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

"하인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항목)
(참고문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틀:민족기록화 Top icon}}
 
{{작가정보
 
{{작가정보
|국문명 = 하인두 <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687 이미지 출처 : 한국민족대백과사전 온라인서비스] (2017월 3월 18일 확인)</ref>
+
|사진= 하인두.jpg
|한자명 = 河麟斗
+
|사진출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687 하인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명 = Ha In Doo
+
|대표명칭 = 하인두
|출생 - 사망 = 1930.08.16-1989.11.12
+
|한자표기 = 河麟斗
 +
|영문명칭 = Ha In-doo 
 +
|본명 =
 +
|호 = 
 +
|생년 =  1930년 8월 16일
 +
|몰년 = 1989년 11월 12일 
 
|출생지 = 경상남도 창녕
 
|출생지 = 경상남도 창녕
 
|국적 = 대한민국
 
|국적 = 대한민국
 
|분야 = 서양화가
 
|분야 = 서양화가
|image = 하인두.jpg
+
|필드수 =
 
}}
 
}}
 +
=='''정의'''==
 +
대한민국의 [[서양화|서양화가]]이다.
  
=='''작가소개'''==
+
=='''내용'''==
해방 이후 미술대학을 졸업한 1세대이다. 1957년 20대 청년 작가들의 전향적 단체였던 현대미술가협회에 창립회원으로 참가하였고, 1962년까지 김창렬(金昌烈), 박서보(朴栖甫) 등과 앵포르멜(informel: 제2차 대전 후의 비구상화의 한 수법, 또는 그 작가들 그룹의 호칭) 및 추상 표현주의 운동에 열정을 쏟았다. 그 뒤 약 10년간은 다분히 기하학적 골격의 색면 추상 작업으로 이행하였다. 그 표현 정신은 불교의 선(禪)사상의 심취를 반영한 「회(廻)」, 「윤(輪)」 등의 작품에서 확인된다.<br/>
+
1930년 경상남도 창녕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였다. 해방 이후 대학을 졸업한 첫 세대로 1950년대 후반 젊은 작가들의 전향적 미술단체였던 [[현대미술가협회]] 창립과 2차 세계대전 이후 생겨난 추상표현주의의 하나인 [[앵포르멜|앵포르멜(informel)]]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격렬했던 흐름이 잦아들던 1960년대에는 [[추상미술]] 경향인 [[옵티칼 아트|옵티칼 아트(optical art)]]수용한 기하학적인 색면추상으로의 이행을 보이기도 하였다.
1970년대 중반 이후는 그간의 기하학적 구조를 벗어나 유동적인 파상선(破狀線)과 확산적인 기호 형상으로 불교 사상의 심의화(心意化)를 한층 선명히 한 화면을 추구하며, 「밀문(密門)」, 「만다라(曼茶羅)」 등의 명제를 붙였다. 「만다라」연작은 60년대 말 국내화단에 유입된 옵티칼 아트를 수용하면서 불교적 상징세계를 도입하여 독자적 세계를 구축한 것이다. 이는 서구적 추상주의 회화에 대한 동양적 또는 한국적 표현 정신의 발로이자 그에 따른 창작적 조형 추구의 실현이었다.<br/>
 
불화(佛畵), 단청(丹靑), 민화(民畵), 무속화(巫俗畵) 등 전통적 한국미의 본질 및 그 조형적 정신성을 자유롭게 원용하였고, 장식적인 색상과 화면의 구성적 신비감, 그리고 생성과 확산의 표상의 종교적 내지 철학적 심의(心意)를 작품 속에 구현하였다. 그 결과 화면 구조는 평면적이고 색채는 강하고 찬란하게 형상되며, 현대적인 불화 또는 성당 건물의 화려한 스테인드글라스를 연상시키는 작업으로 나타났다.
 
작품의 제목들도 「묘계환중(妙契環中)」과 같이 불교의 법어(法語)를 인용하기도 하였고, 「불(佛)」, 「보살(菩薩)」, 「성상(聖像)」, 「승화(昇華)」 등 불교적 색채를 띠거나, 1980년대에 제작된 「혼(魂)불-그 빛의 회오리」, 「생명의 원(源)」과 같이 무속적인 한국문화의 원형을 상징하기도 하였다.<br/><ref>[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687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8일 확인)</ref><br/>
 
  
=='''학력'''==
+
===작품 세계===
*1954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
1970년대 중반부터 그는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찾아갔는데, 푸른색을 주조로 추상적인 파상선과 패턴들이 확산하듯 구축된 개성 있는 화면이 그것이다. 이는 불교사상에 심취한 그의 예술적 심의를 반영하고 있는데, 무(無)와 유(有)의 순환을 원운동으로 파악한 불교의 우주관을 조형적으로 상징화한 것이다. 무한히 반복되는 구조와 원환적인 구성, 그리고 확산적인 색채로 윤회의 사상을 표현하였다.<br/>
  
