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영상)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3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제작연도= 1976년 | |제작연도= 1976년 | ||
|규격= 300호(197x290.9cm) | |규격= 300호(197x290.9cm) | ||
− | |유형= 계몽 | + | |유형= 계몽 |
|분류= 유화 | |분류= 유화 | ||
|소장처= [[독립기념관]] | |소장처= [[독립기념관]]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1930년 5월 8일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인 [[이승훈]]이 자신이 개교한 [[오산학교 | + | 1930년 5월 8일,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인 [[이승훈]]이 자신이 개교한 [[오산학교]]에서 훈화를 하는 장면을 담은 [[박각순]]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 =='''설명'''== | ||
===작품 소재=== | ===작품 소재=== | ||
− | 1907년 12월 24일 [[이승훈|남강(南岡) 이승훈(李昇薰)]]은 평안북도 정주군 갈산면 [[오산]]에 4년제 중등과정의 [[오산학교|오산학교(五山學校)]]를 개교하였다. [[이승훈]]은 기울어가는 나라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right|450px]] |
− | 해당 작품은 1930년 5월 8일 [[이승훈]]이 [[오산학교]] 운동장에서 학생들에게 훈화를 하던 장면을 담고 있는데, 이튿날인 5월 9일 오전 4시에 [[이승훈]]은 협심증으로 사망하였다.<br/> | + | 1907년 12월 24일 [[이승훈|남강(南岡) 이승훈(李昇薰, 1864~1930)]]은 평안북도 정주군 갈산면 [[오산]]에 4년제 중등과정의 [[오산학교|오산학교(五山學校)]]를 개교하였다. [[이승훈]]은 기울어가는 나라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민족교육(民族敎育)과 신교육(新敎育)이 최우선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오산학교]]를 설립했고, 기독교정신을 바탕으로 한 민족교육에 힘을 기울였다.<br/> |
− | 영면 직전 [[이승훈]] "내 뼈는 학교에 표본으로 만들어 보관하여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교육에 진력하는 사람들에게도 보여 주기를 원한다" | + | |
+ | 해당 작품은 1930년 5월 8일 '''②⑤ [[이승훈]]'''이 '''①②③ [[오산학교]]''' 운동장에서 학생들에게 훈화를 하던 장면을 담고 있는데, 이튿날인 5월 9일 오전 4시에 [[이승훈]]은 협심증으로 사망하였다.<br/> | ||
+ | 영면 직전 [[이승훈]]은 "내 뼈는 학교에 표본으로 만들어 보관하여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교육에 진력하는 사람들에게도 보여 주기를 원한다"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그러나 일제의 금지로 실행되지 못하고 [[오산]]에 안장되었다. | ||
===작품 배경=== | ===작품 배경=== | ||
− | 작품의 배경은 [[오산학교]]로, 1907년 12월 24일 오산고등보통학교로 | + | 작품의 배경은 '''①②③ [[오산학교]]'''로, 1907년 12월 24일 오산고등보통학교로 개교하였으며, 현 [[오산중학교]]와 [[오산고등학교]]의 전신이다.<br/> |
− | 개교 당시 학생 수 7명에 교사 수는 2명이었으나, 1920년에는 200여 명에 이르렀다. 1919년 [[3.1운동]] 당시 [[이승훈]]은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대표로 참가하다 투옥되었고, 1923년 출감하여 학교를 재건하고, 종합교육기관으로서의 계획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모든 계획이 중단되었다.<br/> | + | 개교 당시 학생 수 7명에 교사 수는 2명이었으나, 1920년에는 전체가 200여 명에 이르렀다. 1919년 [[3.1운동]] 당시 [[이승훈]]은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대표로 참가하다 투옥되었고, 1923년 출감하여 학교를 재건하고, 종합교육기관으로서의 계획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모든 계획이 중단되었다.<br/> |
− | 1942년 일제는 민족의식을 말살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들을 투옥시키고, 일본인 교장을 세워 학교를 운영하였으나 학생들은 이에 맞서 격렬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ref>'1942년...전개하였다.'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302 오산고등학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br/> | + | 1942년 일제는 민족의식을 말살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들을 투옥시키고, 일본인 교장을 세워 학교를 운영하였으나 학생들은 이에 맞서 격렬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ref>'1942년...전개하였다.'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302 오산고등학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1월 19일.</ref><br/> |
광복 후 부산시 동구 동대신동에서 [[오산고등학교]]로 재건하였다가, 1956년 4월, 현재 위치인 서울 용산구 보광동으로 이전하였다. | 광복 후 부산시 동구 동대신동에서 [[오산고등학교]]로 재건하였다가, 1956년 4월, 현재 위치인 서울 용산구 보광동으로 이전하였다. | ||
36번째 줄: | 38번째 줄: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_오산학교.jpg|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오산학교<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1343&cid=59011&categoryId=59011 이승훈]",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캐스트』<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_오산학교.jpg|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오산학교<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1343&cid=59011&categoryId=59011 이승훈]",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캐스트』<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ref> | ||
− | 파일: 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_이승훈.jpg|[[이승훈]] 선생<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964 이승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파일: 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_이승훈.jpg|[[이승훈]] 선생<ref>김호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964 이승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스케치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9&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스케치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9&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전시장면.jpg|전람회를 관람하는 최규하 국무총리<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6&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전시장면.jpg|전람회를 관람하는 최규하 국무총리<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6&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42번째 줄: | 44번째 줄: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52/C052.htm "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박각순)"]''' | ||
+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52/C05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관계정보=== | ===관계정보=== | ||
117번째 줄: | 121번째 줄: | ||
===관련 민족기록화=== | ===관련 민족기록화===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계몽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계몽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 + |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
− |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 | + |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
− | + |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
− | |||
− | |||
− | |||
− | |||
− | |||
− |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 | ||
