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12번째 줄: 12번째 줄:
 
}}
 
}}
 
=='''개요'''==
 
=='''개요'''==
[[유정|유정(惟政)]]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으로, 해당 작품은 [[선조|선조(宣祖)]] 25년(1592) 여름,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금강산]] [[유점사|유점사(楡岾寺)]]까지 침입한 왜장 [[가토 기요마사|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를 [[유정]]이 설법으로 감화시켜 물러나게 하는 장면을 담고있다.<br/>
+
[[유정|유정(惟政)]]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으로, 해당 작품은 [[선조|선조(宣祖)]] 25년(1592) 여름,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금강산]] [[유점사|유점사(楡岾寺)]]까지 침입한 왜장을 [[유정]]이 설법으로 감화시켜 물러나게 하는 장면을 담고있다.<br/>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유점사]]에서 [[유정]]은 왜장인 [[가토 기요마사]]와 필담을 나누었는데, [[가토 기요마사]]가
+
[[유점사]]에서 [[유정]]은 왜장과 필담을 나누었는데, 왜장이
 
  이 절에 있는 금·은 등 여러가지 보물을 모두 내놓아라. 만약 응하지 않으면 죽이겠다.
 
  이 절에 있는 금·은 등 여러가지 보물을 모두 내놓아라. 만약 응하지 않으면 죽이겠다.
 
고 위협하니 [[유정]]은
 
고 위협하니 [[유정]]은
34번째 줄: 34번째 줄:
 
poly 0 0 1 86 16 82 23 89 39 92 53 93 61 83 75 85 74 77 83 74 84 76 90 83 103 86 115 83 123 83 134 79 156 82 167 97 187 96 195 85 213 89 227 89 235 65 235 45 235 33 248 22 245 8 248 6 255 0 256 7 257 12 263 12 265 14 257 18 267 26 268 29 274 34 274 46 276 52 267 60 267 69 283 63 289 65 300 69 307 80 309 90 310 94 307 101 307 107 330 103 351 107 377 97 385 83 401 88 416 101 438 97 449 101 457 93 479 96 485 105 503 102 514 97 536 98 543 82 540 63 536 51 527 50 519 43 514 51 502 49 513 42 507 38 503 28 496 23 500 -1 500 -1 [[금강산]]
 
poly 0 0 1 86 16 82 23 89 39 92 53 93 61 83 75 85 74 77 83 74 84 76 90 83 103 86 115 83 123 83 134 79 156 82 167 97 187 96 195 85 213 89 227 89 235 65 235 45 235 33 248 22 245 8 248 6 255 0 256 7 257 12 263 12 265 14 257 18 267 26 268 29 274 34 274 46 276 52 267 60 267 69 283 63 289 65 300 69 307 80 309 90 310 94 307 101 307 107 330 103 351 107 377 97 385 83 401 88 416 101 438 97 449 101 457 93 479 96 485 105 503 102 514 97 536 98 543 82 540 63 536 51 527 50 519 43 514 51 502 49 513 42 507 38 503 28 496 23 500 -1 500 -1 [[금강산]]
 
poly 250 1 245 10 249 15 242 12 250 20 235 34 235 38 235 43 238 48 234 54 239 60 235 73 231 80 232 97 242 107 249 108 249 130 242 132 234 138 227 147 216 155 213 165 210 175 205 187 204 197 200 205 196 216 196 225 194 238 191 251 189 267 189 277 187 285 188 297 183 307 187 321 194 331 217 349 221 345 219 358 221 369 219 381 231 389 234 396 238 401 239 405 250 414 252 421 256 436 262 449 274 450 285 444 301 445 312 450 325 444 330 443 343 445 354 438 354 385 352 369 351 344 352 329 355 306 351 273 354 254 359 226 362 203 361 203 360 197 356 192 358 186 354 181 341 167 326 147 316 142 307 131 309 122 305 112 307 102 308 95 308 90 305 78 301 72 295 67 286 63 274 65 266 70 267 62 272 51 270 43 271 34 265 28 265 25 255 17 262 12 260 12 256 12 256 7 252 1 [[유정]]  
 
