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고려2)"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8번째 줄: 18번째 줄:
  
 
[[서씨일가연합회]] [[https://band.us/@seosarang]]
 
[[서씨일가연합회]] [[https://band.us/@seosarang]]
 +
 +
본관은 [[이천 서씨]](利川徐氏)  
 +
 +
 +
[[이천 서씨]] 시조의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부총리)의 세손 . 
 +
 +
2세 [[서필]](徐弼 내의령(內議省).종 1품.국무총리)
 +
 +
3세 [[서희]](徐熙 내사령(內史令).종 1품.국무총리)
 +
 +
4세 [[서유걸]](徐維傑 좌복야(左僕射).정 2품.부총리)
 +
 +
5세 [[서존]](徐存 병부상서(兵部尙書).정 3품.장관)
 +
 +
6세 [[서청습]](徐淸習 금오위별장 동정(金吾衛別將同正).
 +
 +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정 3품.장관)
 +
 +
7세 [[서효리]](徐孝理  문림랑(文林郞) 태창서승(太倉署丞)
 +
 +
      좌복야((左僕射).정 2품. 부총리)
 +
 +
8세 [[서찬]](徐贊 백주지사(白州知事)  중현대부(中顯大夫).
 +
 +
       감문위 대호군(大護軍)(대장군). 종 3품.차관)
 +
 +
9세 [[서희팔]](徐希八 흥위위 보승별장(興威衛 保勝別將=현재 군장성급).  
 +
 +
      정당문학(政堂文學.) 종 2품 .부총리) 

2022년 10월 1일 (토) 06:14 판

대장군 서희(徐曦)


이천서씨는 통일신라 아간대부 서신일(徐神逸),내의령 서필(徐弼),내사령 서희(徐熙),문하시중 서눌(徐訥) 좌복야 서유걸(徐惟傑),평장사 서정(徐靖),우복야 서균(徐均) 판대부사 서린(徐嶙), 평장사 서공(徐恭) 추밀원사 서순(徐淳) 등 7대가 연속 재상이 되어 고려의 최고 문벌 귀족 가문으로 성장한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 서씨(달성 서씨 대구 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연산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직(徐稷 연성군)-서준영(徐俊英 연성군)- 서보(徐寶 연성군) 으로 이어진다.

부여 서씨 계보는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춘(徐椿 판내부사사 정2품.부총리 재상) 서박(徐樸 봉례공) 으로 이어진다.

남양당성 서씨 (남양 서씨 당성 서씨) 계보는 서간(徐趕 태사.남양군. 종1품. 국무총리 재상)-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유걸(徐惟傑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존(徐存 병부상서 정3품. 장관)-서청습(徐淸習 판전의시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효리(徐孝理 좌복야 정2품.부총리 재상)-서찬(徐贊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희팔(徐希八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서적(徐迪남양군)으로 이어진다.

 중화 서씨(中華徐氏) 계보는 단군조선 여수기(余守己)-번한조선(番韓朝鮮) 서우여(徐于餘)-고조선(古朝鮮) 소호(少昊), 고도(皋陶), 백익(伯益)의 아들 약목(若木)-서국(徐國)에 30세 서구왕(駒王=徐駒王), 32세 서언왕(徐偃王)-진나라 재상 서복(徐福)-삼국시대(三國時代) 서선(徐宣),서유자(徐孺子; 徐穉) 서서(徐庶), 오(吳) 나라에는 서성(徐盛),부여 동명왕(東明王),백제 온조왕(溫祚王)근초고왕(近肖古王)무령왕(武寧王)-의자왕(義慈王)부여융(扶餘隆),신라 서두라(徐豆羅)- 남송(南宋) 서희(徐煕), 서도(徐道), 서도(徐度), 서숙향(徐叔嚮), 서중융(徐仲融), 서문백(徐文伯), 서사백(徐嗣伯)- 북제(北齊) 서지재(徐之才), 서임경(徐林卿), 서동경(徐同卿)- 원위(元魏) 서건(徐謇), 서웅(徐雄)- 수 나라 서민제(徐敏齊) -.명나라 말기 호족 서수휘(徐壽輝)청나라- 지리학자 서하객(徐震客),대학자 서광계(徐光啓)

서씨일가연합회 [[1]]

본관은 이천 서씨(利川徐氏)  


이천 서씨 시조의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부총리)의 세손 . 

2세 서필(徐弼 내의령(內議省).종 1품.국무총리)

3세 서희(徐熙 내사령(內史令).종 1품.국무총리)

4세 서유걸(徐維傑 좌복야(左僕射).정 2품.부총리)

5세 서존(徐存 병부상서(兵部尙書).정 3품.장관)

6세 서청습(徐淸習 금오위별장 동정(金吾衛別將同正).

      판전의시사(判典儀寺事).정 3품.장관)

7세 서효리(徐孝理  문림랑(文林郞) 태창서승(太倉署丞)

      좌복야((左僕射).정 2품. 부총리)

8세 서찬(徐贊 백주지사(白州知事)  중현대부(中顯大夫).

       감문위 대호군(大護軍)(대장군). 종 3품.차관)

9세 서희팔(徐希八 흥위위 보승별장(興威衛 保勝別將=현재 군장성급).  

      정당문학(政堂文學.) 종 2품 .부총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