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전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AKS김지선님이 진주성싸움 문서를 진주전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2차 진주전투)
 
(사용자 10명의 중간 판 6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건정보
 
{{사건정보
|대표명칭 = 진주성싸움
+
|사진=진주전투_기록화_사건.jpg
|이칭별칭 = 진주전투, 진주대첩
+
|사진출처=전쟁기념관
|시대 = 조선
+
|대표명칭=진주전투
|성격 = 군사/전투
+
|한자표기=晉州戰鬪
|날짜 = 1592년 10월5일~10월10일(1차), 1593년6월20일~6월29일(2차)  
+
|영문명칭=
|관련장소 = 경남 진주시(진주성 일원)
+
|이칭=진주성 싸움, 진주대첩
|관련인물·단체 = 김시민, 김성일, 성수경, 이광악, 곽재우, 최경회, 정기룡
+
|유형=군사/전투
|image = 강대운-진주성싸움(김시민)-1975s.jpg
+
|시대=조선
 +
|날짜=1592년 10월5일-10월10일(1차), 1593년6월20일-6월29일(2차)  
 +
|관련인물= [[김시민]], [[서예원]], [[곽재우]], [[김천일]], [[최경회]], [[김성일]]
 +
|관련단체=
 +
|관련장소=
 +
|관련물품=
 +
|관련유물유적=[[진주성]], [[의암]]
 
}}
 
}}
 +
=='''정의'''==
 +
1592년(조선 선조 25) 10월과 1593년 6월 진주(晉州)에서 조선군과 왜군이 벌인 두 차례의 싸움이다.
  
