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민족기록화)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6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김지선
 
 
{{틀:민족기록화 Top icon}}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민족기록화_샘플
6번째 줄: 5번째 줄:
 
|작가= [[정창섭]]
 
|작가= [[정창섭]]
 
|제작연도= 1976년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290.9x197cm)
+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유형= 전쟁
 
|분류= 유화
 
|분류= 유화
|소장처=  
+
|소장처= [[전쟁기념관]]
|필드수=7
+
|필드수=8
 
}}
 
}}
=='''개요'''==
+
=='''정의'''==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 |정창섭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976|800px|center
+
1592년([[조선 선조|조선]] 25) [[임진왜란]] 당시 [[금산]]에서 왜군과 싸워 장렬히 순국한 [[조헌]]과 승장 [[영규]]의 전투장면을 그린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ref>"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박물관』<sup>online</sup></online></html>.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234181&cid=51293&categoryId=51293 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설명'''==
 +
===작품 소재===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right|450px]]
 +
[[2차 금산전투]]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화살이 다하였다. 날도 저물어 어두워서 적군이 보이지 않게 되자 [[조헌|조헌(趙憲, 1544~1592)]] 휘하의 의병들의  사기는 떨어지고 적군의 공세는 한층 더 심해졌다. [[조헌]]은 사태가 기울자 말안장을 풀어버리며, 싸움을 지휘하였고, 이를 본 그 휘하의 의병들도 누구 한 사람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싸웠다. 그러나 인원과 무기에서 열세하여 결국 모두 전사하였다.<br/>
 +
 
 +
<div class="center" style="width: auto;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Blockquote|장부가 국난을 당하여 어찌 구차하게 살기를 바랄 것인가. 이 곳이 내가 죽을 땅이다  |출처=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년, 93쪽.<ref>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93쪽.</ref>}}</div>
 +
 
 +
이러한 [[조헌]]의 모습은 작품 중앙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중앙에 그려진 두 명의 장수 중 오른쪽에서 검을 높게 쳐들고 왜군의 검을 맨손으로 막아내고 있는 인물이 '''⑤ [[조헌]]'''으로, 그의 오른편에 안장이 풀린 갈색말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 [[조헌]]의 왼편에서 상의를 입고 있지 않은 왜군을 공격하고 있는 장군은 승병을 이끈 '''⑤ [[영규|영규대사(靈圭大師, ? ~ 1592)]]'''로, 작품에서는 [[영규]]의 승병은 보이지 않는다.<br/>
 +
<gallery mode=packed caption="⑤에 그려진 [[영규]]와 [[조헌]]"  heights=150px >
 +
파일:조헌선생의금산전투_영규.JPG 
 +
파일:조헌선생의금산전투_조헌.JPG
 +
</gallery>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박정희]] 대통령 재임중인 1979년에 문화정책의 일환으로 그려진 그림으로, [[김태]] 화백의 작품이다. 현재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다.<br/>
+
===작품 배경===
해당 작품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겸 지리학자인 [[김정호]]가 답사를 통해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을 담았다.<br/>
+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금산성|금산성(錦山城)]] 북쪽 10리 밖인 [[연곤평|연곤평(延崑坪)]]으로, 현재 [[금산 칠백의총]] 앞에 위치한 들녘이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조헌]][[영규]]가 최후를 맞이하였던 9월 24일 새벽으로, 동이 트고 있는 하늘을 붉게 칠하여 새벽임을 표현하였다.
<center>[[민족기록화 작품 시각화 예시]]</center>
 
  
=='''내용'''==
+
===작품 구도===
이 작품 중앙에는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제작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굽이굽이 솟아있는 산등성이는 마치 수묵화처럼 그려져 있는데, 물을 많이 먹인 먹으로 그려진듯한 산세가 [[김정호]]가 위치한 산의 높이를 가늠할 수 있게 해준다.<br/>
+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ref>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3쪽.</ref>
[[김정호]] 오른편에는 조선 후기 명나라에서 들여온 천리경을 들여다 보는 일꾼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
===그림 읽기===
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
*그림 위에 마우스를 올려 보세요.
<gallery>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imagemap>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 |정창섭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976|800px|center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poly 306 195 293 214 293 225 297 226 297 241 298 256 307 266 317 282 331 290 329 266 313 238 321 230 310 213 315 198 315 198 [[영규]]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박항섭-연안성싸움]]
+
poly 448 138 437 148 441 154 433 186 449 196 445 216 423 222 445 245 455 230 469 242 477 252 487 238 473 210 461 202 487 209 489 197 481 186 473 181 481 172 483 150 469 162 461 174 453 174 451 156 457 150 455 146 [[조헌]]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박석호-추풍령싸움]]
+
</imagemap>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오승우-행주대첩]]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1.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11&gubun=search 민족기록화1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김형구-한산대첩]]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2.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6&gubun=search 민족기록화1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김기창-명량대첩]]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3.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3&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gallery>
 
