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2번째 줄: 12번째 줄:
 
}}
 
}}
 
=='''작가소개'''==
 
=='''작가소개'''==
김태는 한국의 대표적인 월남 화가이자, 서양화가이다.<br/>
+
[[김태]]는 한국의 대표적인 월남 화가이자, 서양화가이다. 1931년 3월 13일 함경도 홍원군 삼호면에서 출생한 그는 1950년 평양미술대학 2학년 때 6·25가 발발하자 1·4 후퇴 때 단신 월남하여 돛단배에 몸을 싣고 천신만고 끝에 속초에 도착하였다. 1950-1951년 부산 및 거제도 수용소 생활을 거치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입학하였으나, 평양미술학교 학력이 인정되지 않아 입학시험을 치르고 신입생이 되어야 했다.<ref>[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83810/1/2011_7.pdf 조은정,「6.25전쟁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조형 아카이브』, 제2호, 2010, 284쪽.]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
그의 작품은 19세기 대표적인 인상파 화가인 폴 세잔에 의해 이루어진 회화적 태도가 드러난다는 평을 받는다.<br/>
 +
폴 세잔은 "자연은 표면보다 내부의 깊이에 있다"고 말하고 정확한 묘사를 위해 사과를 썩을 때까지 그렸다는 일화가 있다. 이처럼 세잔은 인상파의 사실주의를 추진시켜 단순한 시각적ㆍ현상적 사실에서 다시 근본적인 물체의 파악, 즉 자연의 형태가 숨기고 있는 내적 생명을 묘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ref>"자연은 표면보다...두었다"-[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2179&cid=43671&categoryId=43671 "세잔", 네이버 인명 사전]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br/>
 +
화가 [[김태]]도 실향의 아픔을 딛고 자연을 형성하고 있는 사물의 구조나 조직을 근원적으로 탐구하여 거친 색감으로 표현하여 부드러움과 우아함을 보여준다.<ref>[http://blog.naver.com/sikyongsik/120018080452 "잃어버린 고향부두를 그리며-김태", 네이버 블로그]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생애'''==
+
=='''학력'''==
*1931년 3월 13일 함경도 홍원군 삼호면에서 출생하였다.
 
 
*1949년 평양미술대학에 진학
 
*1949년 평양미술대학에 진학
*1950년 평양미술대학 2학년 때 6·25가 발발하자 1·4 후퇴 때 단신 월남하여 돛단배에 몸을 싣고 천신만고 끝에 속초에 도착하였다. 
 
*1950-1951년 부산 및 거제도 수용소 생활을 거치고,
 
*1952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입학하였다. 평양미술학교 학력이 인정되지 않아 입학시험을 치르고 신입생이 되어야 했다.<ref>[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83810/1/2011_7.pdf 조은정,「6.25전쟁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조형 아카이브』, 제2호, 2010, 284쪽.]인용,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195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1957년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학력'''==
 
 
*1955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1955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1957 서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57년 석사학위)
 
*1957 서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57년 석사학위)
34번째 줄: 29번째 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명예교수
 
*한국카톨릭미술협회 회원
 
*한국카톨릭미술협회 회원
 
 
=='''작품세계'''==
 
그의 작품은 19세기 대표적인 인상파 화가인 폴 세잔에 의해 이루어진 회화적 태도가 드러난다는 평을 받는다.<br/>
 
폴 세잔은 "자연은 표면보다 내부의 깊이에 있다"고 말하고 정확한 묘사를 위해 사과를 썩을 때까지 그렸다는 일화가 있다. 이처럼 세잔은 인상파의 사실주의를 추진시켜 단순한 시각적ㆍ현상적 사실에서 다시 근본적인 물체의 파악, 즉 자연의 형태가 숨기고 있는 내적 생명을 묘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ref>"자연은 표면보다...두었다"-[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2179&cid=43671&categoryId=43671 "세잔", 네이버 인명 사전]에서 발췌, 2016년 12월 26일 검색</ref><br/>
 
