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제작연도= 1976년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계몽/항일
+
|유형= 항일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소장처= 미상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정의'''==
 
=='''정의'''==
해당 작품은
+
1906년 1월 6일 부산 [[초량항]]에서 있었던 [[최익현]]의 유해 환국 장면을 담은 [[이의주]]의 민족기록화이다.<br/>
 
 
 
 
  
 
=='''설명'''==
 
=='''설명'''==
 
===작품 소재===
 
===작품 소재===
작품의 소재 [[최익현]]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right|450px]]
 
+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대표적 의병장인 [[최익현|최익현(崔益鉉, 1833~1906)]]은 1905년 11월 17일 강압적으로 체결된 [[을사조약|을사조약(乙巳條約)]]에 저항하였다. 1906년 6월 14일 끝까지 남아있던 [[최익현]]과 13인의 의병장들은 경성부로 압송되었다. [[최익현]]을 비롯한 [[임병찬|임병찬(林炳瓚)]], [[고석진|고석진(高石鎭)]], [[김기술|김기술(金己述)]], [[문달환|문달환(文達煥)]], [[임현주|임현주(林顯周)]], [[유종규|유종규(柳鐘奎)]], [[조우식|조우식(趙愚植)]], [[조영선|조영선(趙泳善)]], [[최제학|최제학(崔濟學)]], [[나기덕|나기덕(羅基德)]], [[이용길|이용길(李容吉)]], [[유해용|유해용(柳海瑢)]]이었다. 2개월간 일본군사령부에 감금된 끝에 [[최익현]]과 [[임병찬]]은 8월 하순 [[대마도]] 위수영(衛戍營) 경비대로 이감되었다.<br/>
 +
[[최익현]]은 일본 정부 측의 갖은 협박과 회유를 뿌리치고 단식에 돌입하였고, 1907년 1월 1일 쓰시마 섬 감옥에서 순국하였다.<ref>'최익현은 일본 정부...순국하였다' - "[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C%9D%B5%ED%98%84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br/>
  
1906년 전라도 태인현에서 항일 의병을 일으켰을 때 최익현은 이미 74세였고, 그 생애의 마지막 해였다.
+
[[최익현]]의 유해는 이듬해 1월 6일 부산 [[초량항]]에 도착하였다.이른 아침부터 [[최익현]]의 가족들과 문중, 문인과 일반 시민들이 대거 부둣가에 나와 기다렸고, [[상무사|상무사(商務社)]] 사원 1천여 명은 큰 상여를 갖추고 큰 글씨로 '춘추대의 일월고충(春秋大義 日月孤忠)' 8자의 만장(輓章)을 비단에 써서 간대에 걸고 나와 영접했다고 한다.<ref>"[http://e-gonghun.mpva.go.kr/diquest/Search.do#; 대마도일기·반구일기 해제(解題)]", 통합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공훈전자사료관』<sup>online</sup></online></html>.</ref> [[상무사]]는 유배된 [[최익현]]을 돕기 위해 [[대마도]] 무역경로를 통해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br/>
 +
작품의 중앙에서 빨간 깃발에 흰 글씨로 새겨진 '''⑤ '춘추대의 일월고충' ''' 만장(輓章)과, 그 만장 옆으로 상여꾼들이 이고 있는 '''⑥ [[최익현]]의 영구(靈柩)'''를 확인할 수 있다.<br/>
 +
[[최익현]]의 제자인 [[권순도|권순도(權順度)]]와 [[김영규]]가 영구를 옮기며 "이 배는 대한의 배요, 이 땅은 대한의 땅입니다."라고 울부짖으니 항구에 나와 있던 시민들이 모두 [[최익현]]을 외쳐 부르며 통곡하였다고 하는데, '''⑦⑧⑨''' 슬퍼하는 시민들의 모습도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br/>
 +
하늘 왼편에 그려진 구름 한가운데에 흰 옷을 입고 있고, 갓을 쓴 사람은 그의 복장으로 미루어 보아 '''① [[최익현]]'''으로 추정되고, 그의 주변에 모인 많은 이들은 일제에 항거하다 목숨을 거둔 의병들로 추정된다.
  
