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시각적 안내)
16번째 줄: 16번째 줄: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1905년 [[을사조약]] 체결을 계기로 공개적으로 의병을 모집하였다.  
+
1905년 11월 17일 강압적으로 체결된 [[을사조약|을사조약(乙巳條約)]]에 대항하여 [[최익현]]은 [[임병찬]], [[임락]] 등과 함께 1906년 6월 전라북도 태인(泰仁)의 [[무성서원|무성서원(武城書院)]]에서 거병하여, 정읍·순창을 지나 담양 방면으로 향하던중, 전주·남원 진위대와 대치하게 되었다.  
  
  
임병찬, 임락 등과 함께 전라북도 정읍 에서 거병하였으나, 곧 관군에게 패하여 체포되었고 대마도에 유배되었다. 유배 당일, 대마도주의 일본식 단발 요구에 대한 항의의 단식을 시작하였으나, 대마도주의 사과 및 왕명으로 단식을 중단을 하였다. 하지만, 단식의 후유증으로 3개월 뒤의 발병으로 7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1]사후 1928년
+
그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피하기 위하여 교전을 회피하였다. 진위대는 오히려 이 틈을 공격하여 의병진은 참패를 당하였다. 그 결과 최익현 이하 임병찬·고석진(高石鎭) 등 주모자 13명이 붙잡힘으로써 의병진은 해체되었고, 최익현은 다음 해에 일본 쓰시마[對馬島]로 이송되어 그들의 핍박을 당하다 “일본인이 주는 밥을 먹을 수 없다”고 단식 항거하다 아사 순국하였다.
 +
[네이버 지식백과] 을사의병 [乙巳義兵] (두산백과)
 +
 
 +
 
 +
선생은 “이미 소장(疏狀)을 올려 의병을 일으키게 된 연유를 말씀 드렸으니, 나의 진퇴는 관찰사의 직권으로 지휘할 바가 아니다”는 답장을 보냈다. 그리고 다시 남원 진입을 꾀했다. 그러나 남원을 지키고 있는 부대가 왜군이 아니고 우리측 진위대(鎭衛隊)임이 확인되었다. 진위대 측은 “대감이 민병을 해산시키지 않으면 전진이 있을 뿐”이라는 통보를 세 차례나 보내왔다. 선생은 괴로워했다. 선생은 임병찬에게 동포끼리 서로 박해를 하는 것은 원치 않으니 즉시 해산시키라고 명령했다. 쉽사리 흐트러지지 않던 의병들은 눈물을 머금고 해산하였다.
 +
 
 +
선생 곁에 끝까지 남은 의병은 12명뿐이었다. 4월 23일(양력 6월 14일), 선생 등 의병 일행은 서울로 압송되어 우리 사법부가 아닌 일제에 의해 재판을 받게 된다. ‘대마도 감금 3년’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선생은 1906년 11월 17일(양력 1907년 1월 1일) 단식끝에 한 많은 적지에서 숨을 거두었다.
  
 +
1906년 11월 20일(양력 1월 4일) 일본 대마도 수선사(修善寺)에서 임병찬이 제문을 읽은 후 이틀 후에 부산 초량에 닿았는데, 이 소식을 들은 많은 유림시민들은 눈물을 머금고 나와 맞이하였으며 영구(靈柩)를 붙들고 통곡했다. 상여가 마련되어 정산(定山) 본가로 운구하는 곳에 따라 노제로 전송하고 울부짖는 민중들 때문에 하루에 10리 밖에 운구하지 못하였다. 영구는 구포, 김해, 성주, 공주를 거쳐 15일 만에 정산에 도착하여 그 해 4월(양력 5월) 노성 무동산에 안장되었다. 위대한 유학의 거봉(巨峰)이요 항일의 선봉이 되어 독립운동의 선구자가 된 선생의 충혼은 영원히 불멸의 빛이 되어 오늘에 사는 우리의 귀감이 되고 있다.
 +
[네이버 지식백과] 최익현 [崔益鉉] - 74세 나이로 의병 봉기 (독립운동가)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0565&cid=59011&categoryId=59011
 +
 +
 +
 +
 +
 +
 +
유배 당일, 대마도주의 일본식 단발 요구에 대한 항의의 단식을 시작하였으나, 대마도주의 사과 및 왕명으로 단식을 중단을 하였다. 하지만, 단식의 후유증으로 3개월 뒤의 발병으로 7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 1906년 6월 전라북도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서 의거한 최익현 의병진은 정읍·순창을 지나 담양 방면으로 향하던중, 전주·남원 진위대와 대치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피하기 위하여 교전을 회피하였다. 진위대는 오히려 이 틈을 공격하여 의병진은 참패를 당하였다. 그 결과 최익현 이하 임병찬·고석진(高石鎭) 등 주모자 13명이 붙잡힘으로써 의병진은 해체되었고, 최익현은 다음 해에 일본 쓰시마[對馬島]로 이송되어 그들의 핍박을 당하다 “일본인이 주는 밥을 먹을 수 없다”고 단식 항거하다 아사 순국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을사의병 [乙巳義兵] (두산백과)
 
  
1906년 전라도 태인현에서 항일 의병을 일으켰을 때 최익현은 이미 74세였고, 그 생애의 마지막 해였다.
 