화가 김태도 실향의 아픔을 딛고 자연을 형성하고 있는 사물의 구조나 조직을 근원적으로 탐구하여 거친 색감으로 표현하여 부드러움과 우아함을 보여준다.<ref>[http://blog.naver.com/sikyongsik/120018080452 "잃어버린 고향부두를 그리며-김태", 네이버 블로그]에서 인용, 2016년 12월 26일 확인</ref>
 
  
 
=='''민족기록화와 작가'''==
 
=='''민족기록화와 작가'''==
83번째 줄: 72번째 줄:
 
*1990년, 한국일보기획 "백두산으로 가는길" 전, 롯데미술관
 
*1990년, 한국일보기획 "백두산으로 가는길" 전, 롯데미술관
 
*1990년, 한국미술-오늘의상황전, 예술의전당
 
*1990년, 한국미술-오늘의상황전, 예술의전당
*1991년 5월 1일-5월 11일, 개인전, 선화랑
+
*1991년 5월 1일-5월 11일, 초대개인전, 선화랑
 
*1992년, '92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92년, '92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93년, 전관개관기념 현대미술전, 예술의전당
 
*1993년, 전관개관기념 현대미술전, 예술의전당
95번째 줄: 84번째 줄:
 
*1997년 4월 16일-4월 30일, 개인전, 모란갤러리
 
*1997년 4월 16일-4월 30일, 개인전, 모란갤러리
 
*2000년 2월 29일, 한국미술99전-인간.자연.사물, 국립현대미술관
 
*2000년 2월 29일, 한국미술99전-인간.자연.사물,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수상'''==
 
  
 
=='''주요작품'''==
 
=='''주요작품'''==
* 민족기록화
 
 
<gallery>
 
<gallery>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 [[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75년作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 [[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75년作  
110번째 줄: 96번째 줄:
 
</gallery>
 
</gallery>
  
* 민족기록화 외 작품
+
=='''민족기록화'''==
<span style="color: red">''민족기록화 외 작품이 있을 경우 넣어주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
<gallery>
 +
파일:김태-오라산성함락(이성계)-1975s.jpg | [[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
파일:김태-육진개척(김종서)-1975s.jpg | [[김태-육진개척]]
 +
파일:김태-정암진싸움(곽재우)-1976s.jpg |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파일:김태-황룡사건축-1977s.jpg | [[김태-황룡사의 조영]]
 +
파일:김태-대동여지도(김정호)-1979s.jpg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gallery>
  
=='''노드 및 관계'''==
+
=='''관련항목'''==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노드 || 관계 ||클래스|| 노드 || 설명
+
!항목A||width="33%"|항목B||width="33%"|관계
 +
|-
 +
|{{PAGENAME}} ||[[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 A는 B를 그렸다
 +
|-
 +
|{{PAGENAME}} ||[[김태-육진개척]] || A는 B를 그렸다
 +
|-
 +
|{{PAGENAME}}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A는 B를 그렸다
 +
|-
 +
|{{PAGENAME}} ||[[김태-황룡사의 조영]]|| A는 B를 그렸다
 +
|-
 +
|{{PAGENAME}}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A는 B를 그렸다
 
|-
 
|-
|[[김태]]||creates||민족기록화||[[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김태]]의 작품이다.
 
 
|}
 
|}
  
=='''관련 항목'''==
+
=='''그래프'''==
  
 
=='''참고문헌'''==
 
=='''참고문헌'''==
==='''학술지'''===
+
*사이트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83810/1/2011_7.pdf 조은정,「6.25전쟁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조형 아카이브』, 제2호, 2010, 261-295쪽.]  
+
**[http://monthlyart.com/dicwho/%EA%B9%80%ED%83%9C-2/ "김태", 월간미술] (2016년 12월 26일 확인)
 +
**[http://www.goodnewspeople.com/read.php3?aid=12384612943174007 고윤석, "<예술혼 산책> 구상화가 김태(金泰)", 『굿뉴스피플』, 2009. 3. 31.] (2016년 12월 26일 확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2179&cid=43671&categoryId=43671 "세잔", 네이버 인명 사전] (2016년 12월 26일 검색)
 +
**[http://blog.naver.com/boggi04/60102178513 "(김복기@칼럼) 분단의 미술사, 분단의 화가", 김복기의 Art 25시] (2016년 12월 26일 확인)
 +
**[http://blog.naver.com/sikyongsik/120018080452 "잃어버린 고향부두를 그리며-김태"] (2016년 12월 26일 확인)
  
