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순천 선암사 불조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내용)
25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
 +
[[순천 선암사 대웅전|대웅전]] 뒤쪽의 중심 축선상에 [[순천 선암사 팔상전|팔상전(八相殿)]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과거 7불과 미래 1000불의 불조인 53불을 함께 봉안하고 있다.<ref>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5&cp_code=cp0203&index_id=cp02030696&content_id=cp020306960001&search_left_menu=134 불조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9일.</ref>
 +
 
불조전 내부에 봉안된 불화는 1702년에 조성된 불화를 비롯해 근래에 조성된 불화와 조성연대가 불분명한 것들이 함께 섞여 있으며, 불조전 정면과 좌우측 벽면 모두에 자리하고 있다. 내부에 봉안된 60불 가운데 4구는 예전에 도난당하여 1988년에 다시 조성한 것이며, 이들 불상의 규모는 크게 대(73cm), 중(64cm), 소(56cm)의 크기로 나뉜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282-283쪽.</ref>
 
불조전 내부에 봉안된 불화는 1702년에 조성된 불화를 비롯해 근래에 조성된 불화와 조성연대가 불분명한 것들이 함께 섞여 있으며, 불조전 정면과 좌우측 벽면 모두에 자리하고 있다. 내부에 봉안된 60불 가운데 4구는 예전에 도난당하여 1988년에 다시 조성한 것이며, 이들 불상의 규모는 크게 대(73cm), 중(64cm), 소(56cm)의 크기로 나뉜다.<ref>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282-283쪽.</ref>
  

2017년 4월 29일 (토) 19:14 판


순천 선암사 불조전
(順天 仙岩寺 佛祖殿)
답사 이후 추가 예정
대표명칭 순천 선암사 불조전
한자 順天 仙岩寺 佛祖殿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문화재 지정번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5호
문화재 지정일 2008년 9월 19일
소유자 순천 선암사
관리자 순천 선암사
건립시대 조선시대



정의

내용

대웅전 뒤쪽의 중심 축선상에 [[순천 선암사 팔상전|팔상전(八相殿)]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며 과거 7불과 미래 1000불의 불조인 53불을 함께 봉안하고 있다.[1]

불조전 내부에 봉안된 불화는 1702년에 조성된 불화를 비롯해 근래에 조성된 불화와 조성연대가 불분명한 것들이 함께 섞여 있으며, 불조전 정면과 좌우측 벽면 모두에 자리하고 있다. 내부에 봉안된 60불 가운데 4구는 예전에 도난당하여 1988년에 다시 조성한 것이며, 이들 불상의 규모는 크게 대(73cm), 중(64cm), 소(56cm)의 크기로 나뉜다.[2]

시각자료

갤러리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순천 선암사 불조전 순천 선암사 A는 B에 있다

참고문헌

  •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주석

  1. "불조전",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29일.
  2. 사찰문화연구원, 『전국사찰총서6』, 사찰문화연구원, 1996. 282-28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