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번째 줄: 1번째 줄:
{{복식문헌정보
+
{{의궤정보
 
|이미지=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jpg
 
|이미지=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jpg
 
|대표명칭=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대표명칭=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78번째 줄: 78번째 줄: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문헌]]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의궤]]

2017년 4월 12일 (수) 16:24 판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
[[file:|360px|thumb|center|]]
대표명칭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肅宗仁顯王后嘉禮都監儀軌)
주제 가례((嘉禮)
작성주체 가례도감(嘉禮都監)
의례담당자 김수항(金壽恒)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681년(숙종 7년)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태백산)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1책 347장: 어람용/1책 339장: 태백산
도설 11면(채색), 반차도 18면(채색)



정의

  • 1681년(숙종 7)에 21세의 숙종(肅宗), 1661~1720, 재위 1674~1720)이 15세 신부 인현왕후(仁顯王后) 민씨(閔氏, 1667~1701)를 계비(繼妃)로 맞이하는 가례의 전 과정을 기록한 의궤.

기본 정보

  • 목록(目錄)
    • 좌목(座目)·전교(傳敎)·계사(啓辭)·이관(移關)·예조첩정(禮曹牒呈)·각사첩정(各司牒呈)·내관(來關)·품목(稟目)·감결(甘結)·도감별단(都監別單)·공장(工匠)·논상(論賞).

관련항목

문헌 → 소장처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한다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한다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한다

문헌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복 A는 B를 보여준다

문헌 → 의례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숙종인현왕후가례도감의궤 가례 A는 B를 기록한다

의례 → 기관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가례 가례도감 A는 B에서 주관한다

인물 → 복식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숙종 면복 A는 B를 착용한다
인현왕후 적의 A는 B를 착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