최익현의 의병은 첫 항일 전투에서 열악한 무기와 미비한 전투력 탓에 패배를 했고, 전투 현장에서 체포된 그는 서울로 압송되어 한국주차군사령부에 구금되었다가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위술영 경비대에 이감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최고령 의병장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2002. 12. 10., 현암사)
 
 
 
 
 
 
1906년 6월 13일 조정으로부터 궁내부특진관에서 해임되었다. 6월 14일 끝까지 남아 있던 최익현 이하 임병찬, 고석진, 김기술, 문달환(文達煥), 임현주(林顯周), 유종규, 조우식(趙愚植), 조영선(趙泳善), 최제학, 나기덕(羅基德), 이용길, 유해용(柳海瑢) 등 13인의 의사들은 전주로 압송되었다. 이로써 최익현의 의병항전은 종말을 고하였다.
 
6월 말 최익현은 이들과 함께 다시 경성부로 압송되어 경성 주재 일본군사령부에 감금당하였다. 최익현 이하 13인의 의병장들은 여기서 그들의 심문과 회유를 받는 동안에도 일본의 조선 식민지화 음모의 죄상을 성토하였다. 2개월간 일본군사령부에 감금된 끝에 최익현과 임병찬은 그해 8월 하순 일본의 쓰시마 섬 엄원(嚴原) 위수영(衛戍營)으로 압송되어 감금되었다. 그곳에는 홍주의병진의 유준근(柳濬根), 이식(李식) 등 의병 9인이 이미 함께 감금되어 있었다.
 
 
최익현은 일본 정부 측의 갖은 협박과 회유를 뿌리치고 단식에 돌입하였다. 최익현은 죽음이 임박해지자 임병찬에게《유소(遺疏)》를 구술, 다음과 같은 여한(餘恨)을 남겼다.
 
"신의 나이 75살이오니 죽어도 무엇이 애석하겠습니까. 다만 역적을 토벌하지 못하고 원수를 갚지 못하며, 국권을 회복하지 못하고 강토를 다시 찾지 못하여 4천년 화하정도가 더럽혀져도 부지하지 못하고, 삼천리 강토 선왕의 적자가 어육이 되어도 구원하지 못하였으니, 이것이 신이 죽더라고 눈을 감지 못하는 이유인 것입니다.
 
일본인들은 강제로 그의 입에 음식을 넣었으나 모두 뱉거나 입을 열지 않고 저항하였다. 1907년 1월 1일 쓰시마 섬 감옥에서 순국하였다.
 
 
최익현의 유해는 1월 5일 쓰시마에서 배편으로 경상남도 동래부 초량(草梁)에 닿았다. '춘추대의 일월고충'(春秋大義 日月孤忠) 8자의 만장(輓章)을 앞세운 그의 영구(靈柩)는 연도에 수많은 인파가 늘어서 애도하는 가운데 구포, 성주, 황간, 공주 등지를 거쳐 1월 20일 청양의 본가에 도착, 무동산(舞童山) 기슭에 묻혔다. 1907년 논산군 상월면의 국도변에 안장했다가 뒤에 예산군 관음리로 이장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C%9D%B5%ED%98%84
 
 
 