==='''웹 사이트'''===
+
*오프라인
*[http://monthlyart.com/dicwho/%EA%B9%80%ED%83%9C-2/ "김태", 월간미술] 2016년 12월 26일 확인
+
**[http://s-space.snu.ac.kr/bitstream/10371/83810/1/2011_7.pdf 조은정,「6.25전쟁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조형 아카이브』, 제2호, 2010, 261-295쪽.]  
 
+
**정명목 서용선 진행, 「작가와의 대담」, 『김태, 1952–197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1996.
'''온라인 기사'''<br/>
 
*[http://www.goodnewspeople.com/read.php3?aid=12384612943174007 고윤석, "<예술혼 산책> 구상화가 김태(金泰)", 『굿뉴스피플』, 2009. 3. 31.], 2016년 12월 26일 확인
 
 
 
'''온라인 사전'''<br/>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2179&cid=43671&categoryId=43671 "세잔", 네이버 인명 사전], 2016년 12월 26일 검색
 
**원천자료: 사전
 
***"세잔", 인명사전, 인명사전편찬위원회, 2002. 1. 10., 민중서관
 
 
 
'''개인 웹사이트'''
 
*[http://blog.naver.com/boggi04/60102178513 "(김복기@칼럼) 분단의 미술사, 분단의 화가", 김복기의 Art 25시] 네이버 블로그, 2016년 12월 26일 확인
 
**원천자료: 잡지 - 월간 잡지
 
***김복기, "북녘화가 100인, 그 잃어버린 얼굴을 찾아서", 『 Art』, 2000년, 07.
 
*[http://blog.naver.com/sikyongsik/120018080452 "잃어버린 고향부두를 그리며-김태"] 네이버 블로그, 2016년 12월 26일 확인
 
  
 
=='''각주'''==
 
=='''각주'''==
 
<references/>
 
<references/>
  
=='''추가자료'''==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
*정명목 서용선 진행, 「작가와의 대담」, 『김태, 1952–1972』,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1996.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2017년 3월 16일 (목) 00:09 판

틀:작가정보 김지선

작가소개

김태는 한국의 대표적인 월남 화가이자, 서양화가이다. 1931년 3월 13일 함경도 홍원군 삼호면에서 출생한 그는 1950년 평양미술대학 2학년 때 6·25가 발발하자 1·4 후퇴 때 단신 월남하여 돛단배에 몸을 싣고 천신만고 끝에 속초에 도착하였다. 1950-1951년 부산 및 거제도 수용소 생활을 거치고,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입학하였으나, 평양미술학교 학력이 인정되지 않아 입학시험을 치르고 신입생이 되어야 했다.[1] 그의 작품은 19세기 대표적인 인상파 화가인 폴 세잔에 의해 이루어진 회화적 태도가 드러난다는 평을 받는다.
폴 세잔은 "자연은 표면보다 내부의 깊이에 있다"고 말하고 정확한 묘사를 위해 사과를 썩을 때까지 그렸다는 일화가 있다. 이처럼 세잔은 인상파의 사실주의를 추진시켜 단순한 시각적ㆍ현상적 사실에서 다시 근본적인 물체의 파악, 즉 자연의 형태가 숨기고 있는 내적 생명을 묘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2]
화가 김태도 실향의 아픔을 딛고 자연을 형성하고 있는 사물의 구조나 조직을 근원적으로 탐구하여 거친 색감으로 표현하여 부드러움과 우아함을 보여준다.[3]

학력

  • 1949년 평양미술대학에 진학
  • 1955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 1957 서울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졸업. ('57년 석사학위)

경력

  • 한국미술협회 회원
  • 한국신미술협회 회원
  • 한국수채화작가회전 회원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교수(1996년 8월)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명예교수
  • 한국카톨릭미술협회 회원

민족기록화와 작가

작가 class는 민족기록화 작가에게만 부여된 class이므로, 작가와 해당 민족기록화와 관련된 자료가 있을 경우 필요한 목차라고 생각했습니다.

