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 서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3번째 줄: 23번째 줄:
 
== 역사 ==
 
== 역사 ==
 
[[이천서씨]] 아간공 [[서신일]]  후손인 시조 '''[[서준영]]'''(徐俊英)의 아들 서보(徐寶)가 있었으나 이후 문헌이 없어서 조선조에서 참군(參軍)을 지낸 '''서의민'''(徐義敏)을 1세조로 한다. 2세손 서종수(徐宗秀)가 현감(縣監)을 지냈고, 서종수의 아들 서련(徐憐)이 제주판관(濟州判官)을 역임하였다. 서련의 아들 서천령(徐千齡)은 1546년(명종 1년)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이천서씨]] 아간공 [[서신일]]  후손인 시조 '''[[서준영]]'''(徐俊英)의 아들 서보(徐寶)가 있었으나 이후 문헌이 없어서 조선조에서 참군(參軍)을 지낸 '''서의민'''(徐義敏)을 1세조로 한다. 2세손 서종수(徐宗秀)가 현감(縣監)을 지냈고, 서종수의 아들 서련(徐憐)이 제주판관(濟州判官)을 역임하였다. 서련의 아들 서천령(徐千齡)은 1546년(명종 1년)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
 +
== 본관 ==
 +
연산(連山)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일대의 옛 지명이다. [[백제]]의 황등야군(黃等也郡)인데,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황산군(黃山郡)으로 고쳤고, 940년(고려 태조 23년)에 연산군(連山郡)으로 고쳤으며, 1413년(조선 태종 13년)에 연산현이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충청도 연산현의 토성(土姓)으로 [[은진 송씨|송]](宋)·서(徐)·손(孫)·고(高) 4성이 기록되어 있다.<ref>[http://sillok.history.go.kr/id/kda_40005003_009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연산현]</ref> 1914년 [[연산면]] 등 5개 면으로 나누어 [[논산군]]에 통합되었고, 1996년 [[논산시]]로 승격되었다.

2022년 2월 20일 (일) 11:58 판

| 성씨 = 연산 서씨 (連山 徐氏)

| 관향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 시조 = 서준영(徐俊英)

| 중시조 = 서의민(徐義敏)

| 집성촌 = 충청남도 홍성군
충청남도 서산시

| 년도 = 2015

| 인물 = 서해조, 서병덕, 서기철, 서철모

| 인구 = 7,510명

| 순위 =

| 비고 =

연산 서씨(連山 徐氏)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역사

이천서씨 아간공 서신일 후손인 시조 서준영(徐俊英)의 아들 서보(徐寶)가 있었으나 이후 문헌이 없어서 조선조에서 참군(參軍)을 지낸 서의민(徐義敏)을 1세조로 한다. 2세손 서종수(徐宗秀)가 현감(縣監)을 지냈고, 서종수의 아들 서련(徐憐)이 제주판관(濟州判官)을 역임하였다. 서련의 아들 서천령(徐千齡)은 1546년(명종 1년)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본관

연산(連山)은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일대의 옛 지명이다. 백제의 황등야군(黃等也郡)인데, 757년(신라 경덕왕 16년)에 황산군(黃山郡)으로 고쳤고, 940년(고려 태조 23년)에 연산군(連山郡)으로 고쳤으며, 1413년(조선 태종 13년)에 연산현이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충청도 연산현의 토성(土姓)으로 (宋)·서(徐)·손(孫)·고(高) 4성이 기록되어 있다.[1] 1914년 연산면 등 5개 면으로 나누어 논산군에 통합되었고, 1996년 논산시로 승격되었다.
  1. 세종실록 149권,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연산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