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동-감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번째 줄: 20번째 줄: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
 +
파일: 이마동-감귤-1973s.jpg | 이마동 「감귤」 1973|800px|center
 +
poly 536 189 526 199 521 209 519 214 526 219 523 224 514 246 506 271 506 282 511 286 511 284 491 304 496 324 506 344 516 366 496 379 496 386 516 389 526 384 526 351 526 344 536 344 533 322 541 314 544 304 566 299 564 279 576 274 581 259 581 241 566 224 554 216 566 204 551 197 549 186 541 184 536 182 [[유인우]]
 +
poly 376 138 381 121 363 111 336 98 261 103 183 73 181 98 188 131 216 148 248 158 281 178 326 173 351 183 384 173 464 175 546 170 556 143 543 118 546 113 563 143 581 148 601 148 611 163 668 190 721 195 791 218 781 208 791 -2 606 1 626 18 626 41 576 58 578 85 561 83 559 110 349 158 298 150 281 150 253 131 236 103 266 113 298 113 328 118 349 133 364 138 364 138 [[쌍성총관부]]
 +
</imagemap>
 +
 +
 +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gallery mode=packed caption="새마을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gallery mode=packed caption="새마을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left" >
34번째 줄: 44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관련항목===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이마동]]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3년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장두건]]
+
|{{PAGENAME}} ||[[유인우]]||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
|{{PAGENAME}}  ||[[쌍성총관부 수복]]||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1356년 @
 +
|-
 +
|{{PAGENAME}}  ||[[쌍성총관부]]||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 [[군산문화원]]
+
| [[전쟁기념관]]  ||{{PAGENAME}}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
 
|-
 
|-
|{{PAGENAME}} || ~를 배경으로 한다 || [[묵현리]]
+
|[[제11기계화보병사단]] || {{PAGENAME}} || A가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 [[천마산]]
+
|[[쌍성총관부]] || [[동녕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PAGENAME}} || ~을 소재로 삼다 || [[새마을운동]]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3년 || [[이마동]]이 {{PAGENAME}}를 그렸다
 +
|-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제11기계화보병사단]]이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PAGENAME}}을 소장하고 있다 @
 +
|-
 +
|1356년 || [[유인우]]가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
 
|-
 
|-
|{{PAGENAME}}||제작연도|| 1973년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소장처||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37.392958 || 127.158241
+
| 37.392958 || 127.158241||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PAGENAME}}을 소장하고 있다
 
|}
 
|}
  

2017년 4월 20일 (목) 10:09 판

50px


감귤
이마동-감귤-1973s.jpg
작가 이마동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새마을
분류 유화
소장처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개요

제주도는 감귤의 장려시책을 마련하고 1972년 서귀포 집단재배지에 400헥타의 기반에 100만본을 식재하여 감귤단지를 조성했다.[1]

설명

작품 소재

작품 배경

시각적 안내

유인우쌍성총관부이마동 「감귤」 1973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마동 이마동-감귤 A는 B를 그렸다 1973년
이마동-감귤 유인우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이마동-감귤 쌍성총관부 수복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1356년 @
이마동-감귤 쌍성총관부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전쟁기념관 이마동-감귤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제11기계화보병사단 이마동-감귤 A가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쌍성총관부 동녕부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3년 이마동이 이마동-감귤를 그렸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제11기계화보병사단이 이마동-감귤를 대여하였다 @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이 이마동-감귤을 소장하고 있다 @
1356년 유인우쌍성총관부를 공격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2958 127.158241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이마동-감귤을 소장하고 있다

그래프

참고문헌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주석

  1. 한국문화예술진흥원, 『민족기록화 경제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3년, 2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