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민족기록화)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8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제작연도= 1976년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계몽/항일
+
|유형= 항일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소장처= [[독립기념관]]
 
|필드수=7
 
|필드수=7
 
}}
 
}}
 +
=='''정의'''==
 +
조선말기 순국지사 [[박승환]]이 권총으로 자결한 모습과, 그의 자결 순국에 분개한 한국군이 일본군을 공격하는 장면을 담은 [[박기태]]의 민족기록화이다.
 +
 
=='''설명'''==
 
=='''설명'''==
 +
===작품 소재===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right|450px]]
 +
1907년 8월 1일 새벽, 일제는 대대장 이상의 장교를 일제 통감의 관저인 [[대관정|대관정(大觀亭)]]으로 집합시켰으나, 시위대 제1연대 제1대대장이었던 [[박승환]]은 병을 핑계로 고참 중대장인 [[김재흡]]을 대리 참석시켰다.<br/>
 +
오전 10시에 부대로 돌아온 [[김재흡]] 중대장의 보고를 통해 [[박승환]]은 [[한일신협약|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이 체결되어 강제로 [[군대해산]]이 이루어진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는 "군인은 국가를 위해 경비함이 직책이어늘 이제 외국이 침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홀연히 군대를 해산하니, 이는 황제의 뜻이 아니요.  적신이 황명을 위조함이니 내 죽을지언정 명을 받을 수 없다" 라며 대성통곡하였다. 그 뒤 바로 대대장실에서 [[박승환 유서|유서]]를 쓰고, "대한제국 만세!"를 외친 다음 차고있던 권총으로 [[박승환의 자결 순국|자결 순국]]하였다.<br/>
 +
 +
작품 오른편에 두 명의 부하가 받치고 있는 인물이 '''⑥ [[박승환]]'''으로, 그의 발치에는 그가 자결할 때 사용했던 '''⑧ 권총'''이 그려져 있다.<br/>
 +
작품 왼편 책상 위에는 '''④⑦ 유서'''가 놓여 있는데, 유서에는 "軍不能守國 臣不能盡忠 萬死無惜(군인으로서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신하로서 충성을 다하지 못하였으니, 만번 죽은들 무엇이 아깝겠는가)"라고 적혀 있다.
  
=='''시각적 안내'''==
+
===작품 배경===
*인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
작품의 배경은 [[정미의병 발원 터|정미의병(丁未義兵) 발원 터]]로, 현재 서울 중구 서소문동 부영빌딩 화단 앞이다.<br/>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이곳에서 [[박승환]]의 자결에 분격한 제1연대 제1대대 장병들이 탄약고를 부수고 탄환을 꺼내어 무장 봉기하였고, 이 소식을 들은 제1연대 제1대대 봉기 소식을 듣고 제2연대 제1대대도 이에 호응하여 봉기하였다. 장병들은 일본군과 총격전을 벌이며 전투에 들어갔는데, '''①②④⑤''' 작품 뒤쪽에 그려진 전투 장면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imagemap>Image:최대섭-독립선언-1976s.jpg|center|900px|그림에서 인물을 클릭하면 해당 기사로 이동합니다.
+
===그림 읽기===
poly 437 44 424 51 418 71 424 86 408 97 388 131 388 149 390 170 390 179 444 178 474 177 488 171 493 162 494 151 496 131 485 106 485 95 472 86 460 73 460 55 444 41 444 42 [[손병희]]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poly 533 44 512 58 518 65 518 83 510 89 500 107 498 121 501 143 507 168 510 174 540 174 584 173 607 174 610 164 602 146 596 126 595 114 584 96 574 88 562 84 556 76 558 66 555 50 [[한용운]]
+
<imagemap>
poly 684 132 673 159 675 174 663 178 659 178 647 203 639 212 638 234 639 239 649 233 673 238 682 236 686 234 685 221 692 206 689 192 693 182 699 168 715 160 718 149 717 136 715 128 697 126 690 127 [[백용성]]
+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 |박기태 「박승환의 자결순국」 1976|800px|center
poly 724 205 699 205 686 219 690 239 686 256 666 273 647 276 627 273 610 287 622 295 642 300 643 308 662 296 678 300 699 313 706 296 718 268 719 247 726 232 734 221 734 212 [[나인협]]
+
poly 507 179 497 193 493 198 497 208 510 218 519 223 529 231 504 242 493 264 510 271 522 254 525 247 528 249 529 259 537 261 533 269 515 287 508 288 513 292 500 298 487 303 479 327 484 351 490 365 510 364 500 343 511 348 506 327 527 313 539 296 555 321 568 348 559 382 549 423 546 453 555 462 580 453 599 401 617 387 626 388 626 430 631 453 631 475 631 493 631 505 653 507 657 471 657 458 668 449 666 406 666 350 662 329 644 290 632 276 617 258 600 246 588 248 590 231 599 226 610 231 600 213 616 222 626 229 635 248 657 262 635 219 616 210 617 191 597 184 584 191 581 182 565 199 555 188 552 178 541 177 529 169 510 177 510 177 [[박승환]]
poly 747 225 730 227 722 239 720 252 720 267 716 276 710 292 696 326 695 332 682 343 704 351 710 352 716 343 724 330 730 316 735 312 730 300 731 279 734 268 742 260 751 256 763 256 766 252 766 244 762 231 754 228 [[양한묵]]
+
poly 13 280 -4 310 56 326 65 314 66 297 81 288 103 284 116 290 121 305 113 310 119 314 113 324 98 330 171 337 178 342 183 371 199 400 214 419 266 486 301 511 306 520 352 490 352 484 338 479 334 479 293 456 279 446 248 428 225 400 168 308 116 302 122 295 [[박승환 유서]]
poly 767 260 742 256 738 259 734 262 730 270 730 282 730 288 731 296 734 307 735 315 726 328 720 339 714 348 710 356 710 359 718 360 727 359 738 364 739 379 754 382 758 368 760 356 752 340 746 331 744 324 746 312 746 303 764 299 775 294 782 296 782 280 774 268 766 258 [[박희도]]
 
