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민족기록화)
11번째 줄: 11번째 줄:
 
|필드수=7
 
|필드수=7
 
}}
 
}}
 +
=='''개요'''==
 +
[[고려]] [[공민왕]]이 원·명 교체기의 공백상태를 이용하여 고려의 전통적인 북진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동녕부정벌]]을 일으켰는데, 해당 작품은 그 일환으로, 1370년 1월에 [[이성계]] 지휘하의 [[고려]]군이 [[고구려]]의 도읍지였던 [[동녕부]] [[오녀산성|우라산성(于羅山城)]]을 함락시키는 장면을 재현하였다.<br/>
 +
이 작품은 정확한 인체묘사와 인물들의 표정, 의상과 배경에 대한 작가의 세심한 배려 등이 돋보이는 수작들 가운데 하나이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2쪽.</ref>
 +
 
=='''설명'''==
 
=='''설명'''==
 +
===작품 소재===
 +
작품 왼편에서 백마를 탄 흰색 갑옷의 장군이 [[이성계]]이고, 오른편에 초록색 옷을 입은 사람이 동녕부 동지(東寧府同知) [[이오로첩목아|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이다.<br/>
 +
태조실록에 따르면,
 +
...[[이오로첩목아|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태조가 온다는 말을 듣고서 [[오녀산성|우라산성(亐羅山城)]]으로 옮겨 보전하여 험준한 곳에 웅거해 막으려고 하였는데, 태조가 야돈촌(也頓村)에 이르자, [[이오로첩목아]]가 와서 도전(挑戰)하다가 잠시 후에 갑옷을 버리고 재배(再拜)하며 말하기를,
 +
"나의 선조(先祖)는 본래 고려 사람입니다. 신복(臣僕)이 되기를 원합니다."
 +
하고는, 3백여 호(戶)를 거느리고 항복하였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aa_000047 태조실록 1권, 총서 47번째기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최종확인: 2017년 04월 04일.</ref>
 +
해당 작품은 위와 같은 장면을 담고 있다.
 +
===작품 배경===
 +
작품의 배경인 [[오녀산성]]은 [[오녀산]]의 북쪽과 동쪽에 연결되어 있는 높고 낮은 여러 산봉우리 가운데서 가장 높고 험한 800m의 산마루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축조되어 있다고 한다. 이는 작품의 오른편에 그려진 [[오녀산성]]과 작품 뒤쪽에 배치된 높고 낮은 산봉우리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작품 구도===
 +
해당 작품은 승자와 패자의 극명한 대립, 즉 대각선으로 나뉘는 화면 상단과 하단이라는 위치선정, 아래를 내려다보고 위를 올려다보는 시선의 대립, 기세등등한 포즈와 무릎을 꿇은 굴욕적인 포즈의 대립, 완전한 정면상은 아닐지라도 정면을 보여주고 있는 아군과 등을 보이고 있는 적군이라는 전통적인, 또는 도식화된 이분법을 그대로 따름으로써 승리라는 메시지를 일차원적으로 전달할 따름이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2쪽.</ref>
  
 
=='''시각적 안내'''==
 
=='''시각적 안내'''==
*인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imagemap>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김태 「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1975|800px|center
<imagemap>Image:최대섭-독립선언-1976s.jpg|center|900px|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
rect 226 96 270 225 [[이성계]]
poly 437 44 424 51 418 71 424 86 408 97 388 131 388 149 390 170 390 179 444 178 474 177 488 171 493 162 494 151 496 131 485 106 485 95 472 86 460 73 460 55 444 41 444 42 [[손병희]]
+
rect 517 142 564 292 [[이오로첩목아]]
poly 533 44 512 58 518 65 518 83 510 89 500 107 498 121 501 143 507 168 510 174 540 174 584 173 607 174 610 164 602 146 596 126 595 114 584 96 574 88 562 84 556 76 558 66 555 50 [[한용운]]
+
poly 535 95 604 89 604 75 626 68 654 74 657 84 715 68 715 58 751 44 755 13 697 1 792 6 791 116 761 106 733 79 720 121 694 121 689 108 681 130 622 138 580 133 550 124 543 118 541 115 [[오녀산성]]  
poly 684 132 673 159 675 174 663 178 659 178 647 203 639 212 638 234 639 239 649 233 673 238 682 236 686 234 685 221 692 206 689 192 693 182 699 168 715 160 718 149 717 136 715 128 697 126 690 127 [[백용성]]
 
poly 724 205 699 205 686 219 690 239 686 256 666 273 647 276 627 273 610 287 622 295 642 300 643 308 662 296 678 300 699 313 706 296 718 268 719 247 726 232 734 221 734 212 [[나인협]]
 