 
선생은 “이미 소장(疏狀)을 올려 의병을 일으키게 된 연유를 말씀 드렸으니, 나의 진퇴는 관찰사의 직권으로 지휘할 바가 아니다”는 답장을 보냈다. 그리고 다시 남원 진입을 꾀했다. 그러나 남원을 지키고 있는 부대가 왜군이 아니고 우리측 진위대(鎭衛隊)임이 확인되었다. 진위대 측은 “대감이 민병을 해산시키지 않으면 전진이 있을 뿐”이라는 통보를 세 차례나 보내왔다. 선생은 괴로워했다. 선생은 임병찬에게 동포끼리 서로 박해를 하는 것은 원치 않으니 즉시 해산시키라고 명령했다. 쉽사리 흐트러지지 않던 의병들은 눈물을 머금고 해산하였다. 선생 곁에 끝까지 남은 의병은 12명뿐이었다. 4월 23일(양력 6월 14일), 선생 등 의병 일행은 서울로 압송되어 우리 사법부가 아닌 일제에 의해 재판을 받게 된다. ‘대마도 감금 3년’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선생은 1906년 11월 17일(양력 1907년 1월 1일) 단식끝에 한 많은 적지에서 숨을 거두었다.
 
 
1906년 11월 20일(양력 1월 4일) 일본 대마도 수선사(修善寺)에서 임병찬이 제문을 읽은 후 이틀 후에 부산 초량에 닿았는데, 이 소식을 들은 많은 유림시민들은 눈물을 머금고 나와 맞이하였으며 영구(靈柩)를 붙들고 통곡했다. 상여가 마련되어 정산(定山) 본가로 운구하는 곳에 따라 노제로 전송하고 울부짖는 민중들 때문에 하루에 10리 밖에 운구하지 못하였다. 영구는 구포, 김해, 성주, 공주를 거쳐 15일 만에 정산에 도착하여 그 해 4월(양력 5월) 노성 무동산에 안장되었다. 위대한 유학의 거봉(巨峰)이요 항일의 선봉이 되어 독립운동의 선구자가 된 선생의 충혼은 영원히 불멸의 빛이 되어 오늘에 사는 우리의 귀감이 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최익현 [崔益鉉] - 74세 나이로 의병 봉기 (독립운동가)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0565&cid=59011&categoryId=59011
 
 
 
 
최익현의 의병은 첫 항일 전투에서 열악한 무기와 미비한 전투력 탓에 패배를 했고, 전투 현장에서 체포된 그는 서울로 압송되어 한국주차군사령부에 구금되었다가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 위술영 경비대에 이감되었다. 그리고 ‘왜놈 땅에서 난 곡식은 먹지 않겠다’며 단식을 하다가 대마도로 이송된 지 넉 달 만인 11월 17일에 그곳 감옥에서 순국했다. 그러나 그의 항일 의병 운동은 일제하에 되살아나 독립 운동의 원천이 되었다.
 
 
최익현은 선비의 마지막 선택인 무력 항쟁으로 애국을 실천했고, 망국의 고통을 구국 항쟁으로 승화하였다. 타협과 굴절을 외면하고 행동하는 지성으로 투쟁함으로써 조선 선비의 전형을 보여 준 최익현의 치열한 생애는 현실론이 판을 치는 오늘날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충청남도 청양의 모덕사(慕德詞)에 제향되고 포천ㆍ해주ㆍ고창ㆍ곡성ㆍ화순ㆍ무안ㆍ함평ㆍ광산ㆍ구례ㆍ등지에서 봉향되어 그의 높은 지조와 절의를 기리고 있으며, 그를 기리는 춘추대의비(春秋大義碑)가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에 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 공로훈장 중장이 수여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최고령 의병장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선비, 2002. 12. 10., 현암사)
 