poly 287 295 266 295 258 307 262 320 266 331 266 336 254 342 236 362 228 380 218 412 210 452 206 468 206 498 206 511 220 526 234 526 254 524 278 524 298 522 294 502 306 492 304 474 299 455 299 436 310 410 322 378 319 376 308 360 316 354 314 334 318 318 316 302 294 295 [[이승훈]]
 
poly 83 249 53 256 40 263 40 275 42 282 50 282 64 284 69 288 76 304 84 320 80 334 80 344 93 334 100 324 97 304 96 292 96 286 96 280 96 268 89 264 85 254 84 252 [[오세창]]
 
poly 209 181 180 174 176 186 176 198 180 204 180 214 180 224 186 238 186 244 184 255 184 262 185 264 188 278 192 296 202 280 216 280 222 284 236 286 252 284 260 284 260 272 252 260 248 247 241 236 233 232 225 231 220 220 212 212 216 196 212 184 [[최린]]
 
poly 237 144 213 147 212 154 204 162 208 171 208 178 216 182 214 197 216 203 224 213 222 219 226 226 246 229 246 241 254 258 268 270 264 267 280 269 304 269 301 259 306 255 288 231 280 219 265 195 260 183 252 178 248 173 245 155 240 146 238 142 [[임예환]]
 
poly 279 115 258 110 248 120 252 130 248 140 249 150 248 151 252 159 253 174 264 184 274 196 278 211 284 222 297 231 300 247 309 248 313 240 324 230 329 224 329 215 324 200 320 190 310 176 304 162 296 152 288 142 288 130 282 118 280 116 [[권병덕]]
 
poly 342 60 322 58 308 62 306 74 316 83 320 95 325 111 342 142 346 151 354 155 356 166 372 171 388 167 384 150 376 142 372 123 368 113 361 103 344 91 349 78 344 61 341 55 [[이갑성]]
 
 
</imagemap>
 
</imagemap>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1.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5&gubun=search#1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2.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1&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3.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8&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8]",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mode=packed caption="계몽/항일 관련 작품"  heights=150px  style="float:left"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44/C044.htm "박승환의 자결순국(박기태)" 지식관계망]'''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1894년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1898년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1905년 11월 30일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1906년 5월 [[장리석-홍주성수복]]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1906년 [[정창섭-태백산전투]]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1906년 11월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1907년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1909년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1910년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1915년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파일:최대섭-독립선언-1976s.jpg|1919년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1919년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1920년 [[손수광-청산리싸움]]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1920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gallery>
 
<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
 
  
=='''관련항목'''==
+
<html>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44/C04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PAGENAME}} ||[[박각순]] || A는 B에 의해 그려지다
+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박기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 ]]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박승환]]||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 ]]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박승환의 자결 순국]]||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이승훈]]|| A는 B를 소재로 삼다
+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정미의병 발원 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국립현대미술관]]||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독립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박승환]] || [[박승환의 자결 순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박승환의 자결 순국]] ||  [[정미의병 발원 터]]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
| [[군대해산]]||[[박승환의 자결 순국]]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한일신협약]] || [[군대해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이토 히로부미]] || [[한일신협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미의병]] || [[정미의병 발원 터]]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
|-
 +
| [[항일의병운동]] || [[정미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신돌석]]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항일의병운동]] || [[을사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최익현]] || [[을사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항일의병운동]] || [[을미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6년 || [[박기태]]가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을 제작하였다
 +
|-
 +
|1907년 7월 24일|| [[이완용]]과 [[이토 히로부미]]가 [[한일신협약]]을 체결하였다
 +
|-
 +
| 1907년 7월 31일-9월 3일 || [[한일신협약]]에 의해 [[군대해산]]이 시행되었다
 
|-
 
|-
|{{PAGENAME}}||[[국립현대미술관]] 대여연도 || 1979
+
| 1907년 8월 1일 || [[박승환]]이 자결 순국하였다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PAGENAME}} ||前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  || 37.4930829 || 127.0005288
+
|37.4930829 || 127.0005288||[[국립현대미술관]]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을 대여하였다
 
|-
 
|-
|{{PAGENAME}} ||現 소장처|| [[독립기념관]]  || 36.7861847 ||127.2242915
+
| 36.7861847 ||127.2242915|| [[독립기념관]]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을 소장하고 있다
 +
|-
 +
|37.33403 || 126.58275 ||  [[박승환의 자결 순국]]은 [[정미의병 발원 터]]에서 일어났다
 
|}
 
|}
 +
*'''항일의병운동 전자지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06/C006.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항일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청산리싸움]]
 +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
</gallery>
  