poly 747 225 730 227 722 239 720 252 720 267 716 276 710 292 696 326 695 332 682 343 704 351 710 352 716 343 724 330 730 316 735 312 730 300 731 279 734 268 742 260 751 256 763 256 766 252 766 244 762 231 754 228 [[양한묵]]
 
poly 767 260 742 256 738 259 734 262 730 270 730 282 730 288 731 296 734 307 735 315 726 328 720 339 714 348 710 356 710 359 718 360 727 359 738 364 739 379 754 382 758 368 760 356 752 340 746 331 744 324 746 312 746 303 764 299 775 294 782 296 782 280 774 268 766 258 [[박희도]]
 
poly 287 295 266 295 258 307 262 320 266 331 266 336 254 342 236 362 228 380 218 412 210 452 206 468 206 498 206 511 220 526 234 526 254 524 278 524 298 522 294 502 306 492 304 474 299 455 299 436 310 410 322 378 319 376 308 360 316 354 314 334 318 318 316 302 294 295 [[이승훈]]
 
poly 83 249 53 256 40 263 40 275 42 282 50 282 64 284 69 288 76 304 84 320 80 334 80 344 93 334 100 324 97 304 96 292 96 286 96 280 96 268 89 264 85 254 84 252 [[오세창]]
 
poly 209 181 180 174 176 186 176 198 180 204 180 214 180 224 186 238 186 244 184 255 184 262 185 264 188 278 192 296 202 280 216 280 222 284 236 286 252 284 260 284 260 272 252 260 248 247 241 236 233 232 225 231 220 220 212 212 216 196 212 184 [[최린]]
 
poly 237 144 213 147 212 154 204 162 208 171 208 178 216 182 214 197 216 203 224 213 222 219 226 226 246 229 246 241 254 258 268 270 264 267 280 269 304 269 301 259 306 255 288 231 280 219 265 195 260 183 252 178 248 173 245 155 240 146 238 142 [[임예환]]
 
poly 279 115 258 110 248 120 252 130 248 140 249 150 248 151 252 159 253 174 264 184 274 196 278 211 284 222 297 231 300 247 309 248 313 240 324 230 329 224 329 215 324 200 320 190 310 176 304 162 296 152 288 142 288 130 282 118 280 116 [[권병덕]]
 
poly 342 60 322 58 308 62 306 74 316 83 320 95 325 111 342 142 346 151 354 155 356 166 372 171 388 167 384 150 376 142 372 123 368 113 361 103 344 91 349 78 344 61 341 55 [[이갑성]]
 
 
</imagemap>
 
</imagemap>
  
52번째 줄: 57번째 줄:
  
 
=='''관련항목'''==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김태]]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5년
 +
|-
 +
|{{PAGENAME}}  ||[[이성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PAGENAME}} ||[[동녕부정벌]]||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
|{{PAGENAME}}  ||[[오녀산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
| [[전쟁기념관]]  ||{{PAGENAME}} ||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
 +
|-
 +
|[[국회사무처]] || {{PAGENAME}} || A가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
 +
|[[이성계]] || [[동녕부정벌]] || A는 B를 지휘하였다  ||
 +
|-
 +
|[[이성계]] || [[오녀산성]] || A는 B를 공격하였다  ||  1370년 1월
 +
|- 
 +
|[[이성계]] || [[공민왕]] || A는 B의 신하이다 ||
 +
|- 
 +
|[[이성계]] || [[이오로첩목아]] || A는 B와 대립하였다  || 1370년 1월
 +
|- 
 +
|[[오녀산성]] || [[동녕부]]  || A는 B에 있었다 ||
 +
|-
 +
|[[동녕부]] || [[쌍성총관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동녕부]] || [[탐라총관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이오로첩목아]] || [[오녀산성]]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65번째 줄: 102번째 줄:
  
 
=='''시간정보'''==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5년 || [[김태]]가 {{PAGENAME}}를 제작하였다.
 +
|-
 +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 [[국회사무처]]가 {{PAGENAME}}를 대여하였다.
 +
|-
 +
|1370년 1월 || [[이성계]]가 [[오녀산성]]을 공격하였다.
 +
|-
 +
|1370년 1월 || [[이성계]]와 [[이오로첩목아|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대립하였다.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72번째 줄: 120번째 줄:
  
 
=='''공간정보'''==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532103|| 126.914133||{{PAGENAME}}이 [[국회사무처]]에 대여되었다.
 +
|-
 +
|37.532103|| 126.914133||{{PAGENAME}}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82번째 줄: 138번째 줄:
 
=='''그래프'''==
 
=='''그래프'''==
  
=='''참고문헌'''==
+
=='''참고문헌'''@==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84039&cid=40942&categoryId=31778 동녕부정벌], <html><online style="color:purple">『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2017년 04월 04일 확인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5008 환인오녀산성]",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4일.
  