 
최익현의 의병은 첫 항일 전투에서 열악한 무기와 미비한 전투력 탓에 패배를 했고, 전투 현장에서 체포된 그는 서울로 압송되어 한국주차군사령부에 구금되었다가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위술영 경비대에 이감되었다.
 
최익현의 의병은 첫 항일 전투에서 열악한 무기와 미비한 전투력 탓에 패배를 했고, 전투 현장에서 체포된 그는 서울로 압송되어 한국주차군사령부에 구금되었다가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위술영 경비대에 이감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최고령 의병장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2002. 12. 10., 현암사)
 
[네이버 지식백과] 최고령 의병장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2002. 12. 10., 현암사)
  
  
1906년 6월 13일 조정으로부터 궁내부특진관에서 해임되었다. 6월 14일 끝까지 남아 있던 최익현 이하 임병찬, 고석진, 김기술, 문달환(文達煥), 임현주(林顯周), 유종규, 조우식(趙愚植), 조영선(趙泳善), 최제학, 나기덕(羅基德), 이용길, 유해용(柳海瑢) 등 13인의 의사들은 전주로 압송되었다. 이로써 최익현의 의병항전은 종말을 고하였다.
+
6월 14일 끝까지 남아 있던 최익현 이하 임병찬, 고석진, 김기술, 문달환(文達煥), 임현주(林顯周), 유종규, 조우식(趙愚植), 조영선(趙泳善), 최제학, 나기덕(羅基德), 이용길, 유해용(柳海瑢) 등 13인의 의사들은 전주로 압송되었다. 이로써 최익현의 의병항전은 종말을 고하였다.
 
6월 말 최익현은 이들과 함께 다시 경성부로 압송되어 경성 주재 일본군사령부에 감금당하였다. 최익현 이하 13인의 의병장들은 여기서 그들의 심문과 회유를 받는 동안에도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 음모의 죄상을 성토하였다. 2개월간 일본군사령부에 감금된 끝에 최익현과 임병찬은 그해 8월 하순 일본의 쓰시마 섬 엄원(嚴原) 위수영(衛戍營)으로 압송되어 감금되었다. 그곳에는 홍주의병진의 유준근(柳濬根), 이식(李식) 등 의병 9인이 이미 함께 감금되어 있었다.
 
6월 말 최익현은 이들과 함께 다시 경성부로 압송되어 경성 주재 일본군사령부에 감금당하였다. 최익현 이하 13인의 의병장들은 여기서 그들의 심문과 회유를 받는 동안에도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 음모의 죄상을 성토하였다. 2개월간 일본군사령부에 감금된 끝에 최익현과 임병찬은 그해 8월 하순 일본의 쓰시마 섬 엄원(嚴原) 위수영(衛戍營)으로 압송되어 감금되었다. 그곳에는 홍주의병진의 유준근(柳濬根), 이식(李식) 등 의병 9인이 이미 함께 감금되어 있었다.
  

2017년 5월 9일 (화) 02:58 판


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
작가 이의주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계몽/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1905년 을사조약에 저항한 대표적 의병장인 최익현은 1906년 1월 1일 대마도 감옥에서 순국하였다. 최익현의 유해는 대마도 수선사(修善寺)에서 최익현과 함께 압송되어 감금되었던 임병찬이 1906년 1월 4일 제문을 읽은 이틀 후인 1월 6일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도착하였는데, 해당 작품은 최익현의 유해 환국을 담고 있다.

설명

작품 소재

1905년 11월 17일 강압적으로 체결된 을사조약(乙巳條約)에 대항하여 최익현임병찬, 임락 등과 함께 1906년 6월 전라북도 태인(泰仁)의 무성서원(武城書院)에서 거병하여, 정읍·순창을 지나 담양 방면으로 향하던중, 전주·남원 진위대와 대치하게 되었다.