</gallery>
  
=='''추출정보'''==
+
=='''지식 관계망'''==
===작품정보 연결망===
+
* [https://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조헌선생의 금산전투"(정창섭) 지식관계망''']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네트워크 그래프가 보이지 않는다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html>
 
<html>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김지선/김지선1/김지선_김정호.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32/C032.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html>
 
</html>
  
===관련항목===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노드||width="33%"|관계||width="33%"|노드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PAGENAME}} || ~에 의해 그려지다 ||[[김태]]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정창섭]]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PAGENAME}} || ~에 소장되어 있다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조헌]]||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PAGENAME}} || ~를 소재로 삼다 ||[[김정호]]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영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2차 금산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전쟁기념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감사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PAGENAME}} || ~를 소재로 삼다 ||[[대동여지도]]
 
 
|}
 
|}
  
 
===시간정보===
 
===시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33%"|시간정보명||width="33%"|시간값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1976년 || [[정창섭]]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그렸다
 +
|-
 +
|1991년 10월 20일-1992년 10월 19일 || [[감사원]]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대여하였다.
 +
|-
 +
|1998년-현재 || [[전쟁기념관]]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
|-
 +
|1592년 9월 23일-24일 || [[조헌]]과 [[영규]]가 [[금산전투]]에 참여하였다
 
|-
 
|-
|{{PAGENAME}}||제작연도|| 1979년
 
 
|}
 
|}
  
 
===공간정보===
 
===공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중심||width="20%"|연결정보||width="20%"|공간정보이름||width="20%"|경도||width="20%"|위도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5869491 || 126.9827796 ||[[감사원]]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대여하였다
 +
|-
 +
|37.532103|| 126.914133||[[전쟁기념관]]이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
 
|-
|{{PAGENAME}} ||소장처||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36.3608313 || 127.3832193
+
|36.1303848 || 127.4909374 || [[금산 칠백의총]]은 [[조헌]]과 관련이 있다
 
|}
 
|}
 +
 +
===관련 민족기록화===
 +
<gallery mode=packed caption="조선시대 전쟁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김태-육진개척]]
 +
파일:박석호-추풍령싸움(정기룡)-1975s.jpg|1592년 4월 27일 [[박석호-추풍령싸움]]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1592년 5월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오승우-행주대첩(권율)-1975s.jpg|1592년 7월 [[오승우-행주대첩]]
 +
파일:김형구-한산대첩(이순신)-1975s.jpg|1592년 7월 8일 [[김형구-한산대첩]]
 +
파일:박서보-왜장감화(사명당)-1976s.jpg|1592년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파일: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1592년 8월 18일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파일:박항섭-연안성싸움(이정암)-1975s.jpg|1592년 8월 28일-8월 31일 [[박항섭-연안성싸움]]
 +
파일:김기창-명량대첩(이순신)-1975s.jpg|1597년 9월 16일 [[김기창-명량대첩]]
 +
파일: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1592년 10월 [[강대운-진주성싸움]]
 +
파일:박광진-승군(서산대사)-1976s.jpg|1593년 2월 6일-2월 9일[[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파일:신영상-백마산성훈련(임경업)-1976s.jpg|1634년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gallery>
 +
 +
=='''시각자료'''==
 +
===가상현실===
 +
<html>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2/"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br/>
 +
{{clickable button|[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032/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caption=" "  heights=150px style= center>
 +
파일:조헌선생의금산전투_조헌.JPG|작품 속 조헌
 +
파일:조헌선생의금산전투_영규.JPG |작품 속 영규대사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1.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242&dsid=000000000011&gubun=search 민족기록화11]",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2.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8360&dsid=000000000016&gubun=search 민족기록화16]",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품 정창섭-조헌선생의금산전투 스케치03.jpg|[[국가기록원]] 소장 초기 스케치<ref>"[http://theme.archives.go.kr/viewer/common/archWebViewer.do?bsid=200200056465&dsid=000000000013&gubun=search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sup>online</sup></online></html>, 국가기록원.</ref>
 +
파일:민족기록화_유물유적_금산 칠백의총.jpg|[[금산 칠백의총]]
 +
파일:민족기록화_장소_금산 칠백의총 기념관.jpg|[[영규]]와 [[조헌]] 선생을 기려 세운 [[금산 칠백의총 기념관]]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선생일군순의비.jpg|1603년에 시워진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重峯趙憲先生一軍殉義碑)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선생일군순의비요약.jpg| 중봉조헌선생일군순의비 요약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jpg | 1647년 세워져 700의사의 위패를 모시는 종용사(從容祠)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2.jpg| 종용사 내부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종용사_현판.jpg | 종용사 현판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jpg |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의 파비가 보존된 순의비각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조헌중봉선생일군순의비_안내문.jpg | 중봉 조헌선생 일군 순의비 안내판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2.jpg|순의비 모습
 +
파일:민족기록화_문화유산_금산_칠백의총_순의비각_현판.jpg | 순의비각 현판
 +
</gallery>
 +
 +
===영상===
 +
 +
=='''주석'''==
 +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 "김정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042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인용 및 참조===
* "대동여지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426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1월 31일 확인)
+
#단행본
* "대동여지도 1부 22개의 책에 거대한 조선을 담다",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9&brdType=R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 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 "대동여지도 2부 고산자 김정호, 그를 다시 읽다",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brd/board/229/L/CATEGORY/2337/menu/373?brdCodeField=CATEGORY&brdCodeValue=2337&bbIdx=10877&brdType=R 7분다큐 영상] (2017년 1월 31일 확인)
+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03년.
+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웹 자원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3,01050000,34 금산 칠백의총]",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유산정보』<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주석'''==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조선]][[분류:전쟁]]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문헌]]