==개요==
+
=='''내용'''==
임진왜란 때 1592년 10월과 1593년 6월 진주(晉州)에서 조선군과 왜군이 벌인 두 차례의 싸움. 1차 진주성싸움은 한산도대첩, 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 3대 대첩으로 불리운다.
+
===지리적 요충지===
 +
[[진주성]]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과 왜군 사이에 치열한 공방전이 일어난 곳이다. 그만큼 [[진주성]]은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진주는 경상도 일대를 관장하는 가장 큰 고을이었으며 고려시대부터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들을 방어하는 기지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부산포를 시작으로 도성 한양까지 파죽지세로 진격했던 왜군들은 점차 경상우도를 중심으로 조선 의병들의 반격활동이 거세지자 점차 후방에서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영남지방 의병활동의 중심에 [[진주성]]이 있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5099 진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br/>
 +
평양성에서 조명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한양으로 후퇴한 왜군은 군량미 부족에 시달렸다. 곡창지대인 호남지역으로 진출하여 안정적인 후방의 보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진주성을 거쳐야만 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5099 진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조선시대 진주는 경상도 일대를 관장하는 가장 큰 고을로 고려시대부터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들을 방어하는 기지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임진왜란 초기 승승장구하며 평양까지 진격한 왜군은 군량미 보급을 위하여 곡창지대인 호남으로의 진출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바닷길에서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에 가로 막힌 왜군은 육로상 호남으로 가는 길목인 진주성을 차지하기 위해 임진왜란 최대의 격전을 벌이게 된다.  
+
===1차 진주전투===
 +
1592년 10월 나가오카 다다오키(長岡忠興) 휘하의 왜군 3만여 명은 수천 개의 대나무 사다리를 만들어 [[진주성]]을 포위 공격하였다. [[진주성]] 안에서는 [[김시민]]이 지휘하는 조선군 3천여 명이 혈전을 벌였고, [[곽재우]]·[[최강]]·[[이달]] 등의 의병부대는 성 밖에 진을 치고 왜군의 배후를 위협하였다. 6일간에 걸친 대접전 끝에 조선군은 왜군을 격퇴했으나 전투를 지휘한 [[김시민]]은 적의 총탄을 맞고 전사했다. 이 싸움의 결과로 조선군은 경상우도를 보존하고 왜군의 전라도 진출을 저지할 수 있었다. [[한산도대첩 | 한산대첩]], [[행주대첩]]과 함께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로 꼽힌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145&cid=42957&categoryId=42957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제1차 진주성 싸움
+
===2차 진주전투===
1592년(선조 25) 10월5일부터 10월 10일까지 벌어진 전투로, 당시  진주성은 진주목사(牧使) 김시민(金時敏)이 지휘한 3,800명의 조선군이 왜군의 공격에 대비하고 있었고 일반 양민 약 2만 명이 진주성 내에 있었다. 진주성은 남쪽으로는 남강이 흐르고 서쪽에는 절벽으로 가로 막힌 천혜의 요새로, 조선군은 성문을 굳게 닫고 왜군의 공격을 효율적으로 막아내는 방어 전술을 펼쳤다.
+
1593년(선조 26) 6월 왜군은 강화회담을 추진하는 한편, 1차 진주성 전투의 패전을 설욕하고 전라도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진주성]]에 대한 총공격을 감행하였다. 이 전투에서는 귀갑차(龜甲車) 등 왜군의 신무기가 총동원되었으며 가토·고니시·구로다 등 왜장이 이끄는 선봉만도 5만여 명에 달하였다. 이에 맞서 싸운 조선군은 [[서예원]] 목사 지휘하에 [[황진]]·[[최경회]] 휘하의 관군과 [[김천일]]지휘하는 의병을 합해 3천여 명에 불과하였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145&cid=42957&categoryId=42957 진주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고중세사사전』<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 지식백과.</ref><br/>
+
10일간 치열하게 계속된 전투에서 [[진주성]]은 중과부적으로 결국 왜군에 함락되고 말았다. [[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은 일본에 있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보내졌는데, 그는 [[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을 김시민의 수급으로 오인했다고 한다.