그는 동족상잔의 비극을 피하기 위하여 교전을 회피하였다. 진위대는 오히려 이 틈을 공격하여 의병진은 참패를 당하였다. 그 결과 최익현 이하 임병찬·고석진(高石鎭) 등 주모자 13명이 붙잡힘으로써 의병진은 해체되었고, 최익현은 다음 해에 일본 쓰시마[對馬島]로 이송되어 그들의 핍박을 당하다 “일본인이 주는 밥을 먹을 수 없다”고 단식 항거하다 아사 순국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을사의병 [乙巳義兵] (두산백과)


선생은 “이미 소장(疏狀)을 올려 의병을 일으키게 된 연유를 말씀 드렸으니, 나의 진퇴는 관찰사의 직권으로 지휘할 바가 아니다”는 답장을 보냈다. 그리고 다시 남원 진입을 꾀했다. 그러나 남원을 지키고 있는 부대가 왜군이 아니고 우리측 진위대(鎭衛隊)임이 확인되었다. 진위대 측은 “대감이 민병을 해산시키지 않으면 전진이 있을 뿐”이라는 통보를 세 차례나 보내왔다. 선생은 괴로워했다. 선생은 임병찬에게 동포끼리 서로 박해를 하는 것은 원치 않으니 즉시 해산시키라고 명령했다. 쉽사리 흐트러지지 않던 의병들은 눈물을 머금고 해산하였다.

선생 곁에 끝까지 남은 의병은 12명뿐이었다. 4월 23일(양력 6월 14일), 선생 등 의병 일행은 서울로 압송되어 우리 사법부가 아닌 일제에 의해 재판을 받게 된다. ‘대마도 감금 3년’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선생은 1906년 11월 17일(양력 1907년 1월 1일) 단식끝에 한 많은 적지에서 숨을 거두었다.

1906년 11월 20일(양력 1월 4일) 일본 대마도 수선사(修善寺)에서 임병찬이 제문을 읽은 후 이틀 후에 부산 초량에 닿았는데, 이 소식을 들은 많은 유림시민들은 눈물을 머금고 나와 맞이하였으며 영구(靈柩)를 붙들고 통곡했다. 상여가 마련되어 정산(定山) 본가로 운구하는 곳에 따라 노제로 전송하고 울부짖는 민중들 때문에 하루에 10리 밖에 운구하지 못하였다. 영구는 구포, 김해, 성주, 공주를 거쳐 15일 만에 정산에 도착하여 그 해 4월(양력 5월) 노성 무동산에 안장되었다. 위대한 유학의 거봉(巨峰)이요 항일의 선봉이 되어 독립운동의 선구자가 된 선생의 충혼은 영원히 불멸의 빛이 되어 오늘에 사는 우리의 귀감이 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최익현 [崔益鉉] - 74세 나이로 의병 봉기 (독립운동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0565&cid=59011&categoryId=59011




유배 당일, 대마도주의 일본식 단발 요구에 대한 항의의 단식을 시작하였으나, 대마도주의 사과 및 왕명으로 단식을 중단을 하였다. 하지만, 단식의 후유증으로 3개월 뒤의 발병으로 7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최익현의 의병은 첫 항일 전투에서 열악한 무기와 미비한 전투력 탓에 패배를 했고, 전투 현장에서 체포된 그는 서울로 압송되어 한국주차군사령부에 구금되었다가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위술영 경비대에 이감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최고령 의병장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2002. 12. 10., 현암사)


6월 14일 끝까지 남아 있던 최익현 이하 임병찬, 고석진, 김기술, 문달환(文達煥), 임현주(林顯周), 유종규, 조우식(趙愚植), 조영선(趙泳善), 최제학, 나기덕(羅基德), 이용길, 유해용(柳海瑢) 등 13인의 의사들은 전주로 압송되었다. 이로써 최익현의 의병항전은 종말을 고하였다. 6월 말 최익현은 이들과 함께 다시 경성부로 압송되어 경성 주재 일본군사령부에 감금당하였다. 최익현 이하 13인의 의병장들은 여기서 그들의 심문과 회유를 받는 동안에도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 음모의 죄상을 성토하였다. 2개월간 일본군사령부에 감금된 끝에 최익현과 임병찬은 그해 8월 하순 일본의 쓰시마 섬 엄원(嚴原) 위수영(衛戍營)으로 압송되어 감금되었다. 그곳에는 홍주의병진의 유준근(柳濬根), 이식(李식) 등 의병 9인이 이미 함께 감금되어 있었다.

최익현은 일본 정부 측의 갖은 협박과 회유를 뿌리치고 단식에 돌입하였다. 최익현은 죽음이 임박해지자 임병찬에게《유소(遺疏)》를 구술, 다음과 같은 여한(餘恨)을 남겼다.

"신의 나이 75살이오니 죽어도 무엇이 애석하겠습니까. 다만 역적을 토벌하지 못하고 원수를 갚지 못하며, 국권을 회복하지 못하고 강토를 다시 찾지 못하여 4천년 화하정도가 더럽혀져도 부지하지 못하고, 삼천리 강토 선왕의 적자가 어육이 되어도 구원하지 못하였으니, 이것이 신이 죽더라고 눈을 감지 못하는 이유인 것입니다.