 
===작품 배경===
 
===작품 배경===
 +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초량항]]이고,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최익현]]의 영구를 실은 배가 항구에 정박한 오전 8시 경으로 추정된다.<br/>
 +
하늘 오른편에는 '''③ 쌍무지개'''가 그려져 있는데, 실제로 [[최익현]]의 영구를 실은 배가 [[초량항]]에 도착하였을 때 구름이 끼고 가랑비가 내리던 날씨에서 쌍무지개가 서남쪽으로 뻗어 [[상무사]]에 닿았다고 한다.<br/>
 +
[[최익현]]과 함께 의병활동을 주도했던 [[임병찬]]이 저술한 [[대마도일기|『대마도일기(對馬島日記)』]]에는 그 날의 날씨가 묘사되어 있다.
 +
{{Blockquote|"그 날은 일기가 청명(晴明)하였는데, 배에서 내릴 때 '''갑자기 구름이 끼고 흐리더니 빗방울이 떨어지면서 서쪽 하늘에 무지개가 섰었소.''' 상무회사(商務會社)와 각 학교, 거기에 사는 우리 백성 등 1천 5,6백 명이 모여들어 우니 우는 소리가 하늘과 땅을 움직였으며, 여학생 70여 명도 또한 울면서 영구(靈柩)가 쉬고 있는 상무회사(商務會社)로 몰려 들었소. 이 때 천기(天氣)는 도로 개었고...
 +
|출처="[http://e-gonghun.mpva.go.kr/diquest/Search.do#; 대마도일기·반구일기 해제(解題)]", <html><online style="color:purple">『공훈전자사료관』<sup>online</sup></online></html>.}}
 +
이 사실은 대한제국 말기부터 광복까지 애국지사들의 사적을 기록한 [[기려수필|『기려수필(騎驢隨筆)』]]에도 나와 있다.
 +
{{Blockquote|"선생의 대의는 우리 동국에서 천양되고 있나니/ 군자와 소인은 길이 같지 않음을 알겠도다/ 우뚝히 서 나라 위해 몸바쳐 충절의 혼백을 지녔으니/ 화란의 조짐을 막으려 임금께 직언하는 충성이라네/ 사적은 역사에 남고 꽃다운 이름 자부에 올릴 만하니/ '''하늘이 무지개를 보내 상서로운 기운이 붉기도 하도다'''/ 널 앞에서 곡한 후 돌아와 단을 또 세우니/ 누가 다시 나라를 걱정하며 년풍(年豊)을 기원하리오."
 +
|출처="[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403059 의충단 제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그림 읽기===
=='''시각적 안내'''==
+
*국가기록원 기록에 따르면 이 작품은 1991년 11월 30일부터 1992년 11월 29일까지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대여되었습니다.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imagemap>
 
<imagemap>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 「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1976|800px|center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 「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1976|800px|center
poly 437 44 424 51 418 71 424 86 408 97 388 131 388 149 390 170 390 179 444 178 474 177 488 171 493 162 494 151 496 131 485 106 485 95 472 86 460 73 460 55 444 41 444 42 [[손병희]]
 
 
</imagemap>
 
</imagemap>
<gallery mode=packed caption="[[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 heights=150px>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파일: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_스케치.jpg|<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8&gubun=search#1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8]",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06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환국_최익현.jpg|일본 헌병에 최포된 [[최익현]]<ref>류영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3110712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_스케치.jpg| [[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_스케치1.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7&gubun=search 민족기록화7]",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_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jpg|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를 관람중인 최규하 국무총리<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1&gubun=search#1 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gallery>
 
</gallery>
  
=='''관련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mode=packed caption="계몽/항일 소재 작품"  heights=150px  style="float:left"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49/C049.htm 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이의주)]'''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1894년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파일:최대섭-만민공동회-1978s.jpg|1898년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1905년 11월 30일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1906년 5월 [[장리석-홍주성수복]]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1906년 [[정창섭-태백산전투]]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1906년 11월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1907년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1909년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파일:장이석-계몽강연(안창호)-1976s.jpg|1910년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파일:박각순-오산학교(이승훈)-1976s.jpg|1915년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파일:최대섭-독립선언-1976s.jpg|1919년 3월 1일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1919년 3월 1일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1920년 [[손수광-청산리싸움]]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1920년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gallery>
 