하세가와 히데카즈(長谷川秀一), 나가오카 다다오키(長岡忠興), 기무라 시게코레(木村重玆) 등이 이끄는 왜군 약 2만 명은 수 천개의 대나무 사다리를 만들어 진주성을 공격하였다. 김시민은 화약을 장치한 대기전(大岐箭)을 쏘게하여 성벽을 기어오르는 왜군의 대나무 사다리를 파괴하고, 마른 갈대에 화약을 싸서 던지거나 끓는 물과 큰 돌을 던지는 등 왜군을 물리쳤다. 병력과 무기의 열세에도 불구하고 필사적으로 싸운 끝에 10배에 이르는 왜군의 공세를 분쇄하였다. 왜군은 6일간의 대접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고 10월 10일에 패주였으나, 전투를 지휘한 진주목사 김시민은 이마에 총상을 입어 그해 11월 22일에 전사하였다. 이 싸움에서는 의병장 곽재우(郭再祐), 정유경, 김준민 등의 의병군들은 외곽에서 적군을 위협하는 협공작전을 펼쳣다. 이 싸움의 승리로 다른 경상도 지역을 보존하였을 뿐만 아니라, 적으로 하여금 호남지방을 넘보지 못하게 하였다.
+
선무원종1등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되었으며, 고종 때 [[진주 창렬사]](彰烈祠)에 제향되었다.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4973&cid=40942&categoryId=33383 네이버 지식백과, '진주대첩']</ref>
+
황진은 적군의 총탄에 맞아 전사하였으며, [[김천일]]은 성이 함락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성에 남아 있던 6만여 군민들도 대부분 왜병에게 학살되었다. 그러나 왜군도 이 싸움에서 커다란 타격을 입고 동남해안으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승전을 기념하여 연회를 벌이던 왜장을 의기 [[논개]]가 촉석루에서 끌어안고 [[남강]]에 몸을 던졌다는 이야기가 전한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145&cid=42957&categoryId=42957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2차 진주성 싸움
+
=='''지식 관계망'''==
제1차 싸움에서 참패로 왜군은 1593년 6월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명령으로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우키타 히데이에(宇喜多秀家)등이 진주성을 재차 공격하였다. 당시 명나라와 화의를 진행중이던 왜군은 경상도와 호남지역을 장악하여 후방의 안정적인 보급과 확실한 교두보로 만든 후 강화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고자 하였다. 곡창지대인 호남지방을 차지하는 전략적인 중요성이 증대되어 반드시 진주성을 공략해야만 했다. 왜군은 6월 15일부터 작전을 개시하여, 18일까지 함안(咸安)·반성(班城)·의령(宜寧)을 점령하고, 19일 9만 3000명의 병력이 진주성을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
* '''[http://dh.aks.ac.kr/Encyves/Graph/A201/A201.htm 학봉 김성일가의 한글 고문서 지식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A141/A141.htm 학봉 김성일이 아내 안동권씨에게 보낸 편지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7/C02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이 당시 진주성에는 진주목사 서예원 휘하의 2400명과 창의사(倡義使) 김천일(金千鎰), 경상우병사(右兵使) 최경회(崔慶會), 충청병사 황진(黃進), 사천현감(泗川縣監) 장윤(張潤), 거제현령 김준민, 의병장 고종후(高從厚)과 이계련(李繼璉), 태인 의병장 민여운(閔汝雲), 순천 의병장 강희열(姜希悅), 김해부사 이종인(李宗仁), 등이 이끄는 의병들이 포진하였다. 진주성에 집결하여 수성을 맡은 병사는 약 6000~7000명의 병력과 약 6만 명의 일반민들이 있었다.
+
===관계정보===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4973&cid=40942&categoryId=33383 네이버 지식백과, '진주대첩']</ref>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그러나, 당시 진주목사 서예원(徐禮元)은 원병으로 와있던 명나라 장수를 상주에서 접대하다가 급히 전투에 참가하느라 진주성을 지휘할 채비를 갖추지 못하였고 진주성 전체의 지휘는 의병장 김천일이 맡게 되어 지휘체제에 혼선이 있었다. 더욱이 진주성 안의 관군,의병,주민 모두 의기로 뭉쳤을 뿐 잘 훈련된 왜군에 대항하기는 처음부터 열세적인 입장에 있었다.
+
|-
<ref>[http://www.grandculture.net/ko/Contents/Index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제2차 진주성전투']</ref>
+
| [[진주전투]] || [[진주성]]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싸움은 6월 22일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되어 산발적으로 공격하던 왜군은 번번히 패퇴하였다. 황진과 이종인, 김천일, 김준민, 장윤 등이 분전하여 왜군의 파상공격을 거듭하여 막아내었지만, 일진일퇴의 치열한 공방 끝에 거의 모든 장병이 전사하고, 29일에 진주성은 함락되었다. 성이 함락되자 왜군은 성안에 남은 군관민 6만 명을 사창(司倉)의 창고에 몰아넣고 모두 불태워 학살하였고 가축도 모두 도살하였다. 이 싸움은 임진왜란 중에 벌어진 전투 가운데 최대의 격전으로 꼽히는데, 비록 싸움에는 패하였으나 왜군도 막대한 손상을 입어 호남으로 진출할 수가 없었다.
+
| [[진주전투]] || [[1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44973&cid=40942&categoryId=33383 네이버 지식백과, '진주대첩']</ref>
+
|-
 
