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설명)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정의'''==
 
=='''정의'''==
해당 작품은 1930년 5월 8일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인 [[이승훈]]이 자신이 개교한 [[오산학교|오산학교(五山學校)]]에서 훈화를 하는 장면을 담고있다. 이튼날 5월 9일 오전 4시, 67세의 나이로 [[이승훈]]은 병사하였다.
+
해당 작품은 1930년 5월 8일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인 [[이승훈]]이 자신이 개교한 [[오산학교|오산학교(五山學校)]]에서 훈화를 하는 장면을 담고있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1343&cid=59011&categoryId=59011
+
1907년 12월 24일 [[이승훈|남강(南岡) 이승훈(李昇薰)]]은 평안북도 정주군 갈산면 [[오산]]에 4년제 중등과정의 [[오산학교|오산학교(五山學校)]]를 개교하였다. [[이승훈]]은 기울어가는 나라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민족교육과 신교육이 최우선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오산학교]]를 설립했고, 기독교정신을 바탕으로 한 민족교육에 힘을 기울였다.<br/>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2560&cid=46623&categoryId=46623
+
해당 작품은 1930년 5월 8일 [[이승훈]]이 [[오산학교]] 운동장에서 학생들에게 훈화를 하던 장면을 담고 있는데, 이튿날인 5월 9일 오전 4시에 [[이승훈]]은 협심증으로 사망하였다고 한다.<br/>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8236&cid=40942&categoryId=34666
+
영면 직전 [[이승훈]] "내 뼈는 학교에 표본으로 만들어 보관하여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교육에 진력하는 사람들에게도 보여 주기를 원한다"고 하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그러나 일제의 금지로 실행되지 못하고 오산에 안장되었다.
 
 
 
 
[[이승훈]]은 1904년 11월 24일 중등교육기관으로 민족운동의 요람인 [[오산학교]]를 개교해 교장이 되었다. [[오산학교]][[이승훈]]의 헌신뿐 아니라, [[이종성]], [[이광수]], [[조만식]] 등의 노력으로 많은 인재를 배출해 민족교육사상 금자탑을 이루어 놓았다. 
 
 
 
1907년 12월 평북 정주군(定州郡)에 남강 이승훈(李昇薰)이 민족정신의 고취와 인재양성에 뜻을 두고 사재를 털어 설립한 학교.
 
 
 
 
 
해 가을에 105인사건이 일어나 신민회 간부와 600여 명의 애국지사가 잡혔을 때, 그도 주모자로 인정되어 제주도에서 서울로 압송되었다. 1912년 10월 윤치호 등과 함께 징역 10년을 선고받고 1915년 가출옥하였다.
 
오산학교로 돌아와 학교와 교회일에 정성을 다하였다.
 
 
 
@@@@@@1911년 9월  [[105인 사건]]의 주모자의 한 사람으로 지목되어 감옥생활을 하였고, 출옥 후 오산학교로 돌아온 선생은 학교 일에 정성을 다하였고,
 
 
 
1919년 3·1운동 때에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이 운동의 기독교대표로 참가하였다.  3·1운동으로 종로서에 구속되어 다른 47인과 함께 1920년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마포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1922년 가출옥해 오산학교로 돌아왔다. 이 해 일본 시찰로 견문을 넓히고 오산학교 경영에 심혈을 기울이던
 
 
 
 
 
@@@@@@그러던 중 1930년 5월 8일 선생은 전처럼 오산학교를 다 돌아보고 학생들 앞에서 훈화를 하고, 집으로 돌아와 자면회(自勉會) 사람들을 모아놓고 이야기를 했다. 자면회는 용동 사람들로 조직된 자치기관으로 선생은 거기에 자신의 땅을 내놓아 공동 경작하게 하며 생활 개선과 향상에 힘쓰고 있었다. 선생은 이들을 다 돌려보내고 갑자기 병이 나 이튿날인 5월 9일 오전 4시, 67세를 일기로 운명하였다.
 
