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천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한자표기= 朝天錄
 
|한자표기= 朝天錄
 
|영문명칭=
 
|영문명칭=
|이칭= 됴텬녹
+
|이칭=  
 
|유형=  
 
|유형=  
|저자=  
+
|저자= [[이항복|이항복(李恒福)]]
 
|역자=
 
|역자=
 
|편자=  
 
|편자=  
|저술시기=
+
|저술시기=  
|간행시기=  
+
|간행시기= 1629년
 
|간행처=
 
|간행처=
 
|간행지=
 
|간행지=
 
|간행인=
 
|간행인=
 
|시대= 조선시대
 
|시대= 조선시대
|수량= 1권
+
|수량=  
 
|크기=
 
|크기=
 
|판본=
 
|판본=
29번째 줄: 29번째 줄:
  
 
=='''정의'''==
 
=='''정의'''==
조선 전기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작품집.
+
[[이항복]]이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올 때의 기록을 엮은 책이다.
  
 
=='''내용'''==
 
=='''내용'''==
편자 편찬연대 미상의 작품집. 한장(韓裝) 1책. 궁체국문 필사본. 원제는 ≪됴텬녹≫이다. 수록작품은 수필 · 가사 · 소설 등으로, <됴텬녹> · <한화희등황후> · <쇼통현뎐> · <교구련뎐> · <시풍경녹> · <됴비연합덕의뎐> 등 6편이다. <됴텬녹>은 인조반정으로 새 임금이 된 인조의 등극을 중국 명나라 왕실에 알리기 위하여 조선에서 파견한 반정사실 주청사행(奏請使行)의 일원으로 부사를 따라갔던 자가 지은 기행수필이다.
+
[[이항복|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1556-1618)]]이 1598년([[조선 선조|선조]] 31)에 [[정응태 무고사건|정응태의 무고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사신으로 파견되어 명(明)에 다녀오면서, 사행(使行)의 여정에서 지었던 한시 동행들과 수창(酬唱)한 한시 등을 모아서 기록한 것이다.<ref>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ref>
  
<한화희등황후>는 중국의 후한(後漢) 화제(和帝)의 후비인 등후(鄧后)의 전기소설이고, <쇼통현뎐>은 ≪태평광기(太平廣記)≫ 권44에 실려 있는 <소통현(蕭洞玄)>을 국역한 소설이고, <교구련뎐>은 노모를 모시며 가난하게 사는 교구련에게 분수대로 살기를 충고한 내용이다.
+
이와 같은 사행록(使行錄)은 공적인 사신의 임무를 수반한 여행기록이기 때문에, 일반 기행문과는 그 성격이 다른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사신을 선발할 때 뛰어난 문사가 사신의 일행으로 포함되는 것이 당시의 일반적인 관례였다. 공자(孔子)도 이를 언급할 정도로 사신의 문학적 소양은 외교에서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었으며, 작품의 수준은 그 국가의 문화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도 하였다. 사행록은 뒤에 사신으로 선발될 사람에게는 사행의 지침서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ref>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ref>
<시풍경녹>은 조성신(趙星臣)<사시풍경가(四時風景歌)>의 이본인 국문가사이며, <됴비연합덕의뎐>은 한성제(漢成帝)총비(寵妃)였던 조비연(趙飛燕)과 그의 아우 소의(昭儀)의 못된 행실을 그린 전기이다. 이 작품집은 17세기 이후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ref>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3769&cid=41708&categoryId=41711 조천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이 기록은 날짜별로 정리가 되어 있으며, 6개월 정도의 중국 사행기록이 실려 있다. 주로 보고 들은 것을 서술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일기(日記)의 형식으로 적었고, 시(詩)로 대신한 부분도 있다.<ref>緣田, "[http://blog.daum.net/lrrock5050/330 조천록 상() 기문(記聞)]", <html><online style="color:purple">『Daum 블로그 - 경주(慶州 月城)이씨』<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09월 21일.</ref>
 +
 
 +
『조천록』은 1629년 간행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읽혔으며, [[이항복]]문집인 『[[백사집|백사집(白沙集)]]』 별집 제5-6권에 실려 있다.<ref>緣田, "[http://blog.daum.net/lrrock5050/330 조천록 상(上) 기문(記聞)]", <html><online style="color:purple">『Daum 블로그 - 경주(慶州 月城)이씨』<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09월 21일.</ref>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
*'''이항복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09/E00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조천록]] || [[이색]]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조천록]] || [[이항복]]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조천록]] || [[종선]]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조천록]] || [[정응태 무고사건]]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백사집]] || [[조천록]]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주석'''==
 
=='''주석'''==
53번째 줄: 6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 이응백,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199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93769&cid=41708&categoryId=41711 조천록]", 국어국문학자료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인용 및 참조===
 +
*논문
 +
** 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
*웹자원
 +
** 緣田, "[http://blog.daum.net/lrrock5050/330 조천록 상(上) 기문(記聞)]", <html><online style="color:purple">『Daum 블로그 - 경주(慶州 月城)이씨』<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0년 09월 21일.
  
[[분류:역사인물]] [[분류:문헌]]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
[[분류:역사인물초상화 문맥 문헌]]
 +
[[분류:문헌]]

2018년 1월 14일 (일) 23:26 기준 최신판

조천록(朝天錄)
대표명칭 조천록
한자표기 朝天錄
저자 이항복(李恒福)
간행시기 1629년
시대 조선시대



정의

이항복이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올 때의 기록을 엮은 책이다.

내용

백사 이항복(白沙 李恒福, 1556-1618)이 1598년(선조 31)에 정응태의 무고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사신으로 파견되어 명(明)에 다녀오면서, 사행(使行)의 여정에서 지었던 한시 및 동행들과 수창(酬唱)한 한시 등을 모아서 기록한 것이다.[1]

이와 같은 사행록(使行錄)은 공적인 사신의 임무를 수반한 여행기록이기 때문에, 일반 기행문과는 그 성격이 다른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사신을 선발할 때 뛰어난 문사가 사신의 일행으로 포함되는 것이 당시의 일반적인 관례였다. 공자(孔子)도 이를 언급할 정도로 사신의 문학적 소양은 외교에서는 매우 중요한 수단이 되었으며, 작품의 수준은 그 국가의 문화수준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도 하였다. 사행록은 뒤에 사신으로 선발될 사람에게는 사행의 지침서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2]

이 기록은 날짜별로 정리가 되어 있으며, 6개월 정도의 중국 사행기록이 실려 있다. 주로 보고 들은 것을 서술하였으며, 필요에 따라 일기(日記)의 형식으로 적었고, 시(詩)로 대신한 부분도 있다.[3]

『조천록』은 1629년 간행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읽혔으며, 이항복의 문집인 『백사집(白沙集)』 별집 제5-6권에 실려 있다.[4]

지식관계망

  • 이항복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천록 이항복 A는 B가 저술하였다 A dcterms:creator B
조천록 정응태 무고사건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백사집 조천록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주석

  1. 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2. 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3. 緣田, "조천록 상(上) 기문(記聞)", 『Daum 블로그 - 경주(慶州 月城)이씨』online, 작성일: 2010년 09월 21일.
  4. 緣田, "조천록 상(上) 기문(記聞)", 『Daum 블로그 - 경주(慶州 月城)이씨』online, 작성일: 2010년 09월 21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논문
    • 이성형, 「白沙 李恒福의 「朝天錄」 硏究」, 『한자한문교육』17권0호,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 웹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