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개성 흥왕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4번째 줄: 24번째 줄:
  
  
=='''개요'''==
+
=='''내용'''==
고려시대의 대표적 사찰이며, [[고려 문종]]의 원찰(願刹)로 창건되었다. 1056년(문종 10)에 착공하여 12년 만인 1067년(문종 21)에 준공한 대공사로서 고려 일대를 통해서 가장 큰 규모였다.<ref>이를 통해 당시 고려의 문물 발달이나 국가의 부력이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실제로 이제현의 《익재난고》에서는 나라의 부유함과 높은 문화수준을 묘사하며 이 시기를 태평성대라 적고 있기도 하다. 진홍섭,『묵재한화』, 대원사, 2011. 12,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978&tabNodeId=NODE04080191&nodeId=NODE04080198&currentLocale=ko 제 3화 흥왕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24일.</ref> 사찰이 너무 장엄하고 사치스러워서 많은 신하들이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종은 공사를 그대로 진행했다고 한다. 실제로 기록에 의하면 흥왕사는 개별 사찰만 2800여칸에 이르렀고 사찰에 딸린 원(院)은 수없이 많았다고 전해진다.<ref>"[http://luckcrow.egloos.com/2091044 한국의 사라진 대사찰(4) - 고려 흥왕사 & 안화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까마구둥지』<sup>online</sup></online></html>, 이글루스 블로그. 최종수정일: 2011년 4월 16일</ref> 흥왕사가 완공되고 그 다음해인 1068년(문종 22)에는 이를 기념하는 경성회를 개최하고 왕이 직접 행차를 했다고 한다.<ref>"[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978&tabNodeId=NODE04080191&nodeId=NODE04080198&currentLocale=ko 제 3화 흥왕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25일.</ref> 1070년(문종 24) 6월에는 흥왕사에 성을 쌓았는데, 사찰에 성까지 쌓은 것은 고려시대에 지은 절 중에 유일하다고 한다.<ref>"[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978&tabNodeId=NODE04080191&nodeId=NODE04080198&currentLocale=ko 제 3화 흥왕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25일.</ref>   
+
 
 +
===역사===
 +
고려시대의 대표적 사찰이며, [[고려 문종]]의 원찰(願刹)로 창건되었다. 1056년(문종 10)에 착공하여 12년 만인 1067년(문종 21)에 준공한 대공사로서 고려 일대를 통해서 가장 큰 규모였다.<ref>이를 통해 당시 고려의 문물 발달이나 국가의 부력이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실제로 이제현의 《익재난고》에서는 나라의 부유함과 높은 문화수준을 묘사하며 이 시기를 태평성대라 적고 있기도 하다. 진홍섭,『묵재한화』, 대원사, 2011. 12, 온라인 참조: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978&tabNodeId=NODE04080191&nodeId=NODE04080198&currentLocale=ko 제 3화 흥왕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24일.</ref> 사찰이 너무 장엄하고 사치스러워서 많은 신하들이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종은 공사를 그대로 진행했다고 한다. 실제로 기록에 의하면 흥왕사는 개별 사찰만 2800여칸에 이르렀고 사찰에 딸린 원(院)은 수없이 많았다고 전해진다.<ref>"[http://luckcrow.egloos.com/2091044 한국의 사라진 대사찰(4) - 고려 흥왕사 & 안화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까마구둥지』<sup>online</sup></online></html>, 이글루스 블로그. 최종수정일: 2011년 4월 16일</ref> 흥왕사가 완공되고 9일동안은 연등회를 열었으며<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036 흥왕사]", 정병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수정일: 2013년 3월 25일</ref>
 +
, 그 다음해인 1068년(문종 22)에는 이를 기념하는 경성회를 개최하고 왕이 직접 행차를 했다고 한다.<ref>"[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978&tabNodeId=NODE04080191&nodeId=NODE04080198&currentLocale=ko 제 3화 흥왕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25일.</ref> 1070년(문종 24) 6월에는 흥왕사에 성을 쌓았는데, 사찰에 성까지 쌓은 것은 고려시대에 지은 절 중에 유일하다고 한다.<ref>"[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4978&tabNodeId=NODE04080191&nodeId=NODE04080198&currentLocale=ko 제 3화 흥왕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KRPia 한국의 지식콘텐츠』<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25일.</ref> 1078년에는 금탑을 조성하였고 아울러 이 금탑을 보호하기 위하여 석탑을 조성하였는데, 숙종 때 송나라 조정에서 보내온 [[대장경]]을 이 탑 속에 봉안하였다고 한다. 문종이 죽은 뒤에는 문종의 진영(眞影)을 모셨으며, 그 뒤 고려의 여러 왕들이 자주 행차하였다. 이 절은 몽고의 병란으로 완전히 소실되었다가 그 뒤 여러 차례 중창하였으나 완벽하지 못하였고, 1330년(충숙왕 17)에 [[정조|정조(晶照)]]·[[달환|달환(達幻)]] 등의 [[화엄종]] 고승들이 9년 동안 공사하여 이전의 면모를 되찾을 수 있었다. 또한, [[공민왕]] 때는 이 절에서 왕을 시해하려는 음모가 벌어지기도 하였다.<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6036 흥왕사]", 정병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수정일: 2013년 3월 25일</ref>
 +
 