=='''경력'''==
+
이처럼 그는 서구미술에 연원을 둔 회화양식에 동양적이고 토착적인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불화와 민화, 무속화 등과 같은 전통 속에서 조형적 가치와 기법을 받아들이고, 단청의 색채 그리고 오방색(五方色)과 오간색(五間色)을 이용하여 장식적인 색채의 조화와 변주를 모색하였으며, 화면구성에 있어서는 동양의 종교적, 철학적 심의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보다 강렬하고 원색적인 색채를 사용하여 생의 환희와 역동성을 상징하는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1954 동주여자중학교 미술 교사
 
*1955 경남여자중학교 미술 교사
 
*1957 현대미술가협회 창립
 
*1958 경기공업고등학교 교사
 
*1959 덕성여자고등학교 교사
 
*1975 한국미술가협회 상임이사·고문
 
*1977 영토회(領土會) 회장
 
*1977,1979 아시아 현대 미술 대표 단장
 
*1978-1989 한성대학교 미술과 교수
 
*1986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심사 위원
 
  
=='''전시'''==
+
===학력===
*1956 [개인전] 부산 청우 다방
+
*1954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졸업
*1959-1969 조선일보사, 현대 작가 초대전 출품
 
*1969 상파울루 비엔날레 출품
 
*1971 인도 트리엔날레, 카뉴 회화제 출품
 
*1976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초대 작가로 출품
 
  
=='''수상'''==
+
===경력===
*1996 갤러리 서미, 하인두 추모전 개최
+
*[[현대미술가협회]] 창립회원
 +
*[[한국미술가협회]] 상임이사·고문, 영토회(領土會) 회장
 +
*[[한성대학교]] 교수
  
=='''주요작품'''==
+
===전시===
<gallery  widths=300px heights=200px perrow=4>
+
*1956  개인전, 부산 청우다방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하인두 만다라 01.jpg|[https://art.busan.go.kr/05_possession/possession01.jsp?amode=view&id=461&stype=artist_name&sstring=%ED%95%98%EC%9D%B8%EB%91%90 만다라, 1984년, 부산시립미술관 소장]
+
*1959-69  조선일보사 주최 현대작가초대전 출품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하인두 혼불-빛의 회오리 01.jpg|[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2992# 혼불-빛의 회오리, 1989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
*1969  상파울루비엔날레
</gallery>
+
*1971  인도 트리엔날레, 카뉴 회화제
 +
*1976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
 +
*1996  하인두 추모전, 서미갤러리
  
=='''민족기록화'''==
+
=='''지식 관계망'''==
<gallery>
+
<html>
파일:하인두-동명목재-1973s.jpg|[[하인두-동명목재]]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gallery>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88/C088.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관련항목'''==
+
</html>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100%; background:white;
+
===관계정보===
!A항목||width="33%"|B항목||width="33%"|관계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하인두-동명목재]]||[[하인두]]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하인두]] || [[서울대학교]] ||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 [[대한민국미술전람회]] || [[하인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현대미술가협회]] || [[하인두]]||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
 +
| [[한국미술가협회]] ||  [[하인두]]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 [[하인두]] || [[서양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하인두-동명목재]] || A는 B를 그렸다
+
| [[하인두]] || [[추상미술]]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현대미술작가협회]] || A는 B를 창립하였다
+
| [[하인두]] || [[앵포르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PAGENAME}} ||[[앙포르멜]]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그래프'''==
+
=='''시각자료'''==
[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하인두.htm 임시]
+
===갤러리===
<html>
+
<gallery mode=packed caption="주요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2016/202/민족기록화/작가/하인두.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File:민족기록화_작가_하인두_자화상.jpg|자화상, 1957, 캔버스에 유채, 87.5x61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5662 자화상]",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html>
+
File:민족기록화_작가_하인두_환중.jpg|환중 1, 1984, 캔버스에 유채, 162x130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2129 환중]",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하인두 만다라 01.jpg|만다라, 1984, 캔버스에 유채, 117x80cm, 부산시립미술관 소장<ref>"[https://art.busan.go.kr/05_possession/possession01.jsp?amode=view&id=461&stype=artist_name&sstring=%ED%95%98%EC%9D%B8%EB%91%90 만다라]", 소장품보기,  <html><online style="color:purple">『부산시립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파일:민족기록화 작가 하인두 혼불-빛의 회오리 01.jpg|혼불-빛의 회오리, 1989, 캔버스에 유채, 194x261.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ref>"[https://www.mmca.go.kr/collections/collectionsDetail.do?menuId=2010000000&wrkMngNo=PA-02992# 혼불-빛의 회오리]", 소장품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현대미술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caption="민족기록화"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파일:하인두-동명목재-1973s.jpg|[[하인두-동명목재]]
 +
</gallery>
  
