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김씨 학봉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30번째 줄: 30번째 줄:
  
 
==내용==
 
==내용==
학봉종택은 400년이 넘는 종택의 역사에 걸맞게 학계에서 비교적 활발하게 연구되어 오고 있다. 금계마을의 의성김씨 입향조(入鄕祖)<ref>입향조(入鄕祖): 어떤 마을에 맨 먼저 정착한 사람이나 조상. 김택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830 입향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7709&cid=46636&categoryId=46636 입향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ref>인 학봉을 비롯하여 [[김흥락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 1827-1899)]]과 같은 출중한 인물들이 배출되었고, 이들이 저술한 각종 사료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제사나 민속 같은 전통생활양식까지 잘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ref>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ref>
+
학봉종택은 400년이 넘는 종택의 역사에 걸맞게 학계에서 비교적 활발하게 연구되어 오고 있다. 금계마을의 [[의성김씨]] 입향조(入鄕祖)<ref>입향조(入鄕祖): 어떤 마을에 맨 먼저 정착한 사람이나 조상. 김택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7830 입향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7709&cid=46636&categoryId=46636 입향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ref>인 학봉을 비롯하여 [[김흥락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 1827-1899)]]과 같은 출중한 인물들이 배출되었고, 이들이 저술한 각종 사료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제사나 민속 같은 전통생활양식까지 잘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계마을은 『[[영가지 |영가지(永嘉誌)]]』에서 옛적부터 '천년이 지나도록 패하지 않는 땅'이라고 할 만큼 길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금계마을에 입향한 문중은 [[흥해배씨]], [[경주이씨]], [[안동권씨]], [[원주변씨]], [[안동장씨]], [[의성김씨]] 등으로 주로 고려 말부터 조선 중기에 입향하였다.  <ref>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ref>
  
 
==시각자료==
 
==시각자료==

2017년 4월 23일 (일) 17:39 판

의성김씨 학봉종택()
[[file:|270px|thumb|center|]]
대표명칭 의성김씨 학봉종택
영문명칭 Hakbong Head Residence of Gim Clan of Uiseong
유형 주택(한옥)


정의

퇴계 이황의 제자로서 조선 중기의 문신이었던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이 거주하던 가옥으로, 그를 중시조로 하는 의성김씨 문충공파의 종손이 현재 거주하고 있다.

내용

학봉종택은 400년이 넘는 종택의 역사에 걸맞게 학계에서 비교적 활발하게 연구되어 오고 있다. 금계마을의 의성김씨 입향조(入鄕祖)[1]인 학봉을 비롯하여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 1827-1899)과 같은 출중한 인물들이 배출되었고, 이들이 저술한 각종 사료가 풍부할 뿐만 아니라 제사나 민속 같은 전통생활양식까지 잘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계마을은 『영가지(永嘉誌)』에서 옛적부터 '천년이 지나도록 패하지 않는 땅'이라고 할 만큼 길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금계마을에 입향한 문중은 흥해배씨, 경주이씨, 안동권씨, 원주변씨, 안동장씨, 의성김씨 등으로 주로 고려 말부터 조선 중기에 입향하였다. [2]

시각자료

영상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의성김씨 학봉 종택(게시일: 2012.10.10.)

  • YTN 뉴스 : 전통예법으로 뿌리 지키는 종갓집(게시일: 2015.02.19.)

사진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성김씨 학봉종택 안경 A는 B에 포함된다
김성일 의성김씨 학봉종택 A는 B를 사용하였다
의성김씨 학봉종택 의성 김씨 학봉종택 A는 B에 보관되어 있다
이시원 송서상서경조이상사부연 A는 B를 저술하였다
안경 송서상서경조이상사부연 A는 B에 언급된다
채지홍 봉암집 안경명 A는 B를 저술하였다
안경 봉암집 안경명 A는 B에 언급된다
조병구 안경 A는 B를 사용하였다
정조 안경 A는 B를 사용하였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6세기 후반 김성일의성김씨 학봉종택을 사용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6.609771 128.669643 의성김씨 학봉종택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에 있다.

참고문헌

주석

  1. 입향조(入鄕祖): 어떤 마을에 맨 먼저 정착한 사람이나 조상. 김택규, "입향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온라인 참조: "입향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2. 유기원, 김기주, 「학봉종택 소장 家圖의 분석을 통한 18세기 종택의 이건계획 및 건축적 특성」, 『건축역사연구』 제18권 3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