2024년 3월 14일 (목) 14:28 기준 최신판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
작가 정창섭
제작연도 1976년
규격 300호(197x290.9cm)
유형 전쟁
분류 유화
소장처 전쟁기념관


정의

1592년(조선 25) 임진왜란 당시 금산에서 왜군과 싸워 장렬히 순국한 조헌과 승장 영규의 전투장면을 그린 정창섭의 민족기록화이다.[1]

설명

작품 소재

민족기록화 인덱스맵 정창섭-금산전투(조선)-1976s.jpg

2차 금산전투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 화살이 다하였다. 날도 저물어 어두워서 적군이 보이지 않게 되자 조헌(趙憲, 1544~1592) 휘하의 의병들의 사기는 떨어지고 적군의 공세는 한층 더 심해졌다. 조헌은 사태가 기울자 말안장을 풀어버리며, 싸움을 지휘하였고, 이를 본 그 휘하의 의병들도 누구 한 사람 물러서지 않고 끝까지 싸웠다. 그러나 인원과 무기에서 열세하여 결국 모두 전사하였다.

Quote-left.png 장부가 국난을 당하여 어찌 구차하게 살기를 바랄 것인가. 이 곳이 내가 죽을 땅이다 Quote-right.png
출처: 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년, 93쪽.[2]

이러한 조헌의 모습은 작품 중앙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작품 중앙에 그려진 두 명의 장수 중 오른쪽에서 검을 높게 쳐들고 왜군의 검을 맨손으로 막아내고 있는 인물이 조헌으로, 그의 오른편에 안장이 풀린 갈색말 한 마리가 그려져 있다. 조헌의 왼편에서 상의를 입고 있지 않은 왜군을 공격하고 있는 장군은 승병을 이끈 영규대사(靈圭大師, ? ~ 1592)로, 작품에서는 영규의 승병은 보이지 않는다.

작품 배경

작품의 공간적 배경은 금산성(錦山城) 북쪽 10리 밖인 연곤평(延崑坪)으로, 현재 금산 칠백의총 앞에 위치한 들녘이다. 작품의 시간적 배경은 조헌영규가 최후를 맞이하였던 9월 24일 새벽으로, 동이 트고 있는 하늘을 붉게 칠하여 새벽임을 표현하였다.

작품 구도

많은 민족기록화들이 부족한 묘사력과 산만하고 평면적인 화면구성으로 인해 군상의 효과를 제대로 창출하지 못하고 있지만, 삼각형 구도와 역광이나 반사광의 효과를 통해 보는 이의 시선을 화면의 중앙으로 이끌어 집약된 '힘'의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3]

그림 읽기

영규조헌정창섭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1976
이 그림에 대한 정보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정창섭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조헌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영규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2차 금산전투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전쟁기념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감사원 A는 B에 대여되었다 A ekc:hasExhibitionAt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976년 정창섭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그렸다
1991년 10월 20일-1992년 10월 19일 감사원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대여하였다.
1998년-현재 전쟁기념관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1592년 9월 23일-24일 조헌영규금산전투에 참여하였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869491 126.9827796 감사원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대여하였다
37.532103 126.914133 전쟁기념관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를 소장하고 있다
36.1303848 127.4909374 금산 칠백의총조헌과 관련이 있다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 현실 - 전체 화면 보기

갤러리

영상

주석

  1. "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 『국립중앙박물관』online. 온라인 참조: "기록화 : 조헌의 금산전투", e뮤지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93쪽.
  3.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93쪽.
  4. "민족기록화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5. "민족기록화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6.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7. "민족기록화11",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8. "민족기록화16",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9. "민족기록화구국위업편13", 『국가기록원 기록물뷰어』online, 국가기록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김인환, 『민족기록화로 본 한국역사』, 월간보훈문화, 2004.
  2. 논문
    • 박혜성, 「1960-1970년대 민족기록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