 
+
===영상===
=='''참고문헌'''==
 
*사이트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687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 (2017년 3월 18일 확인)<br/>
 
**[http://ymuseum.tistory.com/entry/%EA%B8%88%EC%A3%BC%EC%9D%98-%EC%9D%B8%EA%B8%B0%EC%9E%91%EA%B0%80-%ED%95%98%EC%9D%B8%EB%91%90 하인두, 양평군립미술관, 금주의 인기작가] (2017년 3월24일 확인)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문헌'''==
 +
===인용 및 참조===
 +
# 단행본
 +
#* 『한국 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하인두』, 금성출판사, 1977.
 +
#* 『한국현대미술가 하인두』, 미술공론사, 1988.
 +
#* 『하인두 작품집』, 가나아트, 1990.
 +
#* 『하인두전』,호암갤러리, 1990.
 +
#* 하인두 『당신 아이와 내 아이가 우리아이 때려요』, 한이름, 1993.
 +
#* 류민자, 『혼불-하인두의 삶과 예술』, 가나아트, 1999.
 +
#* 하인두, 『청화수필』, 청년사, 2010.
 +
 +
===유용한 정보===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0687 하인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민족기록화]] [[분류:작가]]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가]][[분류:인물]]

2017년 12월 27일 (수) 01:33 기준 최신판


하인두(河麟斗)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대표명칭 하인두
한자표기 河麟斗
영문명칭 Ha In-doo
생몰년 1930년 8월 16일-1989년 11월 12일
출생지 경상남도 창녕
국적 대한민국
분야 서양화가


정의

대한민국의 서양화가이다.

내용

1930년 경상남도 창녕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하였다. 해방 이후 대학을 졸업한 첫 세대로 1950년대 후반 젊은 작가들의 전향적 미술단체였던 현대미술가협회 창립과 2차 세계대전 이후 생겨난 추상표현주의의 하나인 앵포르멜(informel)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격렬했던 흐름이 잦아들던 1960년대에는 추상미술 경향인 옵티칼 아트(optical art)를 수용한 기하학적인 색면추상으로의 이행을 보이기도 하였다.

작품 세계

1970년대 중반부터 그는 자신만의 작품세계를 찾아갔는데, 푸른색을 주조로 추상적인 파상선과 패턴들이 확산하듯 구축된 개성 있는 화면이 그것이다. 이는 불교사상에 심취한 그의 예술적 심의를 반영하고 있는데, 무(無)와 유(有)의 순환을 원운동으로 파악한 불교의 우주관을 조형적으로 상징화한 것이다. 무한히 반복되는 구조와 원환적인 구성, 그리고 확산적인 색채로 윤회의 사상을 표현하였다.

이처럼 그는 서구미술에 연원을 둔 회화양식에 동양적이고 토착적인 내용을 담고자 하였다. 불화와 민화, 무속화 등과 같은 전통 속에서 조형적 가치와 기법을 받아들이고, 단청의 색채 그리고 오방색(五方色)과 오간색(五間色)을 이용하여 장식적인 색채의 조화와 변주를 모색하였으며, 화면구성에 있어서는 동양의 종교적, 철학적 심의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1980년대 이후에는 보다 강렬하고 원색적인 색채를 사용하여 생의 환희와 역동성을 상징하는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학력

경력

전시

  • 1956 개인전, 부산 청우다방
  • 1959-69 조선일보사 주최 현대작가초대전 출품
  • 1969 상파울루비엔날레
  • 1971 인도 트리엔날레, 카뉴 회화제
  • 1976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초대작가
  • 1996 하인두 추모전, 서미갤러리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하인두-동명목재 하인두 A는 B가 그렸다 A dcterms:creator B
하인두 서울대학교 A는 B를 졸업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대한민국미술전람회 하인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현대미술가협회 하인두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한국미술가협회 하인두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하인두 서양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하인두 추상미술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하인두 앵포르멜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자화상",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2. "환중",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3. "만다라", 소장품보기, 『부산시립미술관』online.
  4. "혼불-빛의 회오리", 소장품 검색, 『국립현대미술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단행본
    • 『한국 현대미술 대표작가 100인 선집-하인두』, 금성출판사, 1977.
    • 『한국현대미술가 하인두』, 미술공론사, 1988.
    • 『하인두 작품집』, 가나아트, 1990.
    • 『하인두전』,호암갤러리, 1990.
    • 하인두 『당신 아이와 내 아이가 우리아이 때려요』, 한이름, 1993.
    • 류민자, 『혼불-하인두의 삶과 예술』, 가나아트, 1999.
    • 하인두, 『청화수필』, 청년사, 2010.

유용한 정보

  1. "하인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