<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br/>
 
  
=='''관련항목'''==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49/C04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이의주]]  || {{PAGENAME}} || A는 B를 그렸다 || 1976년
+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이의주]]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최익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초량항]]||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한국학중앙연구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최익현]] || [[을사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대마도일기]] || [[최익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대마도일기]] ||  [[임병찬]]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임병찬]] || [[을사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반구일기]] || [[최익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PAGENAME}}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
| [[반구일기]] || [[최제학]]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
| [[최익현]] || [[최제학]]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PAGENAME}} ||[[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최제학]] || [[을사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한국학중앙연구원]] || {{PAGENAME}} || A는 B를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 [[신돌석]] || [[을사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을사의병]] || [[을사조약]]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항일의병운동]] || [[을사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항일의병운동]] || [[을미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항일의병운동]] || [[정미의병]]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지부복궐상소]] ||[[최익현]]||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876년 2월
+
| [[신돌석]] || [[정미의병]]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헌]] ||[[지부복궐상소]]||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최익현]] || [[지부복궐상소]]||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강화도조약]] || [[지부복궐상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1876년 2월 3일
+
| [[지부복궐상소]] ||[[조헌]]||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시간정보'''==
+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1976년 || [[이의주]]가 {{PAGENAME}}를 그렸다.
+
|1976년 || [[이의주]]가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을 그렸다
 
|-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을 대여하였다
 +
|-
 +
|1876년 2월 || [[최익현]]이 [[지부복궐상소]]를 올렸다
 +
|-
 +
| 1895년 10월 || [[을미의병]]이 일어났다
 +
|-
 +
| 1905년 11월 17일 || [[을사조약]]이 체결되었다
 +
|-
 +
| 1906년 6월 4일-14일 ||[[최익현]]과 [[임병찬]], [[최제학]]이 [[을사의병]]에 참가하였다
 +
|-
 +
| 1906년 10월 19일-12월 22일|| [[최제학]]이 [[반구일기]]를 저술하였다 
 +
|-
 +
| 1907년 1월 1일 || [[최익현]]이 [[대마도]]에서 사망하였다
 +
|-
 +
| 1907년 1월 6일 || [[최익현]]의 유해가 [[초량항]]에 도착하였다
 +
|-
 +
| 1907년 1월-1908년 7월 ||[[임병찬]]이 [[대마도일기]]를 저술하였다 
 
|-
 
|-
 
|}
 
|}
  
=='''공간정보'''==
+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393554 || 127.053661 ||[[한국학중앙연구원]]이 {{PAGENAME}}을 대여하였다
+
| 37.393554 || 127.053661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을 대여하였다
 +
|-
 +
|35.1148246 || 129.0422093|| [[초량항]]은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위치했었다
 
|-
 
|-
 +
| 34.2017458 ||  129.2908041 || [[최익현 선생 순국비]]는 [[최익현]]을 위한 비이다
 
|}
 
|}
 +
*'''항일의병운동 전자지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06/C006.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그래프'''==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항일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오승윤-동학혁명(전봉준)-1976s.jpg|[[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파일:장이석-홍주성수복(민종식)-1975s.jpg|[[장리석-홍주성수복]]
 +
파일:정창섭-태백산전투(신돌석)-1975s.jpg|[[정창섭-태백산전투]]
 +
파일:박기태-박승환순국(박승환)-1976s.jpg|[[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파일:손수광-민충정공순국(민영환)-1976s.jpg|[[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파일:박영선-이등박문총살(안중근)-1976s.jpg|[[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파일:손수광-청산리싸움(김좌진)-1975s.jpg|[[손수광-청산리싸움]]
 +
파일:임직순-봉오동전투(홍범도)-1976s.jpg|[[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
파일: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파일:문학진-삼일운동-1976s.jpg|[[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
</gallery>
  
 +
=='''시각자료'''==
 +
===가상현실===
  
=='''참고문헌'''==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center >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_스케치.jpg| [[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01&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_스케치1.jpg|[[국가기록원]] 소장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07&gubun=search 민족기록화7]",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_최규하국무총리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전람회관람1.jpg|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를 관람중인 최규하 국무총리<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9&dsid=000000000001&gubun=search#1 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환국_최익현.jpg|일본 헌병에 최포된 [[최익현]]<ref>류영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3110712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ref>
 +
파일:민족기록화_작품_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환국_최익현선생순국비.jpg | [[대마도]]에 위치한 [[최익현 선생 순국비]]<ref>류영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2&aid=0003110712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ref>
 +
</gallery>
  
