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강대운-진주성싸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설명'''==
 
=='''설명'''==
[[임진왜란]]중인 1592년 10월 1차 [[진주성싸움]]에서 진주목사 [[김시민]]장군이 3,800명의 관군과 2만여명의 백성들을 지휘하여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하여 곡창지대인 호남 진출을 막아낸 장면을 담았다.
+
[[임진왜란]]중인 1592년 10월 1차 [[진주성싸움]]에서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의 지휘하에 3,800명의 관군과 2만여명의 백성들이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하여 곡창지대인 호남 진출을 막아낸 장면을 담았다.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김시민]] 장군,
+
작품의 소재인 [[진주성싸움]]
 +
 
  
 
왜군하단의 중앙에는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귀신 모양을 한 왜장이 한손에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다.
 
왜군하단의 중앙에는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귀신 모양을 한 왜장이 한손에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다.
29번째 줄: 30번째 줄: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파일:민족_샘플2.JPG|800px|center]]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 |정창섭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976|800px|center
 +
poly 306 195 293 214 293 225 297 226 297 241 298 256 307 266 317 282 331 290 329 266 313 238 321 230 310 213 315 198 315 198 [[영규]]
 +
poly 448 138 437 148 441 154 433 186 449 196 445 216 423 222 445 245 455 230 469 242 477 252 487 238 473 210 461 202 487 209 489 197 481 186 473 181 481 172 483 150 469 162 461 174 453 174 451 156 457 150 455 146 [[조헌]]  
 +
</imagemap>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 민족기록화'''==
47번째 줄: 53번째 줄:
  
 
=='''관련항목'''==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PAGENAME}} ||~에 의해 그려지다|| [[강대운]]
+
| [[강대운]]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
|{{PAGENAME}} ||~을 소재로 삼다 || [[진주성싸움]]
+
|{{PAGENAME}} ||[[진주성싸움]]||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PAGENAME}} ||~을 소재로 삼다 || [[김시민]]
+
|{{PAGENAME}} ||[[진주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PAGENAME}} ||~을 배경으로 한다 || [[진주성]]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PAGENAME}}||제작연도|| 1975년
+
|1975년 || [[강대운]]이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육군 제1군 사령부]]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1592년 8월 || [[조헌]]이 [[금산전투]]에 참가하였다  @
 +
|-
 +
|1592년 8월 || [[영규대사]]가 [[금산전투]]에 참가하였다  @ 
 
|-
 
|-
|{{PAGENAME}}||[[1군사령부]] 대여기간 || 1991.11.30 ~ 1992.11.29
 
 
|}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3876635|| 127.9310766 || {{PAGENAME}}이 [[육군 제1군 사령부]]에 대여되었다.
 
|-
 
|-
|{{PAGENAME}} ||소장처|| [[육군 제1군 사령부]] ||37.3876635|| 127.9310766
 
 
|}
 
|}
  

2017년 4월 16일 (일) 16:25 판


진주성싸움
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
작가 강대운
제작연도 1975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설명

임진왜란중인 1592년 10월 1차 진주성싸움에서 진주목사 김시민 장군의 지휘하에 3,800명의 관군과 2만여명의 백성들이 진주성을 공격하던 왜군을 격파하여 곡창지대인 호남 진출을 막아낸 장면을 담았다.

설명

작품 소재

작품의 소재인 진주성싸움


왜군하단의 중앙에는 일본의 전통 투구인 가부토를 쓴 귀신 모양을 한 왜장이 한손에 흰 빛의 일본도를 치켜 들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 상단 왼쪽 끝에는 푸른 색으로 칠해진 남강이 보이고, 왜군의 주요 공격 지점이었던 동문과 북문을 두축으로 성을 공격하는 적군에 대항하여 각종 무기로 반격하는 조선군의 모습을 볼 수 있다. 1차 진주성싸움에서 왜군은 대나무로 만든 사다리와 나무 방패를 이용하여 성을 공격하였는데, 이 작품의 여러 곳에서 대나무 엮은 것을 방패로 삼아 성을 향해 조총을 발사하는 왜군과 사다리를 타고 성안으로 진입하려는 적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또한 김시민 장군은 백성들에게 군복을 입히고 군기(軍旗)를 여럿 세워 병력을 많아 보이게 하는 심리전을 걸었는데, 그림에서도 성안에 노랑,파랑,적색의 수 많은 용대기들이 나부끼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작품 구도

다른 작품들과 달리 전경과 중경을 격퇴당하는 적군의 모습으로 가득 채우고 이를 검은 색의 거친 윤곽선과 전체적인 붉은 톤으로 묘사함으로써 보는 이의 긴장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널려있는 적군의 시체, 총포의 폭음과 인마(人馬)의 절규로 가득한 아비규환의 상황은 잔혹한 죽음에 대한 보편적인 반감(反感)이나 비애가 아닌 적의 파멸을 통한 아군의 승리를 역으로 강하게 전달한다.[1] 일반적인 민족기록화는 주요 장수나 아군을 중앙에 배치하여 중심으로 삼고 아군의 시점에서 적군의 공격을 막아내거나 추격하는 구도로 그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의 경우 원근감을 이용하여 화폭을 상하로 이등분하여 작품 하단에 적군을 배치하였다.

시각적 안내

영규조헌정창섭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시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강대운 강대운-진주성싸움 A는 B를 그렸다 1975년
강대운-진주성싸움 진주성싸움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강대운-진주성싸움 진주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강대운이 강대운-진주성싸움를 제작하였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육군 제1군 사령부가 강대운-진주성싸움를 대여하였다.
1592년 8월 조헌금산전투에 참가하였다 @
1592년 8월 영규대사금산전투에 참가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876635 127.9310766 강대운-진주성싸움이 육군 제1군 사령부에 대여되었다.

그래프

참고문헌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92-93쪽.
  • 대한민국국회의원동우회, 『민족기록화 전승편』,1981년, 104-108쪽.

주석

  1.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2-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