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순비책봉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1번째 줄: 1번째 줄: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의궤정보
 
{{의궤정보
 
|이미지=  
 
|이미지=  
|대표명칭= 순비책봉의궤(淳妃冊封儀軌)  
+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주제= [[가례|가례(嘉禮)]]/[[책례|책례(冊禮)]]
+
|대표명칭= 순비책봉의궤
 +
|한자표기= 淳妃冊封儀軌)  
 +
|주제= [[가례|가례(嘉禮)]]
 
|작성주체= [[장례원|장례원(掌禮院)]]
 
|작성주체= [[장례원|장례원(掌禮院)]]
 
|의례담당자= [[윤정구|윤정구(尹定求)]]
 
|의례담당자= [[윤정구|윤정구(尹定求)]]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901년(광무 5년)
 
|작성시기= 1901년(광무 5년)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1633023&pos=0&total_df=1&uci=GK13204_00&sWord=%EC%88%9C%EB%B9%84%EC%B1%85%EB%B4%89%EC%9D%98%EA%B6%A4 규장각])
+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
 
|판본= 필사본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1책 103장
+
|수량= 1책 103장
|도설= 36면(채색), 반차도 8면(채색)
+
|크기= 44.0×32.7
|필드수= 12
+
|도설= 36면(채색)
 +
|반차도= 8면(채색)
 +
|필드수= 13
 
}}
 
}}
  
 
=='''정의'''==
 
=='''정의'''==
 
+
1901년 [[고종|고종황제]]의 후궁인 [[순빈 엄씨|순빈 엄씨(淳嬪 嚴氏)]]를 황비로 책봉한 과정을 기록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216300 의궤]이다.
[[고종]]의 후궁인 [[순빈 엄씨|순빈 엄씨(淳嬪 嚴氏)]], 1854-1911)를 황비로 승봉(承奉)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교열|승봉|승봉,페이지 만드는 게 어떨까요? 승봉이 대한제국에서 사용되던 용어 같네요 |정주영}}
 
  
 
=='''내용'''==  
 
=='''내용'''==  
8월 13일 시역(始役), 9월 1일 책인(冊印), 봉과(封裹), 내입(內入) 및 습의(習儀)를 시행하였다. 그후 9월 4일 책봉(冊封)<ref> 왕세자, 세손, 후, 비, 빈 등을 봉하여 세우는 것</ref>의식을 거행하였다고 기록되었다.  
+
순빈 엄씨의 황비 책봉을 위해 1901년 8월 [[태복사|태복사(太僕司)]]에 [[책인조성소|책인조성소(冊印造成所)]]가 설치되었다. 9월 1일 책봉의식에 필요한 [[금책|금책(金冊)]]과 [[금인|금인(金印)]]을 준비하고, 본의식 전의 예행연습인 습의(習儀)를 시행하였다. 이후 9월 4일 책봉의식이 거행되었다.  
  
{{교열|책인(冊印), 봉과(封裹), 내입(內入) 및 습의(習儀)|뜻풀이 필요|정주영}}
 
 
===목록===
 
===목록===
 
+
사목(事目), 좌목(座目), 조칙(詔勅), 장례원주본(掌禮院奏本), 의주(儀註), 조작(造作), 감결(甘結), 상전(賞典), 의궤사례(儀軌事例)  
목록은 사목(事目), 좌목(座目), 조칙(詔勅), 장례원주본(掌禮院奏本), 의주(儀註), 조작(造作), 감결(甘結), 상전(賞典), 의궤사례(儀軌事例)로 구성되었다.
 
  
 
===해제===
 
===해제===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1633023&pos=0&total_df=1&uci=GK13204_00&sWord=%EC%88%9C%EB%B9%84%EC%B1%85%EB%B4%89%EC%9D%98%EA%B6%A4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규장각본 해제]
+
[http://e-kyujanggak.snu.ac.kr/home/center/inspection/ins_viewInfo.jsp?setid=1633023&pos=0&total_df=1&uci=GK13204_00&c1=&c2=&c3=&sType=&sWord=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본(奎 13204), (奎 13203), (奎 13205), (奎 13206), (奎 13209)<br/>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본(奎 13204), (奎 13203), (奎 13205), (奎 13206), (奎 13209)<br/>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654), (K2-2655)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654), (K2-2655)
  
==관련항목==
+
=='''지식 관계망'''==
===문헌 → 소장처 ===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순비책봉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
+
| 순비책봉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
| 순비책봉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 [[순비책봉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한다 ||
+
| 순비책봉의궤|| [[가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
 
|}
  
===문헌 → 복식 ===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순비책봉의궤]]  || [[책례복]] || A는 B를 보여준다 ||
+
| 1901년 9월 4일 || [[순빈 엄씨]]가 순비(淳妃)로 책봉되었다
 +
|-
 +
| 1901년 || 『순비책봉의궤』가 편찬되었다
 
|}
 
|}
  
===문헌 → 의례 ===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순비책봉의궤]]  || [[책례]] || A는 B를 기록한다 ||
 
 
|}
 
|}
  
===의례 → 기관===
+
=='''시각자료'''==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가상현실===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반차도VR 추가 예정
|-
 
| [[책례]]  || [[장례원]] || A는 B에서 주관한다 ||
 
|}
 
 
 
===인물 → 복식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종]]  || 면복 || A는 B를 착용한다 ||
 
|-
 
| [[순빈 엄씨]]  || 적의 || A는 B를 착용한다 ||
 
|}
 
  
 
=='''주석'''==
 
=='''주석'''==
 +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더 읽을거리===
 +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의궤]]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의궤]]

2017년 6월 6일 (화) 14:32 판


순비책봉의궤
(淳妃冊封儀軌))
[[file:|360px|thumb|center|규장각한국학연구원]]
대표명칭 순비책봉의궤
한자표기 淳妃冊封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장례원(掌禮院)
의례담당자 윤정구(尹定求)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901년(광무 5년)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규장각)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총 1책 103장
크기 44.0×32.7
도설 36면(채색)
반차도 8면(채색)



정의

1901년 고종황제의 후궁인 순빈 엄씨(淳嬪 嚴氏)를 황비로 책봉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순빈 엄씨의 황비 책봉을 위해 1901년 8월 태복사(太僕司)책인조성소(冊印造成所)가 설치되었다. 9월 1일 책봉의식에 필요한 금책(金冊)금인(金印)을 준비하고, 본의식 전의 예행연습인 습의(習儀)를 시행하였다. 이후 9월 4일 책봉의식이 거행되었다.

목록

사목(事目), 좌목(座目), 조칙(詔勅), 장례원주본(掌禮院奏本), 의주(儀註), 조작(造作), 감결(甘結), 상전(賞典), 의궤사례(儀軌事例)

해제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규장각본(奎 13204), (奎 13203), (奎 13205), (奎 13206), (奎 13209)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654), (K2-265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비책봉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순비책봉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순비책봉의궤 가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시간정보

시간 내용
1901년 9월 4일 순빈 엄씨가 순비(淳妃)로 책봉되었다
1901년 『순비책봉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시각자료

가상현실

반차도VR 추가 예정

주석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