=='''그래프'''==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1/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1/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1.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5&gubun=search#1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5]",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2.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1&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박기태-박승환의자결순국_스케치3.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8&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8]",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gallery>
  
=='''참고문헌'''==
+
===영상===
  
 
=='''주석'''==
 
=='''주석'''==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정미의병 발원 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 문화재 기념표석들의 스토리텔링 개발』<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원형백과.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4595&cid=49352&categoryId=49352 정미의병 발원 터]",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시위병영 터",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 문화재 기념표석들의 스토리텔링 개발』<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원형백과.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4594&cid=49352&categoryId=49352 시위병영 터]", 문화원형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국가보훈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2005&cid=59011&categoryId=59011 박승환]", 네이버 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발행일: 2011년 5월 31일.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계몽/항일]]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37 기준 최신판


박승환의 자결순국
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
작가 박기태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독립기념관


정의

조선말기 순국지사 박승환이 권총으로 자결한 모습과, 그의 자결 순국에 분개한 한국군이 일본군을 공격하는 장면을 담은 박기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

1907년 8월 1일 새벽, 일제는 대대장 이상의 장교를 일제 통감의 관저인 대관정(大觀亭)으로 집합시켰으나, 시위대 제1연대 제1대대장이었던 박승환은 병을 핑계로 고참 중대장인 김재흡을 대리 참석시켰다.
오전 10시에 부대로 돌아온 김재흡 중대장의 보고를 통해 박승환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이 체결되어 강제로 군대해산이 이루어진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는 "군인은 국가를 위해 경비함이 직책이어늘 이제 외국이 침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홀연히 군대를 해산하니, 이는 황제의 뜻이 아니요. 적신이 황명을 위조함이니 내 죽을지언정 명을 받을 수 없다" 라며 대성통곡하였다. 그 뒤 바로 대대장실에서 유서를 쓰고, "대한제국 만세!"를 외친 다음 차고있던 권총으로 자결 순국하였다.

작품 오른편에 두 명의 부하가 받치고 있는 인물이 박승환으로, 그의 발치에는 그가 자결할 때 사용했던 ⑧ 권총이 그려져 있다.
작품 왼편 책상 위에는 ④⑦ 유서가 놓여 있는데, 유서에는 "軍不能守國 臣不能盡忠 萬死無惜(군인으로서 나라를 지키지 못하고 신하로서 충성을 다하지 못하였으니, 만번 죽은들 무엇이 아깝겠는가)"라고 적혀 있다.

작품 배경

작품의 배경은 정미의병(丁未義兵) 발원 터로, 현재 서울 중구 서소문동 부영빌딩 화단 앞이다.
이곳에서 박승환의 자결에 분격한 제1연대 제1대대 장병들이 탄약고를 부수고 탄환을 꺼내어 무장 봉기하였고, 이 소식을 들은 제1연대 제1대대 봉기 소식을 듣고 제2연대 제1대대도 이에 호응하여 봉기하였다. 장병들은 일본군과 총격전을 벌이며 전투에 들어갔는데, ①②④⑤ 작품 뒤쪽에 그려진 전투 장면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읽기

  • 그림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박승환박승환 유서박기태 「박승환의 자결순국」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박기태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박승환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박승환의 자결 순국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정미의병 발원 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국립현대미술관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독립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박승환 박승환의 자결 순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박승환의 자결 순국 정미의병 발원 터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군대해산 박승환의 자결 순국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한일신협약 군대해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이토 히로부미 한일신협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정미의병 정미의병 발원 터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항일의병운동 정미의병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신돌석 정미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항일의병운동 을사의병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최익현 을사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항일의병운동 을미의병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박기태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을 제작하였다
1907년 7월 24일 이완용이토 히로부미한일신협약을 체결하였다
1907년 7월 31일-9월 3일 한일신협약에 의해 군대해산이 시행되었다
1907년 8월 1일 박승환이 자결 순국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4930829 127.0005288 국립현대미술관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을 대여하였다
36.7861847 127.2242915 독립기념관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을 소장하고 있다
37.33403 126.58275 박승환의 자결 순국정미의병 발원 터에서 일어났다
  • 항일의병운동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2.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3.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4.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5",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5.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6.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8",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정미의병 발원 터", 『서울 문화재 기념표석들의 스토리텔링 개발』online, 문화원형백과. 온라인 참조: "정미의병 발원 터",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시위병영 터", 『서울 문화재 기념표석들의 스토리텔링 개발』online, 문화원형백과. 온라인 참조: "시위병영 터",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국가보훈처, "박승환", 네이버 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발행일: 2011년 5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