일본인들은 강제로 그의 입에 음식을 넣었으나 모두 뱉거나 입을 열지 않고 저항하였다. 1907년 1월 1일 쓰시마 섬 감옥에서 순국하였다.

최익현의 유해는 1월 5일 쓰시마에서 배편으로 경상남도 동래부 초량(草梁)에 닿았다. '춘추대의 일월고충'(春秋大義 日月孤忠) 8자의 만장(輓章)을 앞세운 그의 영구(靈柩)는 연도에 수많은 인파가 늘어서 애도하는 가운데 구포, 성주, 황간, 공주 등지를 거쳐 1월 20일 청양의 본가에 도착, 무동산(舞童山) 기슭에 묻혔다. 1907년 논산군 상월면의 국도변에 안장했다가 뒤에 예산군 관음리로 이장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C%9D%B5%ED%98%84


선생은 “이미 소장(疏狀)을 올려 의병을 일으키게 된 연유를 말씀 드렸으니, 나의 진퇴는 관찰사의 직권으로 지휘할 바가 아니다”는 답장을 보냈다. 그리고 다시 남원 진입을 꾀했다. 그러나 남원을 지키고 있는 부대가 왜군이 아니고 우리측 진위대(鎭衛隊)임이 확인되었다. 진위대 측은 “대감이 민병을 해산시키지 않으면 전진이 있을 뿐”이라는 통보를 세 차례나 보내왔다. 선생은 괴로워했다. 선생은 임병찬에게 동포끼리 서로 박해를 하는 것은 원치 않으니 즉시 해산시키라고 명령했다. 쉽사리 흐트러지지 않던 의병들은 눈물을 머금고 해산하였다. 선생 곁에 끝까지 남은 의병은 12명뿐이었다. 4월 23일(양력 6월 14일), 선생 등 의병 일행은 서울로 압송되어 우리 사법부가 아닌 일제에 의해 재판을 받게 된다. ‘대마도 감금 3년’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선생은 1906년 11월 17일(양력 1907년 1월 1일) 단식끝에 한 많은 적지에서 숨을 거두었다.

1906년 11월 20일(양력 1월 4일) 일본 대마도 수선사(修善寺)에서 임병찬이 제문을 읽은 후 이틀 후에 부산 초량에 닿았는데, 이 소식을 들은 많은 유림시민들은 눈물을 머금고 나와 맞이하였으며 영구(靈柩)를 붙들고 통곡했다. 상여가 마련되어 정산(定山) 본가로 운구하는 곳에 따라 노제로 전송하고 울부짖는 민중들 때문에 하루에 10리 밖에 운구하지 못하였다. 영구는 구포, 김해, 성주, 공주를 거쳐 15일 만에 정산에 도착하여 그 해 4월(양력 5월) 노성 무동산에 안장되었다. 위대한 유학의 거봉(巨峰)이요 항일의 선봉이 되어 독립운동의 선구자가 된 선생의 충혼은 영원히 불멸의 빛이 되어 오늘에 사는 우리의 귀감이 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최익현 [崔益鉉] - 74세 나이로 의병 봉기 (독립운동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0565&cid=59011&categoryId=59011


최익현의 의병은 첫 항일 전투에서 열악한 무기와 미비한 전투력 탓에 패배를 했고, 전투 현장에서 체포된 그는 서울로 압송되어 한국주차군사령부에 구금되었다가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위술영 경비대에 이감되었다. 그리고 ‘왜놈 땅에서 난 곡식은 먹지 않겠다’며 단식을 하다가 대마도로 이송된 지 넉 달 만인 11월 17일에 그곳 감옥에서 순국했다. 그러나 그의 항일 의병 운동은 일제하에 되살아나 독립 운동의 원천이 되었다.

충청남도 청양의 모덕사(慕德詞)에 제향되고 포천ㆍ해주ㆍ고창ㆍ곡성ㆍ화순ㆍ무안ㆍ함평ㆍ광산ㆍ구례ㆍ등지에서 봉향되어 그의 높은 지조와 절의를 기리고 있으며, 그를 기리는 춘추대의비(春秋大義碑)가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에 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 공로훈장 중장이 수여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최고령 의병장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2002. 12. 10., 현암사)



작품 배경

시각적 안내

이의주 「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의주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A는 B를 그렸다 1976년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 A는 B와 관련이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A는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지부복궐상소 최익현 A는 B와 관련이 있다 1876년 2월
조헌 지부복궐상소 A는 B와 관련이 있다
강화도조약 지부복궐상소 A는 B와 관련이 있다 1876년 2월 3일

|- | 최익현 || 을사의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을사조약 || 을사의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1905년 11월 17일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이의주가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를 그렸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을 대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3554 127.053661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을 대여하였다

그래프

참고문헌

주석

  1.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9일.
  2. "민족기록화7",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9일.
  3. "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5월 0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