+
| [[진주전투]] || [[2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민족기록화와의 연관성==
+
| [[진주전투]] || [[진주성]] || A는 B에서 일어났다 || A edm:happenedAt B
임진왜란 때 3대첩의 하나인 1차 진주성싸움(1592년10월5일~10월10일)에서 3800명의 군사와 2만명의 백성이 2만여명의 왜군을 물리쳤으나, 다음해 1593년 2차 진주성싸움에서는 성이 함락되고 10만여명의 왜군에 맞서 싸운 군관민 6만여명이 학살당하였다.
+
|-
 
+
| [[김시민]]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성일]]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노드 및 관계 테이블==
+
|-
{| class="wikitable"
+
| [[성수경]]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노드 || 관계 || 노드
+
|-
 +
| [[이광악]]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곽재우]]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정기룡]]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최경회]] || [[1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창렬사]] || [[진주성]]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김시민]]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최경회]]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김천일]]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황진]]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서예원]]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고종후]] || [[진주 창렬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
 +
| [[서예원]]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김천일]]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황진]]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고종후]] || [[2차 진주전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임진왜란 3대 대첩]] || [[1차 진주전투]]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진주성싸움]] || ~에서 발발하였다 || [[진주성]]
+
| [[임진왜란 3대 대첩]] || [[한산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김시민]]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 [[임진왜란 3대 대첩]] || [[행주대첩]]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김성일]]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 [[의암]] || [[진주성]] || A는 B에 위치한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이광악]]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 [[의암]] || [[논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성수경]]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 [[논개]] || [[최경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곽재우]]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 [[논개]] ||[[2차 진주전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최경회]]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정기룡]] || ~에 참전하였다 || [[진주성싸움]]
+
|35.1880365||128.0744779|| [[진주성]][[진주전투]]가 발발한 곳이다
 
|-
 
|-
| [[김시민]] || ~에 배향되었다 || [[창열사]]
+
| 35.1897575 || 128.0797455 || [[촉석루]][[진주성]]에 위치한다
 
|-
 
|-
| [[비격진천뢰]] || ~에서 사용되었다 || [[진주성싸움]]
+
|35.1899242 ||128.0821063 || [[의암]][[진주성]]에 위치한다
 
|-
 
|-
| [[질려포통]] ||  ~에서 사용되었다 || [[진주성싸움]]
+
|35.7116191 || 126.3148848 || [[창렬사]][[진주성]]에 위치한다
 
|}
 
|}
  
==참고==
+
=='''시각자료'''==
 +
===영상===
 +
*'''EBS Culture - 역사채널e, 17 vs 1 전설의 승리(게시일:2016년 01월 14일)'''
 +
<html>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uqibA3aJYJo"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웹 자원
 +
#* 김석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918 진주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강병수, "[http://jinju.grandculture.net/Contents?local=jinju&dataType=01&contents_id=GC00402217 2차 진주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진주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지승종, "[http://jinju.grandculture.net/Contents?local=jinju&dataType=01&contents_id=GC00403207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디지털진주문화대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55099 진주대첩]",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145&cid=42957&categoryId=42957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
[[분류:민족기록화]][[분류:사건]][[분류:조선]][[분류:군사]]
 

2022년 10월 22일 (토) 15:12 기준 최신판

진주전투(晉州戰鬪)
전쟁기념관
대표명칭 진주전투
한자표기 晉州戰鬪
이칭 진주성 싸움, 진주대첩
유형 군사/전투
시대 조선
날짜 1592년 10월5일-10월10일(1차), 1593년6월20일-6월29일(2차)
관련인물 김시민, 서예원, 곽재우, 김천일, 최경회, 김성일
관련유물유적 진주성, 의암


정의

1592년(조선 선조 25) 10월과 1593년 6월 진주(晉州)에서 조선군과 왜군이 벌인 두 차례의 싸움이다.

내용

지리적 요충지

진주성임진왜란 당시 조선과 왜군 사이에 치열한 공방전이 일어난 곳이다. 그만큼 진주성은 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조선시대 진주는 경상도 일대를 관장하는 가장 큰 고을이었으며 고려시대부터 남해안에 출몰하는 왜구들을 방어하는 기지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부산포를 시작으로 도성 한양까지 파죽지세로 진격했던 왜군들은 점차 경상우도를 중심으로 조선 의병들의 반격활동이 거세지자 점차 후방에서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영남지방 의병활동의 중심에 진주성이 있었다.[1]
평양성에서 조명연합군의 공격을 받고 한양으로 후퇴한 왜군은 군량미 부족에 시달렸다. 곡창지대인 호남지역으로 진출하여 안정적인 후방의 보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진주성을 거쳐야만 했다.[2]

