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주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30번째 줄: 30번째 줄: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PAGENAME}}''' || 인주(印朱) || A는 B을 담는다 ||
+
| '''{{PAGENAME}}''' || 인주(印朱) || A는 B를 담는다 ||
 
|-  
 
|-  
 
| '''{{PAGENAME}}''' || [[주록|주록(朱盝)]] || A는 B에 담긴다 ||
 
| '''{{PAGENAME}}''' || [[주록|주록(朱盝)]] || A는 B에 담긴다 ||
|-
 
| [[주록|주록(朱盝)]] || [[호갑|호갑(護匣)]] || A는 B에 담긴다 ||
 
 
|}
 
|}
  

2017년 4월 12일 (수) 21:34 판


틀:궁중의례물품정보

정의

  • 왕실 도장인 보(寶)·인(印)과 짝을 이루어 사용되는 인주(印朱)를 담아 보관하는 안쪽 상자.

사용상황

  • 책봉할 때와 존호(尊號)를 올릴 때 사용된 도장과 함께 인주를 담은 안쪽 상자 주통(朱筒)을 바깥 상자인 주록(朱盝)에 이중으로 담고 이를 다시 호갑(護匣)에 담아 보관하고 운반하였다.

기본정보

  • 주통(朱筒)은 인주를 담는 가장 안쪽의 상자, 주록(朱盝)은 주통을 담는 바깥쪽 상자, 호갑(護匣)은 주록을 담는 가장 바깥쪽의 큰 상자를 말한다.

관련항목

물품 → 물품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통 인주(印朱) A는 B를 담는다
주통 주록(朱盝) A는 B에 담긴다

물품 → 의궤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통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681년
주통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696년
주통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727년
주통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 A는 B에 그려져 있다 1759년

참고문헌

저서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사이트

  • 박봉주, '주통(朱筒)', 『외규장각 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 이민아, '주통(朱筒)',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주통(朱筒)',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석

  1.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2. 『경종단의왕후가례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嘉禮都監儀軌)』
  3. 『효장세자가례도감의궤하(孝章世子嘉禮都監儀軌下)』
  4.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하(英祖貞純王后嘉禮都監儀軌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