poly 250 1 245 10 249 15 242 12 250 20 235 34 235 38 235 43 238 48 234 54 239 60 235 73 231 80 232 97 242 107 249 108 249 130 242 132 234 138 227 147 216 155 213 165 210 175 205 187 204 197 200 205 196 216 196 225 194 238 191 251 189 267 189 277 187 285 188 297 183 307 187 321 194 331 217 349 221 345 219 358 221 369 219 381 231 389 234 396 238 401 239 405 250 414 252 421 256 436 262 449 274 450 285 444 301 445 312 450 325 444 330 443 343 445 354 438 354 385 352 369 351 344 352 329 355 306 351 273 354 254 359 226 362 203 361 203 360 197 356 192 358 186 354 181 341 167 326 147 316 142 307 131 309 122 305 112 307 102 308 95 308 90 305 78 301 72 295 67 286 63 274 65 266 70 267 62 272 51 270 43 271 34 265 28 265 25 255 17 262 12 260 12 256 12 256 7 252 1 [[유정]]  
poly 473 267 465 285 452 292 442 302 441 285 433 333 426 347 411 341 398 327 384 337 386 365 401 383 417 392 436 409 458 406 455 438 440 427 434 431 451 451 441 446 434 450 455 466 438 478 427 501 425 514 465 510 483 498 473 519 473 513 581 520 583 500 688 492 605 437 610 414 601 393 601 382 594 377 571 347 575 334 522 312 511 313 506 319 499 312 502 305 495 295 506 290 483 276 480 272 477 272 477 272 [[가토 기요마사]]
 
 
poly 33 108 27 127 30 143 27 152 5 159 -2 169 10 174 11 188 0 201 5 216 2 224 2 248 3 305 43 319 81 298 86 250 100 229 74 219 74 207 88 200 63 185 63 172 78 153 67 150 62 154 45 143 35 131 41 125 46 116 38 109 38 109 [[유점사 구층석탑]]
 
poly 33 108 27 127 30 143 27 152 5 159 -2 169 10 174 11 188 0 201 5 216 2 224 2 248 3 305 43 319 81 298 86 250 100 229 74 219 74 207 88 200 63 185 63 172 78 153 67 150 62 154 45 143 35 131 41 125 46 116 38 109 38 109 [[유점사 구층석탑]]
 
</imagemap>
 
</imagemap>
66번째 줄: 65번째 줄:
 
|-
 
|-
 
|{{PAGENAME}} ||[[유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PAGENAME}} ||[[유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PAGENAME}} ||[[가토 기요마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PAGENAME}} ||[[유점사]]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PAGENAME}} ||[[유점사]]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2017년 4월 16일 (일) 13:58 판


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
작가 박서보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개요

유정(惟政)은 조선 중기의 고승, 승장(僧將)으로, 해당 작품은 선조(宣祖) 25년(1592) 여름,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금강산 유점사(楡岾寺)까지 침입한 왜장을 유정이 설법으로 감화시켜 물러나게 하는 장면을 담고있다.

설명

작품 소재

유점사에서 유정은 왜장과 필담을 나누었는데, 왜장이

이 절에 있는 금·은 등 여러가지 보물을 모두 내놓아라. 만약 응하지 않으면 죽이겠다.

고 위협하니 유정

우리나라에서는 본래 금·은 등을 보배로 쓰지 않고 다만 쌀과 베를 쓰기 때문에 금·은 따위는 귀중히 여기지도 않는다...죽인다고 해도 내어놓을 것이 없으니, 저 묶여있는 중들을 모두 풀어 놓아라

하며 불교의 설법으로 가토 기요마사를 탄복케 하였고, 왜장 두 명이 그에게 계를 받아, 유점사(楡岾寺) 인근 아홉 고을 사람들이 참회를 면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해당 작품은 이와 같은 장면을 묘사하고 있는데, 작품 중앙에 그려진 고승이 유정이고, 그의 앞에 무릎을 꿇고 투구를 벗고 있는 왜장이 가토 기요마사이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금강산 4대 사찰 중 하나인 유점사로, 작품의 뒷배경에 금강산의 산세가 묘사되어 있다.
작품 왼편에 그려진 석탑은 유점사 구층석탑으로, 해당 작품에는 삼층석탑으로 잘못 묘사되어 있다.

시각적 안내

금강산유정유점사 구층석탑박서보 「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A항목 B항목 관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박서보 A는 B에 의해 그려졌다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유정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유점사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유점사 금강산 A는 B에 위치한다
유점사 구층석탑 유점사 A는 B에 위치한다
유정 휴정 A는 B의 제자이다
유정 남한산성
유정 이향견문록 A는 B에 언급된다
유정 정여립 모반사건 A는 B와 관련이 있다
유정 평양성 전투 A는 B에 참가하였다
정여립 모반사건 기축옥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정여립 정여립 모반사건 A는 B와 관련이 있다
정여립 기축옥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가토 기요마사 진주성 싸움 A는 B에 참가하였다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관련 기사

시간정보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제작연도 1976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남부연수원 대여기간 1991.11.20 ~ 1992.11.19

공간정보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소장처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남부연수원 35.4249581 126.8236472

그래프

참고문헌

  • 편집부,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년.
  • "유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04478&cid=51267&categoryId=51267

주석

  1. "민족기록화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2.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3. "민족기록화2",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
  4.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