1차 진주전투

1592년 10월 나가오카 다다오키(長岡忠興) 휘하의 왜군 3만여 명은 수천 개의 대나무 사다리를 만들어 진주성을 포위 공격하였다. 진주성 안에서는 김시민이 지휘하는 조선군 3천여 명이 혈전을 벌였고, 곽재우·최강·이달 등의 의병부대는 성 밖에 진을 치고 왜군의 배후를 위협하였다. 6일간에 걸친 대접전 끝에 조선군은 왜군을 격퇴했으나 전투를 지휘한 김시민은 적의 총탄을 맞고 전사했다. 이 싸움의 결과로 조선군은 경상우도를 보존하고 왜군의 전라도 진출을 저지할 수 있었다. 한산대첩, 행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로 꼽힌다.[3]

2차 진주전투

1593년(선조 26) 6월 왜군은 강화회담을 추진하는 한편, 1차 진주성 전투의 패전을 설욕하고 전라도로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해 진주성에 대한 총공격을 감행하였다. 이 전투에서는 귀갑차(龜甲車) 등 왜군의 신무기가 총동원되었으며 가토·고니시·구로다 등 왜장이 이끄는 선봉만도 5만여 명에 달하였다. 이에 맞서 싸운 조선군은 서예원 목사 지휘하에 황진·최경회 휘하의 관군과 김천일이 지휘하는 의병을 합해 3천여 명에 불과하였다.[4]
10일간 치열하게 계속된 전투에서 진주성은 중과부적으로 결국 왜군에 함락되고 말았다. 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은 일본에 있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보내졌는데, 그는 서예원(徐禮元)의 수급을 김시민의 수급으로 오인했다고 한다. 선무원종1등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병조참의(兵曹參議)에 추증되었으며, 고종 때 진주 창렬사(彰烈祠)에 제향되었다. 황진은 적군의 총탄에 맞아 전사하였으며, 김천일은 성이 함락되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성에 남아 있던 6만여 군민들도 대부분 왜병에게 학살되었다. 그러나 왜군도 이 싸움에서 커다란 타격을 입고 동남해안으로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승전을 기념하여 연회를 벌이던 왜장을 의기 논개가 촉석루에서 끌어안고 남강에 몸을 던졌다는 이야기가 전한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진주전투 진주성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A ekc:depicts B
진주전투 1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진주전투 2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진주전투 진주성 A는 B에서 일어났다 A edm:happenedAt B
김시민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성일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성수경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이광악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곽재우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정기룡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최경회 1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창렬사 진주성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김시민 진주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최경회 진주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김천일 진주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황진 진주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서예원 진주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고종후 진주 창렬사 A는 B에 제향되었다 A ekc:isEnshrinedIn B
서예원 2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천일 2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황진 2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고종후 2차 진주전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임진왜란 3대 대첩 1차 진주전투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 대첩 한산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임진왜란 3대 대첩 행주대첩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의암 진주성 A는 B에 위치한다 A edm:currentLocation B
의암 논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논개 최경회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논개 2차 진주전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5.1880365 128.0744779 진주성진주전투가 발발한 곳이다
35.1897575 128.0797455 촉석루진주성에 위치한다
35.1899242 128.0821063 의암진주성에 위치한다
35.7116191 126.3148848 창렬사진주성에 위치한다

시각자료

영상

  • EBS Culture - 역사채널e, 17 vs 1 전설의 승리(게시일:2016년 01월 14일)

주석

  1. "진주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진주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3.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4.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online, 네이버 지식백과.
  5.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김석희, "진주전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강병수, "2차 진주성전투", 『디지털진주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지승종, "임진왜란과 진주성전투", 『디지털진주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진주대첩",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고중세사사전』, 가람기획, 2007. 온라인 참조: "진주성전투", 한국고중세사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