이 끝난 1851년 윤8월 3일 [[초간택]] 및 [[가례도감]]이 설치되었다. 8월 13일 [[재간택]], 8월 24일 [[삼간택]]을 거쳐 철인왕후가 낙점되었으며 이후 9월 19일 [[납채]], 9월 21일 [[납폐]], 9월 24일 [[고기]], 9월 25일 [[책비]], 9월 27일 [[명사봉영]] 및 [[동뢰]], 9월 28일 대왕대비 [[조현례]], 9월 29일 왕대비와 대비 [[조현례]] 등에 이르는 가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교열|회동|뜻 표기|정주영}}
 
  
 
===목차===
 
===목차===
1책: 목록(目錄), 좌목(座目), 거행일기(擧行日記), 전교(傳敎), 이문(移文), 내관(來關), 예관(禮關), 감결(甘結), 상전(賞典), 의궤(儀軌), 일방의궤(一房儀軌)<br/>
+
상책: 목록(目錄), 좌목(座目), 거행일기(擧行日記), 전교(傳敎), 이문(移文), 내관(來關), 예관(禮關), 감결(甘結), 상전(賞典), 의궤(儀軌), 일방의궤(一房儀軌)<br/>
2책: 이방의궤(二房儀軌), 삼방의궤三房儀軌), 별공작(別工作), 수리소(修理所儀軌), 서압(署押)<ref>[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2415648&pos=0&total_df=1&uci=GK13147_00&sWord=%EC%B2%A0%EC%A2%85%EC%B2%A0%EC%9D%B8%EC%99%95%ED%9B%84%EA%B0%80%EB%A1%80%EB%8F%84%EA%B0%90%EC%9D%98%EA%B6%A4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오대산본 기본정보]</ref>
+
하책: 이방의궤(二房儀軌), 삼방의궤三房儀軌), 별공작(別工作), 수리소(修理所儀軌)
  
===특징===
+
===해제===
19세기 국왕의 가례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수록 내용이 매우 충실하고 체제도 잘 갖추어져 있다.상당수의 채색 도설을 담고 있으며, 현존하는 [[가례도감]][[의궤]] 가운데 가장 많은 분량의 화려한 [[반차도]]가 수록되어 있다.<ref>[http://e-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오대산 해제]</ref>
+
[http://kyujanggak.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Info.jsp?setid=3322153&pos=0&total_df=3&uci=GK13147_00&c1=&c2=&c3=&sType=&sWord=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판본===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奎 13147), (奎 13148), (奎 13149), (奎 13151).
+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오대산본(奎 13147), (奎 13148), (奎 13149), (奎 13151)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2598)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2598)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관계정보===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PAGENAM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
+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PAGENAM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한다 ||
+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PAGENAME}}'''  || [[가례복]] || A는 B를 보여준다 ||
+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 [[가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
+
|}
|'''{{PAGENAME}}'''  || [[가례]] || A는 B를 기록한다 ||
+
 
|-  
+
===시간정보===
| [[가례]] || [[가례도감]] || A는 B에서 주관한다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왕]]  || [[면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1851년 || [[철종]]과 [[철인왕후]][[가례]]가 거행되었다
 +
|-
 +
| 1851년 ||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왕비]] || [[적의]]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
 
|}
  
==참고문헌==
+
=='''시각자료'''==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배게, 2005.
+
===가상현실===
 +
 
 +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국혼정례』
 +
* 『상방정례』
 +
 
 +
===더 읽을거리===
 +
* 임민혁, 『조선 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저, 『조선 왕실의 혼례 이야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배게, 2002.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외 3명, 『조선의 혼례식 풍경』, 돌배게, 2013.
+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임민혁, 『조선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주석==
 
<references/>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의궤]]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의궤]]

2017년 6월 6일 (화) 16:31 판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file:|360px|thumb|center|규장각한국학연구원]]
대표명칭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한자표기 哲宗哲仁王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가례도감(嘉禮都監)
의례담당자 김흥근(金興根)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852년(철종 3년)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오대산)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2책 419장(상책 285장, 하책 134장)
크기 46.5×32.6
도설 19면(상책 4면, 하책 15면)(채색)
반차도 92면(상책)(채색)



정의

1851년 철종(哲宗철인왕후(哲仁王后)의 혼례를 치르는 가례(嘉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1849년 헌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철종은 19세의 나이였지만 아직 혼인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헌종의 국상이 끝난 1851년 윤8월 3일 초간택가례도감이 설치되었다. 8월 13일 재간택, 8월 24일 삼간택을 거쳐 철인왕후가 낙점되었으며 이후 9월 19일 납채, 9월 21일 납폐, 9월 24일 고기, 9월 25일 책비, 9월 27일 명사봉영동뢰, 9월 28일 대왕대비 조현례, 9월 29일 왕대비와 대비 조현례 등에 이르는 가례 의식이 거행되었다.

목차

상책: 목록(目錄), 좌목(座目), 거행일기(擧行日記), 전교(傳敎), 이문(移文), 내관(來關), 예관(禮關), 감결(甘結), 상전(賞典), 의궤(儀軌), 일방의궤(一房儀軌)
하책: 이방의궤(二房儀軌), 삼방의궤三房儀軌), 별공작(別工作), 수리소(修理所儀軌)

해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51년 철종철인왕후가례가 거행되었다
1851년 『철종철인왕후가례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시각자료

가상현실

주석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혼정례』
  • 『상방정례』

더 읽을거리

  • 임민혁, 『조선 국왕 장가보내기』, 글항아리, 2017.
  • 신병주, 『왕실의 혼례식 풍경』, 돌베개, 2013.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저, 『조선 왕실의 혼례 이야기』,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11.
  • 이성미, 『가례도감의궤와 미술사』, 소와당, 2008.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병주, 『66세의 영조 15세의 신부를 맞이하다』, 효형출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