영면 직전 선생은 평소에 늘 하던 대로, “내 뼈는 학교에 표본으로 만들어 보관하여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교육에 진력하는 사람들에게도 보여 주기를 원한다”고 하는 유언을 남겼다. 이로 보아 선생은 살아서든 죽어서든 겨레의 스승이었다. 살아서는 독립운동가로 조국 광복과 민족 독립을 위해 혼신의 힘을 쏟았고, 죽은 뒤에는 자신의 유골까지도 표본으로 만들어 학생들의 학습에 이용하라고 한 것이다.
 
 
 
동아일보사장에서 물러난 뒤 다시 오산학교로 돌아와 학교 운영에 심혈을 기울였다.
 
 
 
 
 
 
 
죽기 직전 자기의 유골을 해부해 생리학 표본으로 만들어 학생들의 학습에 이용하라는 유언을 남겼으나 일제의 금지로 실행되지 못하고 오산에 안장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승훈 [李昇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1919년 3·1운동 때에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으로 이 운동의 기독교대표로 참가하였다.  3·1운동으로 종로서에 구속되어 다른 47인과 함께 1920년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마포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1922년 가출옥해 오산학교로 돌아왔다. 이 해 일본 시찰로 견문을 넓히고 오산학교 경영에 심혈을 기울이던
 
 
 
중 1924년 김성수(金性洙)의 간청으로 동아일보사 사장에 취임, 1년 동안 경영을 맡기도 하였다.
 
이 때 물산장려운동·민립대학설립운동 등에 가담했으며, 조선교육협회에도 관여하는 등 활동 범위가 매우 넓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승훈 [李昇薰] - 민족대표 33인 (독립운동가)
 
 
 
 
 
 
===작품 배경===
 
===작품 배경===
1907년 12월 24일 오산고등보통학교로 개교
+
작품의 배경은 [[오산학교]]로, 1907년 12월 24일 오산고등보통학교로 개교하였고, 현 [[오산중학교]]와 [[오산고등학교]]의 전신이다.<br/>
 
+
개교 당시 학생 수 7명에 교사 수는 2명이었으나, 1920년에는 200여 명에 이르렀다. 1919년 [[삼일운동]] 당시 [[이승훈]]은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대표로 참가하다 투옥되었고, 1923년 출감하여 학교를 재건하고, 종합교육기관으로서의 계획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모든 계획이 중단되었다.<br/>
 
+
1942년 일제는 민족의식을 말살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들을 투옥시키고, 일본인 교장을 세워 학교를 운영하였으나 학생들은 이에 맞서 격렬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ref>'1942년...전개하였다.'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302 오산고등학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광복 후 부산시 동구 동대신동에서 오산고등학교로 재건하였다가, 1956년 4월, 현재 위치인 서울 용산구 [[보광동]]로 이전하였다.
오산학교 교장, 민족대표33인 기독교대표, 동아일보사 사장,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96번째 줄: 57번째 줄: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1920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1920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gallery>
 
</gallery>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1343&cid=59011&categoryId=59011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2560&cid=46623&categoryId=46623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8236&cid=40942&categoryId=34666
  
 
=='''관련항목'''==
 
=='''관련항목'''==
112번째 줄: 77번째 줄:
 
|-  
 
|-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월 15일-1992년 1월 14일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월 15일-1992년 1월 14일
 +
|-
 +
| [[이승훈]] || [[오산학교]] || A는 B를 설립하였다 || 1907년 12월 24일
 +
|-
 +
| [[이승훈]] || [[민족대표 33인]] || A는 B의 일원이다 ||
 +
|-
 +
| [[이승훈]] || [[삼일운동]] || A는 B에 참가하였다 || 1919년 3월 1일
 +
|-
 +
| [[이승훈]] || [[동아일보]] || A는  || 1924년 5월-10월
 +
|-
 +
| [[이승훈]] || [[물산장려운동]] || A는 B에 참가하였다 ||
 +
|-
 +
| [[이승훈]] || [[민립대학설립운동]]  || A는 B에 참가하였다 ||
 
|}
 
|}
1907 오산학교 건립, 신민회 가입
+
 
1911 105인사건으로 옥고
 
1919 민족대표33인중 기독교측 대표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123번째 줄: 98번째 줄:
 
