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황태자비의 대례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복식 → 복식)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복식정보
+
{{복장정보
 
|이미지= 궁중기록화 복장 적의 02.jpg
 
|이미지= 궁중기록화 복장 적의 02.jpg
|대표명칭= [[적의]]
+
|복식명칭= 적의
|착용시대= 삼국시대, 고려, 조선, 대한제국
+
|복식구분= 예복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여성
 
|착용성별= 여성
|착용연령= 성인, 아동
+
|착용신분= [[황후]]
|복식구분= 여성 예복
+
|필드수= 5
|필드수= 8
 
 
}}
 
}}
  
  
 
==정의==
 
==정의==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 착용하는 예복이다.<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ref>
+
*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 착용하는 예복.<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f>
 +
* 꿩무늬[적문(翟紋)]가 직조된 직물로 만든 옷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 <ref>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f>
 +
*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꿩무늬 줄수에 차등을 두었으며 [[황태자비]]는 [[왕비]]와 같은 9등(等).
  
 
==복식구성==
 
==복식구성==
[[대수]], [[적의]], [[전행웃치마]], [[중단]], [[대대]], [[옥대]], [[폐슬]], [[패옥]], [[후수]], [[하피]], [[]], [[]], [[규]]
+
[[대수]], [[적의 | 적의(翟衣)]], [[전행웃치마]], [[중단(왕실여성)|중단(中單)]], [[대대(왕실여성) |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왕실여성) | 폐슬(蔽膝)]], [[패옥(왕실여성) | 패옥(佩玉)]], [[후수(왕실여성) | 후수(後綬)]], [[하피 | 하피(霞帔)]], [[청석(靑舃)]], [[청말(靑襪)]], [[규(圭)]]
  
 
==관련항목==
 
==관련항목==
===문헌/회화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항목B!!관계
 
|-
 
|-
| [[대한예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
+
|[[황제]] || '''{{PAGENAME}}''' ||A는 B를 착용한다.
 
|-
 
|-
|}
+
| [[대한예전]] || '''{{PAGENAME}}''' || A는 B를 기록한다.
 
 
===복식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적의]] || A는 B이다 ||
 
 
|-
 
|-
|}
+
| [[면관]]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인물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황후]]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왕비]]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황태자비]]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상(裳)(왕실남성) | 상]]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왕세자빈]]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중단]]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왕세손빈]] || '''{{PAGENAME}}''' || A는 B를 착용한다 ||
+
| [[폐슬]]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
| [[후수]]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복식 → 복장===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
 
|-
| [[대수]]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패옥]]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적의]]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대|대대]]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전행웃치마]]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중단]]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폐슬]]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후수]]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방심곡령]]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패옥]]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대|대대]]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말]]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석]]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규]]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복식 → 기관===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PAGENAME}}'''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
 
 
 
===기관/소장처 → 복식===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국립고궁박물관]] || '''{{PAGENAME}}''' || A는 B를 소장한다 ||
 
 
|-
 
|-
 +
| '''{{PAGENAME}}''' || [[상의원]] || A는 B에서 제작한다.
 
|}
 
|}
 
  
 
==참고문헌==
 
==참고문헌==

2017년 4월 22일 (토) 00:51 판



()
[[file:|360px|thumb|center|]]
착용신분 황후
착용성별 여성



정의

  • 국가의 큰 제례를 올리거나 혼례를 올릴 때 또는 책봉을 받을 때 착용하는 예복.[1]
  • 꿩무늬[적문(翟紋)]가 직조된 직물로 만든 옷이라 하여 붙여진 명칭. [2]
  • 착용자의 신분에 따라 꿩무늬 줄수에 차등을 두었으며 황태자비왕비와 같은 9등(等).

복식구성

대수, 적의(翟衣), 전행웃치마, 중단(中單), 대대(大帶), 옥대(玉帶), 폐슬(蔽膝), 패옥(佩玉), 후수(後綬), 하피(霞帔), 청석(靑舃), 청말(靑襪), 규(圭)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황제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한다.
대한예전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를 기록한다.
면관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중단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폐슬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후수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패옥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대대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방심곡령 황태자비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이다.
황태자비의 대례복 상의원 A는 B에서 제작한다.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
  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0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