전시

  • 1954년-1958년, 제3,4,5,7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입선, 경복궁미술관
  • 1961년-1971년, 제1-10회 앙가쥬망동인전, 국립도서관전시실
  • 1963년, 한국미술협회창립기념전
  • 1967년, 민족기록화전
  • 1970년, 서울미술대학 미술관개관기념전, 서울미술대학교 가설미술관
  • 1973년, 한국현역작가100인전 국립현대미술관
  • 1974년, 제10회 아시아현대미술전, 동경 우에노모리화랑
  • 1974년 12월 12일-12월 18일, 개인전, 양지화랑
  • 1975년, 김형구&김태 2인전, 신세계화랑
  • 1976년, 서양화100인전 문화화랑
  • 1976년, 개관기념전, 명동화랑
  • 1977년, 한국현대미술대전; 서양화, 국립현대미술관
  • 1977년 11월 23일-30일, 개인전, 문화화랑
  • 1977년, 개인전, 대구 이목화랑
  • 1977년, 카톨릭미술전, 신세계미술관
  • 1978년, 강원&오승우&김태 3인전, 광주 현대화랑
  • 1978년, 서양화중견작가, 신세계미술관
  • 1978년-1981년, 한국카톨릭미술협회전, 미술회관
  • 1979년,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 전, 미술회관
  • 1979년, 개인전, 광주 현대화랑
  • 1979년, 세종미술초대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관
  • 1979년, 한국수채화9인전, 샘터화랑
  • 1979년, 유화가33인담채화전, 신세계미술관
  • 1980년, 개인전, 대구 이목화랑
  • 1980년-1981년, 제1-2회 한국현대미술대전, 미술회관등
  • 1981년, 한국미술 '81 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1년, 서양화가의 눈으로 본 한국의 자연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2년 5월 11일-16일, 개인전, 신세계미술관
  • 1982년-1985년, '82-'85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4년-1996년, 한국수채화작가회전, 미술회관
  • 1985년 5월 22일-29일, 개인전, 예화랑
  • 1985년, 현대미술40년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6년-1991년, '86-'91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86년, 한국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7년-1990년, '87, '90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88년, 한국현대미술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0년, 한국일보기획 "백두산으로 가는길" 전, 롯데미술관
  • 1990년, 한국미술-오늘의상황전, 예술의전당
  • 1991년 5월 1일-5월 11일, 초대개인전, 선화랑
  • 1992년, '92 현대미술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 1993년, 전관개관기념 현대미술전, 예술의전당
  • 1994년, '94 서울미술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4년, 서울국제현대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 1994년, 서울풍경의 변천전, 예술의전당
  • 1994년, 서울미술 신춘서양화초대전, 서울갤러리
  • 1995년, 가고싶다.보고싶다.그곳에展-DMZ특별전, 선화랑
  • 1996년, 대한민국원로작가초대전, 서울시립미술관
  • 1996년 9월 18일-10월 4일, 개인전 1952-1972, 서울대학교박물관 현대미술전시실
  • 1997년 4월 16일-4월 30일, 개인전, 모란갤러리
  • 2000년 2월 29일, 한국미술99전-인간.자연.사물, 국립현대미술관

수상

주요작품

민족기록화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김태 김태-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A는 B를 그렸다
김태 김태-육진개척 A는 B를 그렸다
김태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A는 B를 그렸다
김태 김태-황룡사의 조영 A는 B를 그렸다
김태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A는 B를 그렸다

그래프

참고문헌

각주

  1. 조은정,「6.25전쟁과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조형 아카이브』, 제2호, 2010, 284쪽. (2016년 12월 26일 확인)
  2. "자연은 표면보다...두었다"-"세잔", 네이버 인명 사전 (2016년 12월 26일 확인)
  3. "잃어버린 고향부두를 그리며-김태", 네이버 블로그 (2016년 12월 26일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