|-
 
|-
 
|1991년 1월 15일-1992년 1월 14일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15일-1992년 1월 14일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
 +
|1907년 12월 24일 || [[이승훈]]이 [[오산학교]]를 설립하였다
 +
|-
 +
| 1911년 9월 || [[이승훈]]이 [[105인 사건]]으로 투옥되었다
 +
|-
 +
|1919년 3월 1일 || [[이승훈]]이 [[삼일운동]]에 참가하였다
 +
|-
 +
|1924년 5월-10월 || [[이승훈]]이 [[동아일보]] 사장직을 역임하였다
 +
|-
 +
|1930년 5월 9일 4시 || [[이승훈]]이 사망하였다
 
|-
 
|-
 
|}
 
|}
140번째 줄: 125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964 이승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302 오산고등학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5204 오산학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주석'''==
 
=='''주석'''==

2017년 6월 1일 (목) 03:34 판


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
작가 박각순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계몽/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해당 작품은 1930년 5월 8일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인 이승훈이 자신이 개교한 오산학교(五山學校)에서 훈화를 하는 장면을 담고있다.

설명

작품 소재

1907년 12월 24일 남강(南岡) 이승훈(李昇薰)은 평안북도 정주군 갈산면 오산에 4년제 중등과정의 오산학교(五山學校)를 개교하였다. 이승훈은 기울어가는 나라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민족교육과 신교육이 최우선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오산학교를 설립했고, 기독교정신을 바탕으로 한 민족교육에 힘을 기울였다.
해당 작품은 1930년 5월 8일 이승훈오산학교 운동장에서 학생들에게 훈화를 하던 장면을 담고 있는데, 이튿날인 5월 9일 오전 4시에 이승훈은 협심증으로 사망하였다고 한다.
영면 직전 이승훈 "내 뼈는 학교에 표본으로 만들어 보관하여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교육에 진력하는 사람들에게도 보여 주기를 원한다"고 하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그러나 일제의 금지로 실행되지 못하고 오산에 안장되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오산학교로, 1907년 12월 24일 오산고등보통학교로 개교하였고, 현 오산중학교오산고등학교의 전신이다.
개교 당시 학생 수 7명에 교사 수는 2명이었으나, 1920년에는 200여 명에 이르렀다. 1919년 삼일운동 당시 이승훈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대표로 참가하다 투옥되었고, 1923년 출감하여 학교를 재건하고, 종합교육기관으로서의 계획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모든 계획이 중단되었다.
1942년 일제는 민족의식을 말살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들을 투옥시키고, 일본인 교장을 세워 학교를 운영하였으나 학생들은 이에 맞서 격렬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1]
광복 후 부산시 동구 동대신동에서 오산고등학교로 재건하였다가, 1956년 4월, 현재 위치인 서울 용산구 보광동로 이전하였다.

시각적 안내

손병희한용운백용성박각순 「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1343&cid=59011&categoryId=590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2560&cid=46623&categoryId=4662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8236&cid=40942&categoryId=34666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각순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A는 B를 그렸다 1976년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이승훈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오산학교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독립기념관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15일-1992년 1월 14일
이승훈 오산학교 A는 B를 설립하였다 1907년 12월 24일
이승훈 민족대표 33인 A는 B의 일원이다
이승훈 삼일운동 A는 B에 참가하였다 1919년 3월 1일
이승훈 동아일보 A는 1924년 5월-10월
이승훈 물산장려운동 A는 B에 참가하였다
이승훈 민립대학설립운동 A는 B에 참가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박각순이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를 그렸다.
1991년 1월 15일-1992년 1월 14일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을 대여하였다
1907년 12월 24일 이승훈오산학교를 설립하였다
1911년 9월 이승훈105인 사건으로 투옥되었다
1919년 3월 1일 이승훈삼일운동에 참가하였다
1924년 5월-10월 이승훈동아일보 사장직을 역임하였다
1930년 5월 9일 4시 이승훈이 사망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7861847 127.2242915 독립기념관이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을 소장하고 있다
37.392958 127.158241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을 대여하였다

그래프

참고문헌

  • "이승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오산고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오산학교",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주석

  1. '1942년...전개하였다.' : "오산고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0일.
  3.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0일.
  4.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