− |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1/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1/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갤러리===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center>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center> |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_오산학교.jpg|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오산학교<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1343&cid=59011&categoryId=59011 이승훈]", <html><online style="color:purple"> |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_오산학교.jpg| 작품과 비슷한 구도의 오산학교<ref>국가보훈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1343&cid=59011&categoryId=59011 이승훈]", 네이버 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발행일: 2011년 2월 22일.</ref> |
+ | 파일: 민족기록화_작품_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_이승훈.jpg|[[이승훈]] 선생<ref>김호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964 이승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스케치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9&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스케치1.jpg|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9&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전시장면.jpg|전람회를 관람하는 최규하 국무총리<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6&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전시장면.jpg|전람회를 관람하는 최규하 국무총리<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6&gubun=search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
147번째 줄: | 145번째 줄: | ||
*'''[EBSCulture (EBS 교양)] 지식채널e - Knowledge of the channel e_20110516_1907년, 오산학교(게시일: 2013년 1월 22일)''' | *'''[EBSCulture (EBS 교양)] 지식채널e - Knowledge of the channel e_20110516_1907년, 오산학교(게시일: 2013년 1월 22일)'''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 | + | <iframe width="63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G3qKoLMV5e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
=='''주석'''== | =='''주석'''== | ||
157번째 줄: | 154번째 줄: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웹 자원 | #웹 자원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964 이승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김호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964 이승훈]",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302 오산고등학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8302 오산고등학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1월 19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5204 오산학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5204 오산학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4:38 기준 최신판
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
작가 | 박각순 |
---|---|
제작연도 | 1976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계몽 |
분류 | 유화 |
소장처 | 독립기념관 |
목차
정의
1930년 5월 8일,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교육가인 이승훈이 자신이 개교한 오산학교에서 훈화를 하는 장면을 담은 박각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1907년 12월 24일 남강(南岡) 이승훈(李昇薰, 1864~1930)은 평안북도 정주군 갈산면 오산에 4년제 중등과정의 오산학교(五山學校)를 개교하였다. 이승훈은 기울어가는 나라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민족교육(民族敎育)과 신교육(新敎育)이 최우선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오산학교를 설립했고, 기독교정신을 바탕으로 한 민족교육에 힘을 기울였다.
해당 작품은 1930년 5월 8일 ②⑤ 이승훈이 ①②③ 오산학교 운동장에서 학생들에게 훈화를 하던 장면을 담고 있는데, 이튿날인 5월 9일 오전 4시에 이승훈은 협심증으로 사망하였다.
영면 직전 이승훈은 "내 뼈는 학교에 표본으로 만들어 보관하여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교육에 진력하는 사람들에게도 보여 주기를 원한다"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그러나 일제의 금지로 실행되지 못하고 오산에 안장되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①②③ 오산학교로, 1907년 12월 24일 오산고등보통학교로 개교하였으며, 현 오산중학교와 오산고등학교의 전신이다.
개교 당시 학생 수 7명에 교사 수는 2명이었으나, 1920년에는 전체가 200여 명에 이르렀다. 1919년 3.1운동 당시 이승훈은 민족대표 33인 중 기독교 대표로 참가하다 투옥되었고, 1923년 출감하여 학교를 재건하고, 종합교육기관으로서의 계획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모든 계획이 중단되었다.
1942년 일제는 민족의식을 말살하기 위해 교사와 학생들을 투옥시키고, 일본인 교장을 세워 학교를 운영하였으나 학생들은 이에 맞서 격렬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1]
광복 후 부산시 동구 동대신동에서 오산고등학교로 재건하였다가, 1956년 4월, 현재 위치인 서울 용산구 보광동으로 이전하였다.
그림 읽기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박각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이승훈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오산학교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오산학교 | 이승훈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오산학교 | 오산중학교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오산학교 | 오산고등학교 | A는 B의 전신이다 | A ekc:isOldNameOf B |
김소월 | 오산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신민회 | 이승훈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신민회 | 안창호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대성학교 | 안창호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신민회 | 105인 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민족대표 33인 | 이승훈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민족대표 33인 | 3.1운동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6년 | 박각순이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을 그렸다 |
1991년 1월 15일-1992년 1월 14일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을 대여하였다 |
1907년 12월 24일 | 이승훈이 오산학교를 설립하였다 |
1911년 9월 | 이승훈이 105인 사건으로 투옥되었다 |
1919년 3월 1일 | 이승훈이 3.1운동에 참가하였다 |
1924년 5월-10월 | 이승훈이 동아일보 사장직을 역임하였다 |
1930년 5월 9일 4시 | 이승훈이 사망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6.7861847 | 127.2242915 | 독립기념관이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을 소장하고 있다 |
37.392958 | 127.158241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을 대여하였다 |
37.5139307 | 126.9853157 | 오산고등학교는 오산학교의 후신이다 |
37.5239571 | 126.9973077 | 오산중학교는 오산학교의 후신이다 |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EBSCulture (EBS 교양)] 지식채널e - Knowledge of the channel e_20110516_1907년, 오산학교(게시일: 2013년 1월 22일)
주석
- ↑ '1942년...전개하였다.' : "오산고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5년 1월 19일. - ↑ "이승훈",
『네이버캐스트』online , 네이버 지식백과. - ↑ 김호일, "이승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국가보훈처, "이승훈", 네이버 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발행일: 2011년 2월 22일. - ↑ 김호일, "이승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9",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 - ↑ "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 국가기록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