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장각한국학연구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15번째 줄: 15번째 줄:
 
[[규장각]]은 본래 1776년 조선의 22대 국왕 [[정조]]가 [[창덕궁]] 후원에 설치한 기관으로 역대 국왕의 시문, 친필의 서화·고명(顧命)·유교·선보(璿譜)·보감(寶鑑)을 보관 및 관리하던 곳이다. 이후 [[궁내부]] [[규장각]], [[조선총독부]], [[경성제국대학]]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변천하였다. 고도서 17만 5천여 책, 고문서 5만여 점, 책판 및 기타 1만 8천여 장 등 총 26만여 점의 국학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이중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1, 3호), 『일성록』(국보 제153호), 『승정원일기』(국보 제303호) 등 6종 7,076책이 국보로, 8종 28책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본관 1층에 상설 전시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학자와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규장각]]은 본래 1776년 조선의 22대 국왕 [[정조]]가 [[창덕궁]] 후원에 설치한 기관으로 역대 국왕의 시문, 친필의 서화·고명(顧命)·유교·선보(璿譜)·보감(寶鑑)을 보관 및 관리하던 곳이다. 이후 [[궁내부]] [[규장각]], [[조선총독부]], [[경성제국대학]]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변천하였다. 고도서 17만 5천여 책, 고문서 5만여 점, 책판 및 기타 1만 8천여 장 등 총 26만여 점의 국학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이중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1, 3호), 『일성록』(국보 제153호), 『승정원일기』(국보 제303호) 등 6종 7,076책이 국보로, 8종 28책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본관 1층에 상설 전시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학자와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
규장각은 본래 1776년 조선의 22대 국왕 정조가 창덕궁 후원에 설치한 기관으로 역대 국왕의 시문, 친필의 서화·고명(顧命)·유교·선보(璿譜)·보감(寶鑑)을 보관 및 관리하던 곳이다. 이후 궁내부 규장각, 조선총독부, 경성제국대학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변천하였다. 고도서 17만 5천여 책, 고문서 5만여 점, 책판 및 기타 1만 8천여 장 등 총 26만여 점의 국학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이중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1, 3호), 『일성록』(국보 제153호), 『승정원일기』(국보 제303호) 등 6종 7,076책이 국보로, 8종 28책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본관 1층에 상설 전시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학자와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57170&cid=42840&categoryId=42848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 초판 2004., 5쇄 2009., 돌베개)]
 
  
 +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 초판 2004., 5쇄 2009., 돌베개)
 +
 +
 +
 +
 +
<ref>[http://terms.naver.com/list.nhn?cid=42840&categoryId=42848&so=st4.asc,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 초판 2004., 5쇄 2009., 돌베개)] </ref>
  
 
=='''클래스'''==
 
=='''클래스'''==

2016년 12월 27일 (화) 17:51 판

틀:기관정보


개관

규장각은 본래 1776년 조선의 22대 국왕 정조창덕궁 후원에 설치한 기관으로 역대 국왕의 시문, 친필의 서화·고명(顧命)·유교·선보(璿譜)·보감(寶鑑)을 보관 및 관리하던 곳이다. 이후 궁내부 규장각, 조선총독부, 경성제국대학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변천하였다. 고도서 17만 5천여 책, 고문서 5만여 점, 책판 및 기타 1만 8천여 장 등 총 26만여 점의 국학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이중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1, 3호), 『일성록』(국보 제153호), 『승정원일기』(국보 제303호) 등 6종 7,076책이 국보로, 8종 28책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본관 1층에 상설 전시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학자와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규장각은 본래 1776년 조선의 22대 국왕 정조가 창덕궁 후원에 설치한 기관으로 역대 국왕의 시문, 친필의 서화·고명(顧命)·유교·선보(璿譜)·보감(寶鑑)을 보관 및 관리하던 곳이다. 이후 궁내부 규장각, 조선총독부, 경성제국대학을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으로 변천하였다. 고도서 17만 5천여 책, 고문서 5만여 점, 책판 및 기타 1만 8천여 장 등 총 26만여 점의 국학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이중 『조선왕조실록』(국보 제151-1, 3호), 『일성록』(국보 제153호), 『승정원일기』(국보 제303호) 등 6종 7,076책이 국보로, 8종 28책이 보물로 지정되었다. 본관 1층에 상설 전시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전공학자와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 초판 2004., 5쇄 2009., 돌베개)



[1]

클래스

  • 유물


지도

기여

출처

  1.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 서울, 초판 2004., 5쇄 2009., 돌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