 +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9회 최익현(게시일: 2016년 4월 11일)'''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7ta2yWgeAz4"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계몽/항일]]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http://e-gonghun.mpva.go.kr/diquest/Search.do#; 대마도일기·반구일기 해제(解題)]", 통합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공훈전자사료관』<sup>online</sup></online></html>.
 +
#* 김성진, "[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dataType=99&contents_id=GC01403059 의충단 제영]",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9716 을사의병]",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s://ko.wikipedia.org/wiki/%EC%B5%9C%EC%9D%B5%ED%98%84 최익현]", <html><online style="color:purple">『위키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37 기준 최신판


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
작가 이의주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항일
분류 유화
소장처 미상


정의

1906년 1월 6일 부산 초량항에서 있었던 최익현의 유해 환국 장면을 담은 이의주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이의주-최익현유해환국(최익현)-1976s.jpg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이며 독립운동가이자, 대표적 의병장인 최익현(崔益鉉, 1833~1906)은 1905년 11월 17일 강압적으로 체결된 을사조약(乙巳條約)에 저항하였다. 1906년 6월 14일 끝까지 남아있던 최익현과 13인의 의병장들은 경성부로 압송되었다. 최익현을 비롯한 임병찬(林炳瓚), 고석진(高石鎭), 김기술(金己述), 문달환(文達煥), 임현주(林顯周), 유종규(柳鐘奎), 조우식(趙愚植), 조영선(趙泳善), 최제학(崔濟學), 나기덕(羅基德), 이용길(李容吉), 유해용(柳海瑢)이었다. 2개월간 일본군사령부에 감금된 끝에 최익현임병찬은 8월 하순 대마도 위수영(衛戍營) 경비대로 이감되었다.
최익현은 일본 정부 측의 갖은 협박과 회유를 뿌리치고 단식에 돌입하였고, 1907년 1월 1일 쓰시마 섬 감옥에서 순국하였다.[1]

최익현의 유해는 이듬해 1월 6일 부산 초량항에 도착하였다.이른 아침부터 최익현의 가족들과 문중, 문인과 일반 시민들이 대거 부둣가에 나와 기다렸고, 상무사(商務社) 사원 1천여 명은 큰 상여를 갖추고 큰 글씨로 '춘추대의 일월고충(春秋大義 日月孤忠)' 8자의 만장(輓章)을 비단에 써서 간대에 걸고 나와 영접했다고 한다.[2] 상무사는 유배된 최익현을 돕기 위해 대마도 무역경로를 통해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작품의 중앙에서 빨간 깃발에 흰 글씨로 새겨진 ⑤ '춘추대의 일월고충' 만장(輓章)과, 그 만장 옆으로 상여꾼들이 이고 있는 최익현의 영구(靈柩)를 확인할 수 있다.
최익현의 제자인 권순도(權順度)김영규가 영구를 옮기며 "이 배는 대한의 배요, 이 땅은 대한의 땅입니다."라고 울부짖으니 항구에 나와 있던 시민들이 모두 최익현을 외쳐 부르며 통곡하였다고 하는데, ⑦⑧⑨ 슬퍼하는 시민들의 모습도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늘 왼편에 그려진 구름 한가운데에 흰 옷을 입고 있고, 갓을 쓴 사람은 그의 복장으로 미루어 보아 최익현으로 추정되고, 그의 주변에 모인 많은 이들은 일제에 항거하다 목숨을 거둔 의병들로 추정된다.