 +
    
 +
 
 +
===특징===
 +
====흥왕사의 금탑====
 +
1078년에 조성된 금탑은 금 144근, 은 427근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
 
 +
금탑조성
 +
속장경 간행
 +
흥왕사의 변
  
  

2017년 4월 26일 (수) 09:59 판


개성 흥왕사
(開城 興王寺)
대표명칭 개성 흥왕사
한자 開城 興王寺
주소 경기도 개풍군
건립시기 1067년
창건자 고려 문종



정의

경기도 개풍군 덕적산(德積山)에 있었던 절.[1]


내용

역사

고려시대의 대표적 사찰이며, 고려 문종의 원찰(願刹)로 창건되었다. 1056년(문종 10)에 착공하여 12년 만인 1067년(문종 21)에 준공한 대공사로서 고려 일대를 통해서 가장 큰 규모였다.[2] 사찰이 너무 장엄하고 사치스러워서 많은 신하들이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문종은 공사를 그대로 진행했다고 한다. 실제로 기록에 의하면 흥왕사는 개별 사찰만 2800여칸에 이르렀고 사찰에 딸린 원(院)은 수없이 많았다고 전해진다.[3] 흥왕사가 완공되고 9일동안은 연등회를 열었으며[4] , 그 다음해인 1068년(문종 22)에는 이를 기념하는 경성회를 개최하고 왕이 직접 행차를 했다고 한다.[5] 1070년(문종 24) 6월에는 흥왕사에 성을 쌓았는데, 사찰에 성까지 쌓은 것은 고려시대에 지은 절 중에 유일하다고 한다.[6] 1078년에는 금탑을 조성하였고 아울러 이 금탑을 보호하기 위하여 석탑을 조성하였는데, 숙종 때 송나라 조정에서 보내온 대장경을 이 탑 속에 봉안하였다고 한다. 문종이 죽은 뒤에는 문종의 진영(眞影)을 모셨으며, 그 뒤 고려의 여러 왕들이 자주 행차하였다. 이 절은 몽고의 병란으로 완전히 소실되었다가 그 뒤 여러 차례 중창하였으나 완벽하지 못하였고, 1330년(충숙왕 17)에 정조(晶照)·달환(達幻) 등의 화엄종 고승들이 9년 동안 공사하여 이전의 면모를 되찾을 수 있었다. 또한, 공민왕 때는 이 절에서 왕을 시해하려는 음모가 벌어지기도 하였다.[7]


특징

흥왕사의 금탑

1078년에 조성된 금탑은 금 144근, 은 427근으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금탑조성 속장경 간행 흥왕사의 변


《고려사》에는 1055년에 문종이 절을 창건할 뜻을 밝히는 제고문이 나와있다.

창건 이후 고려 문종은 자신의 아들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을 이 절의 1대 주지로 삼았다.

갤러리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067년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칠곡 선봉사 A는 B에 있다

참고문헌

주석

  1. "흥왕사", 정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수정일: 2013년 3월 25일
  2. 이를 통해 당시 고려의 문물 발달이나 국가의 부력이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실제로 이제현의 《익재난고》에서는 나라의 부유함과 높은 문화수준을 묘사하며 이 시기를 태평성대라 적고 있기도 하다. 진홍섭,『묵재한화』, 대원사, 2011. 12, 온라인 참조: "제 3화 흥왕사", 『KRPia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24일.
  3. "한국의 사라진 대사찰(4) - 고려 흥왕사 & 안화사", 『까마구둥지』online, 이글루스 블로그. 최종수정일: 2011년 4월 16일
  4. "흥왕사", 정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수정일: 2013년 3월 25일
  5. "제 3화 흥왕사", 『KRPia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25일.
  6. "제 3화 흥왕사", 『KRPia 한국의 지식콘텐츠』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25일.
  7. "흥왕사", 정병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수정일: 2013년 3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