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작업노트

"홍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승탑비문 Top icon}} {{승려정보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이관 |영문명칭=Igwan |한자=利觀 |생년=814(헌덕왕 6) |몰년=880(헌강왕 6) |시호=홍...)
 
17번째 줄: 17번째 줄:
 
|본관=
 
|본관=
 
|속명=
 
|속명=
|출신지=서울
+
|출신지=경주(慶州)
 
|승탑=
 
|승탑=
 
|승탑비=[[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
 
|승탑비=[[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
23번째 줄: 23번째 줄:
 
}}
 
}}
 
=='''정의'''==
 
=='''정의'''==
 +
신라시대의 승려.
  
 
=='''생애'''==
 
=='''생애'''==
  
===가계와 탄생===
 
  
====탄생설화====
 
  
 
====유년기====
 
====유년기====
 +
{{Blockquote|태화(太和) 정미년(827, 흥덕왕 2년)에 가량협산 보원사<ref>충남 서산군 운산면 용현리 성왕산에 있던 절로 신라말 고려초기에 활약했던 법인국사(法印國師) 탄문(坦文, 900~975)의 비가 있다. 이지관,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105쪽.</ref>에 이르러 구족계를 받을 때 한번은 계단장(戒壇場)에 들어가 7일동안 도를 닦는데, 문득 어떤 이상한 꿩이 갑자기 순하게 날아들었다. 어떤 옛일을 잘 아는 사람이 "옛날에는 진창(陳倉)에서 패왕(覇王)의 도(道)를 드러냈는데, 오늘은 절에 날아드니 장차 불법을 일으킬 큰스님이 나타날 징조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
|출처=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III,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ref>"[http://gsm.nricp.go.kr/_third/user/frame.jsp?View=search&No=4&ksmno=2820 선림원지홍각선사비(禪林院址弘覺禪師碑)]",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sup>online</sup></online></html>, 국립문화재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ref>}}
  
 
===출가수행===
 
===출가수행===
  
===입당유학===
 
  
===(귀국 및) 활동===
+
===활동===
  
 
===입적===
 
===입적===
47번째 줄: 47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 권기종, 「홍각선사비문을 통해 본 선림원」, 『강좌미술사』 Vol.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5-16쪽.
 +
* 권덕영, 「홍각선사탑비문을 통해 본 신라 억정사지의 추정」, 『사학연구』 55, 56, 한국사학회, 1998, 75-88쪽.
 +
* 권덕영, 「신라 홍각선사탑비 원형 탐구」, 『신라문화』 3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8, 299-325쪽.
  
 
=='''주석'''==
 
=='''주석'''==

2017년 4월 14일 (금) 13:53 판


이관(利觀)
BHST Monk1.png
대표명칭 이관
영문명칭 Igwan
한자 利觀
생몰년 814(헌덕왕 6)-880(헌강왕 6)
시호 홍각선사(弘覺禪師)
이관(利觀)
탑호 선감(禪鑑)
유자(有者)
성씨 김씨(金氏)
출신지 경주(慶州)
승탑비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생애

유년기

Quote-left.png 태화(太和) 정미년(827, 흥덕왕 2년)에 가량협산 보원사[1]에 이르러 구족계를 받을 때 한번은 계단장(戒壇場)에 들어가 7일동안 도를 닦는데, 문득 어떤 이상한 꿩이 갑자기 순하게 날아들었다. 어떤 옛일을 잘 아는 사람이 "옛날에는 진창(陳倉)에서 패왕(覇王)의 도(道)를 드러냈는데, 오늘은 절에 날아드니 장차 불법을 일으킬 큰스님이 나타날 징조일 것이다"라고 말했다. Quote-right.png
출처: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III,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2]


출가수행

활동

입적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참고문헌

  • 권기종, 「홍각선사비문을 통해 본 선림원」, 『강좌미술사』 Vol.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5-16쪽.
  • 권덕영, 「홍각선사탑비문을 통해 본 신라 억정사지의 추정」, 『사학연구』 55, 56, 한국사학회, 1998, 75-88쪽.
  • 권덕영, 「신라 홍각선사탑비 원형 탐구」, 『신라문화』 3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8, 299-325쪽.

주석

  1. 충남 서산군 운산면 용현리 성왕산에 있던 절로 신라말 고려초기에 활약했던 법인국사(法印國師) 탄문(坦文, 900~975)의 비가 있다. 이지관,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 창성탑비문", 『교감역주 역대고승비문』 신라편, 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4, 105쪽.
  2. "선림원지홍각선사비(禪林院址弘覺禪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