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답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이미지= |사진출처= |대표명칭= 도포 |한자표기= 道袍 |이칭별칭= |복식구분= 의복 |착용신분= , [...)
 
14번째 줄: 14번째 줄:
  
 
==정의==
 
==정의==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관리들이 상복 안에 입거나 사대부의 겉옷 위에 덧입던 옷으로 조선 중기까지는 직령과 같은 형태에 소매만 반수의 여씾만 17세기를 지나면서 소매가 없어진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20쪽.</ref>
+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관리들이 상복 안에 입거나 사대부의 겉옷 위에 덧입던 옷으로 조선 중기까지는 [[직령]]과 같은 형태에 소매만 반수의 였지만 17세기를 지나면서 소매가 없어진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20쪽.</ref>
  
 
==내용==
 
==내용==
22번째 줄: 22번째 줄:
  
 
===착용상황===
 
===착용상황===
의례용이나 외출시, 평상복[편복]으로 착용하였는데, 외출시나 의례용으로 착용 할 때는 갓을 썼고 그 외에는 다양한 편복용 관모(정자관, 사방건 )를 썼다.
+
조선시대 답호는 조선 중기까지 왕의 상복과 관리들의 단령 안 받침옷이나 철릭, 직령 포 위에 덧입었다.
  
 
===형태===
 
===형태===
깃은 곧고 소매가 넓으며 뒷자락이 이중으로 된 형태이다. 무와 등바대에 연결된 자락은 뒷중심이 터져 있어 활동이 편리하며 뒷길과 연결된 자락이 터진 부분을 가려주어 말을 탈 때 하의(下衣)가 보이지 않게 한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3쪽.</ref>
+
고려시대 답호는 곧은 깃에 반소매가 팔꿈치에 이르며, 옷길이는 발목까지 오고 옆선에는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 고정된 다중 주믈의 무가 달려있으며 옆트임이 있다.
 +
조선시대 답호는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0쪽.</ref>
  
 
===기타===
 
===기타===
[[대창의|창의]]를 받침옷으로 입고, [[갓]] 등의 관모를 쓰고, 허리에는 [[광다회]]나 [[세조대]]를 띤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53쪽.</ref><br/>
+
답호는 중국 원나라때 등장한 의복으로 우리나 기록에는 고려시대 『원간노걸대』에 '대답호, 답호, 답호, 답홀'로 표기되어 있으며 더그레로 언해되어 있다.
조선 말기인 1884년(고종 21) 의복제도 개혁을 통해 넓은 소매 의복을 폐지하면서 대부분의 포류들을 [[두루마기|두루마기(남성)]]로 대체하는데 1900년 유림들의 저항으로 소매가 넓은 포 중 도포만을 허용하게 됨에 따라 다시 도포를 의례복으로 착용하게 되었다.<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48쪽.</ref>
+
고려시대 답호 유물로는 문수사의 답호와 해인사의 답호가 있다. <ref>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48쪽.</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2017년 6월 2일 (금) 16:16 판


도포
(道袍)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도포
한자표기 道袍
착용신분 ,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착용성별 남성



정의

고려 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 관리들이 상복 안에 입거나 사대부의 겉옷 위에 덧입던 옷으로 조선 중기까지는 직령과 같은 형태에 소매만 반수의 였지만 17세기를 지나면서 소매가 없어진다.[1]

내용

복식구성

착용신분

, 왕세자, 왕세손, 문무백관 등이 착용한다.

착용상황

조선시대 답호는 조선 중기까지 왕의 상복과 관리들의 단령 안 받침옷이나 철릭, 직령 등 포 위에 덧입었다.

형태

고려시대 답호는 곧은 깃에 반소매가 팔꿈치에 이르며, 옷길이는 발목까지 오고 옆선에는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 고정된 다중 주믈의 무가 달려있으며 옆트임이 있다. 조선시대 답호는 .[2]

기타

답호는 중국 원나라때 등장한 의복으로 우리나 기록에는 고려시대 『원간노걸대』에 '대답호, 답호, 답호, 답홀'로 표기되어 있으며 더그레로 언해되어 있다. 고려시대 답호 유물로는 문수사의 답호와 해인사의 답호가 있다. [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답호 A는 B를 착용하였다
답호 왕세자 A는 B를 착용하였다
답호 왕세손 A는 B를 착용하였다
답호 A는 B에 착용한다
답호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20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0쪽.
  3.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5, 248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