 
=='''주석'''==
 
=='''주석'''==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계몽/항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계몽/항일]]

2017년 4월 5일 (수) 01:53 판


박승환의 자결순국
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
작가 박기태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계몽/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개요

고려 공민왕이 원·명 교체기의 공백상태를 이용하여 고려의 전통적인 북진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동녕부정벌을 일으켰는데, 해당 작품은 그 일환으로, 1370년 1월에 이성계 지휘하의 고려군이 고구려의 도읍지였던 동녕부 우라산성(于羅山城)을 함락시키는 장면을 재현하였다.
이 작품은 정확한 인체묘사와 인물들의 표정, 의상과 배경에 대한 작가의 세심한 배려 등이 돋보이는 수작들 가운데 하나이다.[1]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왼편에서 백마를 탄 흰색 갑옷의 장군이 이성계이고, 오른편에 초록색 옷을 입은 사람이 동녕부 동지(東寧府同知) 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이다.
태조실록에 따르면,

...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태조가 온다는 말을 듣고서 우라산성(亐羅山城)으로 옮겨 보전하여 험준한 곳에 웅거해 막으려고 하였는데, 태조가 야돈촌(也頓村)에 이르자, 이오로첩목아가 와서 도전(挑戰)하다가 잠시 후에 갑옷을 버리고 재배(再拜)하며 말하기를,
"나의 선조(先祖)는 본래 고려 사람입니다. 신복(臣僕)이 되기를 원합니다."
하고는, 3백여 호(戶)를 거느리고 항복하였다...[2]

해당 작품은 위와 같은 장면을 담고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인 오녀산성오녀산의 북쪽과 동쪽에 연결되어 있는 높고 낮은 여러 산봉우리 가운데서 가장 높고 험한 800m의 산마루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축조되어 있다고 한다. 이는 작품의 오른편에 그려진 오녀산성과 작품 뒤쪽에 배치된 높고 낮은 산봉우리의 모습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구도

해당 작품은 승자와 패자의 극명한 대립, 즉 대각선으로 나뉘는 화면 상단과 하단이라는 위치선정, 아래를 내려다보고 위를 올려다보는 시선의 대립, 기세등등한 포즈와 무릎을 꿇은 굴욕적인 포즈의 대립, 완전한 정면상은 아닐지라도 정면을 보여주고 있는 아군과 등을 보이고 있는 적군이라는 전통적인, 또는 도식화된 이분법을 그대로 따름으로써 승리라는 메시지를 일차원적으로 전달할 따름이다.[3]

시각적 안내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이성계이오로첩목아오녀산성김태 「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1975
이 그림에 대한 정보

관련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김태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A는 B를 그렸다 1975년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이성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동녕부정벌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오녀산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전쟁기념관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A는 B를 소장하고 있다
국회사무처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A가 B를 대여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이성계 동녕부정벌 A는 B를 지휘하였다
이성계 오녀산성 A는 B를 공격하였다 1370년 1월
이성계 공민왕 A는 B의 신하이다
이성계 이오로첩목아 A는 B와 대립하였다 1370년 1월
오녀산성 동녕부 A는 B에 있었다
동녕부 쌍성총관부 A는 B와 관련이 있다
동녕부 탐라총관부 A는 B와 관련이 있다
이오로첩목아 오녀산성 A는 B와 관련이 있다
A항목 B항목 관계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박각순 A는 B에 의해 그려지다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이승훈 A는 B를 소재로 삼다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5년 김태가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를 제작하였다.
1991년 1월 8일-1992년 1월 7일 국회사무처가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를 대여하였다.
1370년 1월 이성계오녀산성을 공격하였다.
1370년 1월 이성계이오로첩목아(李吾魯帖木兒)가 대립하였다.
중심 시간정보명 시간값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국립현대미술관 대여연도 1979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32103 126.914133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이 국회사무처에 대여되었다.
37.532103 126.914133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이 전쟁기념관에 소장되어 있다.
중심 연결정보 공간정보이름 경도 위도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前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37.4930829 127.0005288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現 소장처 독립기념관 36.7861847 127.2242915

그래프

참고문헌@

  • "동녕부정벌, 『두산백과 온라인 서비스』online, 두산백과. 2017년 04월 04일 확인
  • "환인오녀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4일.

주석

  1.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2쪽.
  2. "태조실록 1권, 총서 47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 온라인 서비스』online, 국사편찬위원회. 최종확인: 2017년 04월 04일.
  3.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년, 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