작품 배경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초량항이고,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최익현의 영구를 실은 배가 항구에 정박한 오전 8시 경으로 추정된다.
하늘 오른편에는 ③ 쌍무지개가 그려져 있는데, 실제로 최익현의 영구를 실은 배가 초량항에 도착하였을 때 구름이 끼고 가랑비가 내리던 날씨에서 쌍무지개가 서남쪽으로 뻗어 상무사에 닿았다고 한다.
최익현과 함께 의병활동을 주도했던 임병찬이 저술한 『대마도일기(對馬島日記)』에는 그 날의 날씨가 묘사되어 있다.

Quote-left.png "그 날은 일기가 청명(晴明)하였는데, 배에서 내릴 때 갑자기 구름이 끼고 흐리더니 빗방울이 떨어지면서 서쪽 하늘에 무지개가 섰었소. 상무회사(商務會社)와 각 학교, 거기에 사는 우리 백성 등 1천 5,6백 명이 모여들어 우니 우는 소리가 하늘과 땅을 움직였으며, 여학생 70여 명도 또한 울면서 영구(靈柩)가 쉬고 있는 상무회사(商務會社)로 몰려 들었소. 이 때 천기(天氣)는 도로 개었고... Quote-right.png
출처: "대마도일기·반구일기 해제(解題)", 『공훈전자사료관』online.


이 사실은 대한제국 말기부터 광복까지 애국지사들의 사적을 기록한 『기려수필(騎驢隨筆)』에도 나와 있다.

Quote-left.png "선생의 대의는 우리 동국에서 천양되고 있나니/ 군자와 소인은 길이 같지 않음을 알겠도다/ 우뚝히 서 나라 위해 몸바쳐 충절의 혼백을 지녔으니/ 화란의 조짐을 막으려 임금께 직언하는 충성이라네/ 사적은 역사에 남고 꽃다운 이름 자부에 올릴 만하니/ 하늘이 무지개를 보내 상서로운 기운이 붉기도 하도다/ 널 앞에서 곡한 후 돌아와 단을 또 세우니/ 누가 다시 나라를 걱정하며 년풍(年豊)을 기원하리오." Quote-right.png
출처: "의충단 제영",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그림 읽기

이의주 「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이의주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최익현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초량항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한국학중앙연구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최익현 을사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대마도일기 최익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대마도일기 임병찬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임병찬 을사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반구일기 최익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반구일기 최제학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최익현 최제학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최제학 을사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신돌석 을사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을사의병 을사조약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항일의병운동 을사의병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항일의병운동 을미의병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항일의병운동 정미의병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신돌석 정미의병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익현 지부복궐상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지부복궐상소 조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이의주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을 그렸다
1991년 11월 30일-1992년 11월 29일 한국학중앙연구원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을 대여하였다
1876년 2월 최익현지부복궐상소를 올렸다
1895년 10월 을미의병이 일어났다
1905년 11월 17일 을사조약이 체결되었다
1906년 6월 4일-14일 최익현임병찬, 최제학을사의병에 참가하였다
1906년 10월 19일-12월 22일 최제학반구일기를 저술하였다
1907년 1월 1일 최익현대마도에서 사망하였다
1907년 1월 6일 최익현의 유해가 초량항에 도착하였다
1907년 1월-1908년 7월 임병찬대마도일기를 저술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93554 127.053661 한국학중앙연구원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을 대여하였다
35.1148246 129.0422093 초량항은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에 위치했었다
34.2017458 129.2908041 최익현 선생 순국비최익현을 위한 비이다
  • 항일의병운동 전자지도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79회 최익현(게시일: 2016년 4월 11일)

주석

  1. '최익현은 일본 정부...순국하였다' - "최익현", 『위키백과』online.
  2. "대마도일기·반구일기 해제(解題)", 통합검색, 『공훈전자사료관』online.
  3. 류영현,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
  4.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5. "민족기록화7",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6. "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7.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8. "민족기록화7",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9. "최규하 국무총리 민족기록화 구국위업편 전람회 관람",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10. 류영현,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
  11. 류영현, "추모 발 길 줄 잇는 최익현 대마도 순국비", 『세계일보』, 작성일: 2016년 10월 27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