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동 별서정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6번째 줄: 16번째 줄:
 
|소재지=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안운길 100-63
 
|소재지=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안운길 100-63
 
|위도= 34.7419353
 
|위도= 34.7419353
|경도= 126.6975985
+
|경도= 126.6975985
|필드수= 4
+
|필드수= 6
 
}}
 
}}
 
==정의==
 
==정의==

2017년 4월 23일 (일) 17:31 판

백운동 별서정원()
[[file:|270px|thumb|center|]]
대표명칭 백운동 별서정원
유형 정원


정의

백운동 별서정원은 이 백운첩을 바탕으로 복원된 것이다.

백운첩이 여기서 제작됨 1812년


그가 저술한 『백운세수첩(白雲世守帖)』에는 역대 명류들이 백운동 8영을 읊은 연작시가 다수 실려 있 이들 시는 초기 백운동의 모습을 재구성하는데 큰 밑바탕이 됨),

시간일람 등의 자료를 정리해서 펴냈음. 다산이 백운동에 보낸 편지 세 통은 시간일람에 실려있음.

이시헌의 문집 <자이집>에는 백운동의 14경을 노래한 시를 비롯해 이곳에서의 일상이 오롯하게 기록됨



설록차로 유명한 아모레퍼시픽에서 가꾸고 있는 4개의 차 재배지 중에서 가장 먼저 만들어진 곳으로 면적이 33㏊에 달하는데 단일 다원으로는 제주 서광다원 다음가는 규모이다.[1]

설명

정약용월출산에서 나는 차가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좋은 차라고 할 만큼 이곳은 차 재배지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는 곳이다. 월출산 제법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낮과 밤의 기온차가 크며 안개가 많이 생겨 이곳에서 생산된 차는 떫은 맛이 덜하다고 한다.[2]
백운동 별서정원의 5대 주인인 이시헌다산 문하 막내 제자로, 다산 해배 후 다산의 부탁으로 백운동 운당원 대숲에서 자생하는 찻잎을 채취해 삼증삼쇄 떡차를 만들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이 백운동 별서정원 인근에 형성된 설록다원강진으로까지 이어진 것이다. 이전의 차 재배와 차 생산의 전통이 현대의 아포레퍼시픽이라는 기업과 만나 발전적 형태로 자리잡은 것이다.

시각자료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설록다원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A는 B와 관련이 있다
설록다원강진 이시헌 A는 B와 관련이 있다
설록다원강진 정약용 A는 B와 관련이 있다
설록다원강진 아모레퍼시픽 A는 B와 관련이 있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4.7419353 126.6975985 백운동 별서정원은 백운동 별서정원과 관련이 있다
34.7406953 126.7047464 설록다원강진은 백운동 별서정원과 관련이 있다

참고문헌

  • 정민, 『강진 백운동 별서정원』, 글항아리, 2015.

주석

  1. 최정규 외 3인,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설록차 강진다원",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
  2. 최정규 외 3인,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마로니에북스, 2010. 온라인 참조: "설록차 강진다원", 용어해설,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최종확인: 2017년 04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