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문헌)
 
63번째 줄: 63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9160 화랑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9160 화랑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이기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589 화랑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기동,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589 화랑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69번째 줄: 69번째 줄: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분류:민족/교열완료]]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2017년 12월 27일 (수) 00:35 기준 최신판

화랑도
(花郞徒)
민족 일러 화랑도.png
대표명칭 화랑도
한자표기 花郞徒
이칭 국선도(國仙徒),풍월도(風月徒),원화도(源花徒),풍류도(風流徒)
유형 제도



정의

신라 때 조직되었던 국립 청소년 수양단체이다.[1]

내용

화랑이라는 말은 ‘꽃처럼 아름다운 남성’이라는 뜻인데, 혹은 화판(花判)·선랑(仙郎)·국선(國仙)·풍월주(風月主)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2] 이 화랑을 우두머리로 두었던 신라의 교육·군사·사교단체가 화랑도이다.

생성과정

흔히 화랑도의 전신이라 불리는 것은 원화(源花, 原花)제도이다. 이것은 정부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얻기 위한 방편으로 여러 사람을 무리지어 놀게 한 다음 행실을 살펴서 등용하려던 제도로, 어여쁜 여성 두 명을 가려 단장을 삼게 하였다. 원화제도는 정착되기 이전에 실패로 끝난다. 그러나 신라 정부로서는 계속하여 인재를 양성할 필요가 있었으므로 진흥왕 때(540∼576) 화랑도가 국가 주도로 정식 제정된다.[3]

조직

지도자에 화랑이 있고 그 밑에 낭도가 있었다. 초기의 화랑도는 조직도 미미한 것이었으나 576년 이후 국방정책과 관련하여 이를 관에서 운영하게 되었다. 총지도자에 국선(國仙:源花 ·花主)을 두고 그 밑에 화랑이 있어 각각 문호(門戶:編隊)를 맡았다. 국선은 원칙적으로 전국에 1명, 화랑은 보통 3∼4명에서 7∼8명에 이를 때도 있었으며, 화랑이 거느린 각 문호의 낭도는 수천 명을 헤아렸다.[4]

화랑 출신 주요 인물들

삼국사기』에 인용된 『화랑세기』 서문에는 화랑을 가리켜 다음과 같이 말했다.

Quote-left.png 어진 재상과 충성스러운 신하가 이에서 나왔고, 훌륭한 장수와 용감한 병사가 이에서 생겼다.
賢佐忠臣 從此而秀 良將勇卒 由是而生
Quote-right.png
출처: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화랑",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계백과 맞서 싸운 관창, 무열왕삼국통일을 이끈 김유신 등이 대표적으로 알려진 화랑이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화랑도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A는 B의 소재이다 A ekc:isDepictedIn B
화랑도 삼국사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화랑도 화랑세기 A는 B에 언급되었다 A ekc:isMentionedIn B
원화 화랑도 A는 B의 전신이다 A ekc:isOldNameOf B
화랑도 김유신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화랑도 관창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통일대업을 이룬 주역 화랑도(게시일: 2015년 1월 4일)

주석

  1. "화랑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2. 이기동, "화랑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3. 이기동, "화랑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화랑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화랑도",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이기동, "화랑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고전용어사전 편찬위원회, 『한국고전용어사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온라인 참조: "화랑", 한국고전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